“스포츠 피구(Sports Dodge Ball)” 메뉴 얼
◆ “스포츠피구”(Sports Dodge Ball)란? - 기존의 피구경기방식을 보다 과학적으로 체계화하여 공통적인 정식경기규정룰을 적용하여 공식 경기로 성별, 나이에 관계없이 누구나 생활 스포츠로서 즐길 수 있고 학교체육 및 사회체육의 균형 있는 발전에 일조할 수 있게 만든 것 이 스포츠 피구이다
◆ 경기장 규격

초등, 중등부 경기장

고등, 대학, 일반부 경기장
◆ 경기 볼 : ① 가죽 또는 알맞은 재질.
② 볼 표면이 번쩍거리거나 미끄러워서는 안된다.
③ 둘레의 길이는 초등, 중등 4호, 고등부이상 5호로 한다.
◆ 경기 진행방법
1. 인원 : 정규경기의 한 팀의 인원은 12명으로 한다.(단 상황에 따라 별도로 인원을 정할 수 있음)
교체선수 3명까지 별도(교체는 주심의 오피셜 타임<일시중지> 중에 적용된다.)
2. 경기 시간
- 경기는 주심과 참가한 두 팀이 상호 동의했을 때를 제외하고, 예선리그 1SET 5분으로 하고 결선 토너먼트는 3SET 5분씩 한다.
- 경기 시간 변경에 대한 동의는 반드시 경기 개시 전에 그리고 대회규정에 의하여 승인되어야 한다.
3. 경기 시작 : 양팀 정렬, 인사 후 경기 시작전 상대외야에 1명이 포진한다. 경기는 주심의 호각신호와 동시에 점프볼로 시작하며 점프 볼 후 내야에서 제 1 던지기 공격은 금지한다. 한번의 패스 후 공격할 수 있다.(점프볼 한 선수가 직접 공을 잡고 공격할 수 없다.)
4. 경기 진행 : 1) 공격- ①상대편 선수가 던진 공을 노 바운드로 잡았을 경우 공격권을 가지고 온다
②상대편 선수가 던진 공이 노 바운드로 2 명 이상 맞은 경우는 맞은 사람
전원 아웃됩니다.
③공격자는 얼굴과 머리높이로 공격해서는 아니 되며 맞았을 경우라도 아웃 되지
않으며 공격권을 빼앗긴다. (단, 공격을 피하려고 앉다가 맞은 경우는 제외한다.)
④상대편이 공격 시 파울을 범한 경우 맞아도 아웃 되지 않는다.
⑤상대편이 던진 볼에 머리카락, 옷깃에 맞았을 때도 아웃된다.(주심이 판단한다.)
2) 패스- ① 같은 팀은 내야수와 내야수끼리 패스 할 수 없다 .
(패스할 경우 공격권은 상대팀에 넘어간다)
② 같은 팀은 외야수와 외야수끼리 패스 할 수 없다 (상동)
③ 외야수는 외야코트 밖을 벗어나 패스 및 공격을 할 수 없습니다.
3) 볼 아웃 - ► 경기 중 코트(내, 외야)밖으로 공이 나올 때.
① 마지막으로 만진 것이 내야선수의 경우 상대 내야볼
② 마지막으로 만진 것이 외야 선수의 경우 파울이 없으면 상대
내, 외야 볼입니다.(원 터치).
► 그러나 야수가 던진 공이 직접 코트 밖으로 나간 경우에는 상대방의
내야 볼입니다(노터치)
4) 경기의 파울
► 스포츠 피구의 파울의 종류
① 오버라인(라인 을 밟거나 넘을 경우)
② 포 패스 (3회 패스 후 4회째 공격을 하지 않은 경우)
③ 더블패스 (내야에서 내야, 외야에서 외야로 패스 할 경우)
④ 홀딩 (상대편의 내, 외야에 바운드 된 공을 가져 온 경우)
⑤ 헤드 샷 (고의적으로 머리, 얼굴을 맞힌 경우)
⑥ 터치 더 바디 (상대편을 고의로 밀친 경우)
⑦ 인터페어 (아웃된 내야수가 외야로 이동 중 상대 공격 볼을 고의로 만진 경우)
⑧ 5초룰 (5초안에 공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⑨ 일리걸 캐치 (고의적으로 발 , 머리등으로 튕기는 경우, 고의로 바닥에 튕기는 경우)
⑩ 테크니컬 파울( 매너에 위반되는 사항에 주심에 강력히 항의, 판정불복종 하는 경우)
⑪ 플라잉 탭 (점프볼이 정점에 오르기 전 터치하는 경우)
⑫ 더블 탭 (점프볼 한 선수가 두 번 이상 터치하는 경우)
⑬ 점프어택 (점프 한 선수가 공을 만지거나 제1 공격을 했을 경우)
⑭ 점프캐치 (점프한 선수가 점프한 상태에서 직접 공을 잡은 경우)
► 심판은 오피셜 타임이 진행되는 시간을 결정한다.
- 오피셜 타임이 주어질 때
a) 반복적인 비신사적인 행위를 하여 해당 선수가 실격, 완전퇴장이 주어질 때.
b) 팀 작전타임 요청 시.(외야로 볼이 나갔을 시)
c) 심판 간에 협의가 필요할 때.
6) 경기종료 후 내야선수 인원체크 (승패 결정)
► 주심의 수신호 및 호각신호와 동시에 경기가 종료되면 심판들은 양팀의 외야선수
들을 제자리에 앉히고 양팀 내야선수들을 센터라인으로 집합시켜 각팀 일렬로 세워
인원수를 체크하여 기록원에게 알리고 승패를 수신호와 함께 콜한다.
► 주심은 마지막으로 양팀 선수들을 모두 센터라인으로 정렬시킨 뒤 상호 간의 인사를
시키고 마무리한다.
7) 동점일 경우
- 예선리그 : ① 예선전 전체 경기에서 살아남은 인원수
② 동점 팀 간의 승자 승
③ 연장전
- 결선 토너먼트 : 연장전
5. 심판
- 심판 구성은 주심 1인, 부심 1인, 선심 2-4명으로 구성된다.
- 경기 계시원 1인, 기록원 1인도 포함된다.
- 주심이 경기의 주도권을 갖고 운영하고 부심이 보좌하며, 선심은 홀딩, 오버라인,
원터치, 노터치 등을 판단한다.
⇒ 경기 도중 심판에게 절대 항의 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