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근콘크리트(R.C조) 공사
건축물 구조체를 완성하기 위한 거푸집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는 전체 공사비의 30% 이상의
공사비를 차지하는 중요한 공사이다.
물량 적산의 주요 자재는 콘크리트, 거푸집, 철근이며 기타 부자재는 시공에서 보조적으로 사용을 하거나 시방서에 따라 필요한 자재로 구성을 한다.
철근콘크리트 적산은 부재를 하나씩 구분하여 산출하면 간편하고 쉽지만 마감재와의 관계 및 시공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시공 순서대로 산출하여야 하며
특히 단위세대에 세대수를 곱하는 아파트 적산은 중복 계산이나 누락 여부 확인하여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유사 건물의 수량과 비교 분석하여 오차를 최소화 하여야 한다.
1) 산 출 자 료
1>콘크리트에서 강재의 용적을 빼지 않는다.
2>1㎡ 미만의 개구부는 거푸집과 콘크리트 물량을 빼지 않는다.
3>모따기 줄눈 등은 콘크리트 물량을 빼지 않는다.
4>말뚝머리, 슬리브의 콘크리트 물량을 빼지 않는다.
5>거푸집 견적은 사용부위 및 부위에 따라 전용 횟수별, 마감 유무를 구분하여 산출한다.
6>철근콘크리트 물량 집계는 각 층별 ,부위별로 구분하여 산출한다.
7>콘크리트의 할증은 최종 물량 집계 후 적용한다.
8>잡석 : 잡석의 체적 + 틈막이 자갈량
ㅡ틈막이 자갈량 = 잡석부피 X 20~30 %
ㅡ잡석의 체적과 틈막이 자갈량의 자갈 체적을 합산하여 노임을 계산한다.
9>밑창콘크리트는 구조체에서 10CM 내민 면적으로 체적을 산출한다.
ㅡ사용 레미콘 재질 : 설계 기준 강도 150kg/cm
10>P.E 필름
ㅡ2겹 시공 원칙
ㅡ지면과 만나는 바닥면적으로 산출한다
2) 산 출 기 준
1. 콘크리트
1>소요량 : 종류별 구분 (품질, 배합 종류, 배합비, 제치장 마무리 등)
2>도면 정미량으로 산출한다.
3>배합재료의 할증률
4>레디 믹스트 콘크리트는 경제성과 품질을 현장 비빔과 비교하여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5>체적의 산출
ㅡ건물의 최하부에서 상부, 각 층별로 구분.
ㅡ기초, 기둥, 벽체, 보, 바닥판, 계단, 기타 세부순서 산출.
ㅡ연결부분이 서로 중복이 없도록 한다.
6>콘크리트 체적 산출 방법
ㅡ기초 : 지반성 이하 (지하실이 있을 경우 : 지하실 바닥 경계)
ㅡ기둥 : 단면적 X 바닥판 간의 높이 (기둥 높이 : 바닥판의 두께를 뺀 것)
ㅡ외벽 : (외벽면적 - 개구부 면적 ) X 벽두께 (외벽 면적 : 기둥의 면적을 뺀다. 높이 :
바닥판 사이로 안목거리로 한다).
ㅡ 보 : 보 단면적 X 보길이
ㅡ바닥판 : 바닥판 전면적 X 바닥판 두께 (바닥판 전면적 : 바닥의 외곽선으로 둘러싸인 면적
단, 개구부 면적 제외).
ㅡ계단 : 경사면적 X 계단의 평균 두께
ㅡ기타 세부 : (실제 길이 X 단면적) 또는 (실제 평면적 X 두께).
7>콘크리트에 매설한 철골재 체적은 제외하지 않는다. (단, 직경이 큰 구조용 파이프,조립부재
등은 제외).
2.철 근
1>총중량 = (종류별, 지름별로 총연장 길이 산출) X 단위 중량.
2>각 층별 기초, 기두, 보, 바닥판, 벽체, 계단, 기타로 구분하여 중복이 없도록 산출한다.
3>이음 정착 길이를 정밀하게 계산하여 정미량 산출한다.
4>소요량 : 원형 척근은 5% 이내, 이형 척근은 3% 이내 할증률 가산한다.
3.거푸집
1>설계도서에 의해 정미량 산출한다.
2>거푸집 종류별 산출 (목재 거푸집, 합판 거푸집, 제치장 거푸집)
3>사용 장소별 산출.
4>거푸집 면적의 산출방법
ㅡ기초
ㅡ기둥 : 기둥 둘레 길이 X 기둥 높이 (기둥 높이 : 바닥판 안목 높이)
ㅡ 보 : 기둥간 안목 길이 X 바닥판 두께를 뺀 옆면적 X 2 (보의 밑부분은 바닥판에 포함.)
ㅡ바닥판 : (외벽 두께를 뺀) 내벽간 바닥면적.
ㅡ 벽 : (벽면적 - 개구부 면적) X 2 (벽면적 : 기둥과 보의 면적을 뺀 것)
ㅡ개구부 : 1㎥ 이하의 개구부는 거푸집 면적에 산정한다.
ㅡ다음의 접합부 면적은 거푸집 면적에 산정 한다.
ㄱ.기초와 기둥 보, 기둥 보와 기둥, 보와 벽체, 바닥판과 기둥.
ㄴ.큰 보와 작은 보, 기둥과 벽체, 보와 벽체, 바닥판과 기둥
5>거푸집 사용 횟수
ㅡ단일 공사, 계약 단위별로 사용 횟수 결정.
ㅡ공종, 공정, 시공 방법에 따라 결정.
* 철골 (S.R.C.조) 공사
건축물이 고층화 대형화되면서 길이가 긴 자재의 필요성으로 인해 철골의 사용이 많아지고 있다.
철골은 고가의 건축재료로서 철골공사비의 비율이 전체 공사비의 20~30%가 되며 이러한 철골공사는 순철골 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 지붕틀을 철골로 하는 경우로 분류한다.
현장의 여건에 따라 강재를 공장에서 가공한 후 현장에 반입하여 구조물이 조립되는 경우와 강재를 직접 현장에서 가공하여 조립하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그러므로 현장수송, 현장 세우기의 현장 가공 조립부분만 남기고 공장에서 거의 완성품으로 만들어 반송하는 것이 유리하다.
현장 반입 전에 전기용접과 기타용접 부분을 제외하고 녹막이칠을 1회하여 건조 후 현장에 반입한다.
1)산 출 자 료
1>평면도 및 단면도의 부재간 중심선 파악.
2>강재의 규격에 따른 분류 여부 확인.
3>부재간 연결 부위 상세 확인.
4>철골 세우기 순서에 의해 기호순으로 주 부재부터 산출한다.
5>부속자재 상세를 참조하여 같이 산출한다.
6>산출 순서의 예
ㅡ사무실 구조 : 기둥 → Sub column → 거 더<Gurder> → 빔<Beam> → 브레이스<
Breice> → 계단 <Stair> 기타구조.
ㅡ공장 구조 : 기둥 → Sub column → 거 더<Gurder> → 빔<Beam> → 지붕 트러스<
Roof truss> → 브레이스<Breice> → 띠 장<Girt> → 기타 구조
2) 산 출 기 준
1>형강재 <shape steel>
ㅡ재질별, 규격별로 구분한 후 길이<m> 산출 후 무게<ton>로 환산하여 산출한다.
ㅡ용접가공 형강<Built-up>은 산출 후 강판재로 나눈다.
ㅡ두께별로 따로 집계한다.
2>강판재 <plate>
ㅡ재질별,규격별로 구분하여 면적<㎡>으로 산출 후 무게<ton>로 환산하여 산출한다.
ㅡ강판재 모양이 다각형인 경우 최대 치수 사각형으로 산출한다.
3>볼 트 <bolt>
ㅡ볼트의 종류 : 일반 볼트<G-bolt>, 고장력 볼트<H.T.B>, 조임 강도 확인 볼트<T.C.BOLT>
ㅡ볼트의 종류, 규격, 길이의 규격을 정하여 개수로 산출한 후 무게<TON>로 환산하여 적용.
ㅡ볼트 길이 : 접합 부재 총 두께 + 여장 길이
4>용접 길이의 산출
ㅡ용접 단면의 종류별 적산
ㅡ공장용접과 현장용접으로 나누어 집계한다.
5>도장면적
ㅡ공장가공 조립이 완료된 구성재에 생긴 밀 스케일<mill scale>, 스퍼터<sputter>, 스래그<slag>, 기름, 기타 오손부는 제거.
ㅡ현장 운반에 앞서 강재면에 녹막이칠 1회
ㅡ콘크리트에 묻히거나 접하는 부분은 도장면적에서 제외.
6>운 반
ㅡ가공 전 운반 : 총수요량.
ㅡ가공 후 현장까지 운반 : 정미수량 적용.
7>가공조립<공장>
ㅡ현장 조립시 부속되는 자재<각종 볼트류>를 제외한 정미수량 적용.
8>세우기<현장>
ㅡ정미수량 적용.
9>세우기 장비 선정
ㅡ철골수량, 입지조건, 공사기간 및 철골 설치계획 수립.
ㅡ장비 종류, 대수 선정, 부재의 중량, 장비용량 확인.
건축공법의 발전을 실로 눈이 부실 정도이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철골<S.R.C조>공법은 선호하지 않는 편이다.
일본의 경우 30층 이상의 건축 구조물은 철골조 공법을 허가하지 않는다.
이는 지진, 풍압, 열에 취약한 구조라는 것이 밝혀 졌기 때문이다.
또한 철골조의 공법은 공기의 빠름이나 구조물의 내부 공간 이용이 편리한 것 이외에는
장점이 그리 많은 공법이 아니기 때문이다.
마감 또한 깔끔하지 않은 것도 단점이다.
앞으로 이러한 단점을 완전히 해결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