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착하게 돈 벌 사람 모여라” | ||||||||||
(주)가든프로젝트 지역사회 대상 창업·취업 설명회 | ||||||||||
| ||||||||||
조경분야 유일의 사회적기업인 (주)가든프로젝트(대표 박경복)가 소셜-프랜차이즈 모집 설명회를 개최한다. 가든프로젝트는 2월 5일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서울역 4층 KTX 대회의실에서 ‘조경 및 산림분야 사회적기업 창업 및 취업설명회’를 연다. 이번 설명회는 지역 사회에 가든프로젝트 사업 모델을 정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든프로젝트는 개인과 법인을 상대로 전국 100여 곳의 소셜-프랜차이즈를 모집할 예정이다. 수도권 외 지역에 주민등록을 한 이들이라면 자격 제한없이 누구나 창업을 할 수 있다. 박경복 대표는 이번 설명회 개최 배경을 “국내 조경 및 산림분야에 사회적경제 시스템을 도입하여 ‘일자리 창출, 자연환경 회복, 지역 공동체 복원’이라는 소임을 다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박 대표는 지난 2010년 가든프로젝트를 국내에 도입한 이후 예비사회적기업으로서 일자리 창출 및 사회서비스 실적 등을 인정받아 2013년 12월 고용노동부장관에게서 사회적기업 인증을 받았다. 사회적기업은 단순히 물건을 팔아 이윤을 남기는 기업이 아니라 제품 생산 유통 과정에서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과 고령자 등 소외계층에게 도움을 주는 기업이다. 사회적기업은 현재 ‘예비사회적기업’을 거쳐 ‘인증사회적기업’이 될 수 있다. 각각은 차등이 있긴 하지만 고용 인력에 대한 인건비 및 사업개발에 대한 비용 지원 등 각종 혜택을 받고 있다. 박경복 대표는 사회적기업의 강점을 고려할 때 조경 분야에서 사회적기업의 성장이 상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가든프로젝트가 지난 5년간 해온 일은 도시농업활성화, 도시숲 조성 및 관리, 빗물의 이용활성화 등이다. 도시농업활성화는 도시 곳곳에 텃밭을 일구거나 빌딩 옥상에 정원과 텃밭을 조성하는 등 사업을 진행해 녹지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도시 숲 관련 사업 중 하나는 ‘움직이는 숲’이다. 이는 적재가 가능하고 이동이 가능한 화분에 중교목을 심은 뒤 나무를 심기 어려운 공간에 배치하는 것이다. 빗물이용시설의 대표적인 아이디어는 빗물을 모았다가 이용하는 빗물 저금통 사업이다. 가든프로젝트는 2013년 경기도 수원시와 광주광역시의 ‘빗물 저금통 사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사업에 진출한 뒤 2014년에는 서울시 민간지원 빗물저금통보급사업의 50%를 수행해 낸 바 있다. “2015년 봄, 가든프로젝트 시대가 옵니다” 박 대표는 이번 설명회에서 ‘사람’을 얻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역에서 가든프로젝트와 함께 할 사람을 발굴하고 기초자치 단위의 경제구조를 만들면 주민 스스로 생산과 소비를 할 수 있는 경제구조를 갖출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왜 사회적기업인가?
산림 보전 및 관리 서비스 분야는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 처지에서 보면 그다지 돈 되는 사업 분야가 아니다. 하지만 국민에겐 필요한 일이고 공공의 수요는 있다. 그러나 정부가 전부 감당하기에는 우리나라의 사회적 복지서비스망이 그리 촘촘하지 않다. 그래서 국가와 일반 기업 사이의 틈을 채워주는 역할을 하는 분야가 바로 사회적 경제영역이다. 정부에선 사회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업을 발굴하고 육성하고자 사회적기업육성법을 제정해서 시행하고 있다. 이용자는 국민인데 돈은 국가에서 주는 것이다. 일하는 사람들의 월급 중 일부도 국가에서 준다. 사회적기업의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왜 프랜차이즈인가? 왜 가든프로젝트인가? 창업 비용은 얼마나 들까? 창업한다면 준비기간은 얼마나 걸릴까? 창업자와 취업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