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고지 쓰는 방법]
1. 첫째 줄은 비운다.
2. 둘째 줄 가운데에 제목을 쓴다.
3. 셋째 줄은 비운다.
4. 넷째 줄은 소속을 오른쪽으로 쓰는데, 끝에서 2칸을 비우고 소속을 쓴다.
* 교내 글짓기일 때는 0학년 0반, 교외 글짓기일 때는 00중학교 0학년을 쓴다.
* 교내 글짓기일 때는 그 학교 학생인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대개 학교 이름을 안 쓴다.
5. 다섯째 줄 끝에서 2칸을 비우고 이름을 쓴다.
* 성과 이름을 띄우지 않는다. 단, 성이 두 자일 경우 성과 이름을 띄운다.
* 성이 이고, 이름이 순신일 경우에는 이순신으로, 성이 허요, 이름이 준일 경우에는 허 준으로 쓴다.
6. 여섯째 줄은 비운다.
7. 일곱째 줄에 1칸을 비우고 본문을 시작한다.
8. 원고지에서 문장 부호 쓰는 법
1) 물음표로 끝날 경우, 다음 칸에 따옴표를 쓴다.
2) 온점으로 끝날 경우, 같은 칸에 따옴표를 쓴다.
3) 느낌표로 끝날 겨우, 다음 칸에 따옴표를 쓴다.
4) 말줄임표는 한 칸에 세 점씩 쓰고, 다음 칸에 온점이나 반점을 쓰며, 그 다음 칸을 띄우지 않는다.
5) 말줄임표로 끝날 경우, 한 칸에 세 점씩 쓰고, 다음 칸에 온점과 따옴표를 쓴다.
9. 원고지에서 숫자와 알파벳 쓰는 법
원고지에 숫자와 알파벳은 1칸에 1~2자씩 쓰며, 예를 들어서 1이나 12는 한 칸에 쓰고, 123은 첫 칸에 12를, 다음 칸에 3을 쓴다.
영어의 알파벳 역시 같은 요령으로 쓴다.
10. 원고지의 짜임과 종류
1) 원고지는 가로, 세로로 줄을 쳐서 이루어진 네모 칸으로 되어 있다.
2) 줄과 줄 사이에 있는 좁은 칸은 잘못된 글씨를 고쳐 쓰거나 빠진 글자를 써 넣는 등 글다듬기에 이용한다.
3) 원고지는 200자, 300자, 400자 등 여러 가지가 있다.
4) 보통 원고지는 가로 20자, 세로 10줄로 되어 있는 200자 원고지이다.
11. 글의 제목 쓰기
1) 글의 제목은 둘째 줄의 가운데에 쓴다.
2) 글의 제목은 내용보다 큰 글씨로 쓰는 것이 좋다.
12. 학교 이름, 학년과 반, 이름 쓰기
1) 학교 이름은 제목 다음 줄에 쓰되, 학교 이름 끝 글자가 오른 쪽 끝에서 3칸 정도 띈 자리에 오게 쓴다.
2) 학년과 반은 학교 이름 다음 줄에 쓰되, 오른쪽 끝에서 3칸 정도 띈 자리에 오게 쓴다.
3) 이름은 학년과 반 다음 줄에 쓰되, 이름 끝 글자가 오른쪽 끝에서 2칸 정도 띈 자리에 오게 쓴다.
13. 본문 쓰기
1) 본문은 이름 다음에 쓰되, 한 줄을 비우고 쓴다.
2) 본문의 시작은 첫 칸을 비우고 쓴다.
3) 본문의 첫 문단이 끝나고 둘째 문단을 시작 할 때에는 줄 바꿈을 한다.
4) 본문의 둘째 문단의 시작은 첫 칸을 비우고 쓴다.
5) 문단의 처음 시작 부분 이외에는 원고지의 맨 앞 칸을 비우지 않는다
14. 대화 글쓰기
1) 대화 글은 앞 한 칸을 비우고, 둘째 번 칸에 따옴표를 쓴다.
2) 마침표와 따옴표가 겹칠 때에는 두 부호를 한 칸에 쓴다.
3) 대화글이 두 줄 이상이 될 때에도 앞 한 칸을 비우고 쓴다.
15. 원고지에 글을 쓰면 좋은 점
1) 글의 분량을 금방 알 수 있다. 보통 원고지는 200자이므로 원고지 매수만 알면 글의 글자 수를 계산하기 쉽다.
2) 띄어쓰기, 문장 부호 등이 확실히 나타난다. 한 글자를 한 칸에 쓰고, 낱말과 낱말 사이의 띄어야 하는 곳도 한 칸이다. 또 문장 부호도 대개 한 칸에 하나씩 쓰기 때문에 눈에 잘 나타난다.
3) 틀린 글을 고치기가 쉽다. 원고지에는 줄과 줄 사이에 여유 공간이 있기 때문에 틀린 글을 고쳐 쓰기가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