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사하면 상냥한 미소의 객실 승무원이 제일 먼저 떠오르죠?
하지만 항공사는 종합적인 항공운송서비스로써 다양한 업무가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474E354D99A06720)
1. 국제업무
항공기가 운항하려면 노선이 있어야겠죠? 운항하려는 상대국가의 정부나
항공사와 협의하여 항공노선을 개설하는 국제업무가 있습니다.
항공노선은 항공사가 마음대로 결정하여 운항하는 것이 아닙니다.
2. 예약업무
승객이 항공여행을 하려면 먼저 좌석을 예약해야 합니다. 승객이 제일 먼저
항공사를 접하게 되는 부문이 바로 예약업무 부서입니다.
항공예약은 항공예약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데 매우 복잡한 지식과 개념이
필요합니다.
3. 발권업무
예약을 했으면 항공권을 구입해야겠지요? 항공요금의 체계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므로 발권업무에는 예약과 같이 많은 지식이 필요합니다.
4. 탑승수속(운송업무)
항공권을 소지하고 공항에 가서 탑승권을 받아야 항공기에 탑승하는 것이죠.
물론 수하물도 위탁해야 되고요. 탑승수속 업무는 외국어, 각국의 출입국
규정 등에 관한 교육을 받습니다.
5. 기내식
catering이라고 하는데 기내에 탑재하는 기내식을 개발하고 요리하고 탑재하는
업무를 합니다. 노선의 특징에 맞추어 다양한 기내식을 개발합니다.
호텔의 일급요리사 못지 않은 요리사들이 많습니다.
6. 정비업무
항공기의 사고율은 다른 교통수단에 비하여 매우 낮지만 사고가 나면 대형사고가
될 수 있으며 항공기는 첨단과학의 집합체이므로 정비가 매우 중요합니다.
7. 운항업무
항공기를 직접 조종하는 cockpit crew도 있고 항공기가 목적지까지 잘 운항할 수
있도록 각종 운항 관련 자료(기상, 루트 등등)를 제공하는 운항관리사가 있습니다.
8. 객실업무
손님을 기내 탑승 순간 부터 목적지 공항에 도착할 때까지 안전하고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기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승무원이 바로 객실승무원(cabin
crew)입니다.
그 밖에 항공기와 항공유를 경제적으로 구입하는 업무를 하는 자재부, 인사 및 재무 등
행정을 하는 관리부문이 있으며 항공권을 심사하는 수입관리부문, 승무원 등을 교육하는
객실훈련부문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