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장 속 현재와 과거 | |
I am a busy today. 나는 어제 바빴다.
I was busy yesterday. 나는 어제 바빴다.
My mother gets up [at six every morning]. 어머니는 일어나신다 [매일 아침 6시에 ]
My father read the newspaper [every morning]. 아버지는 신문을 보신다 [매일 아침] (과거형 read는 [red]로 발음) | 현재의 상태 [am – today]
과거의 상태 [was – yesterday]
현재의 습관 [get – every morning]
과거의 습관 [read – every morning] |
1) 현재 과거 미래
영어 문장에서는 동작이나 상태가 일어나는 때에 따라 동사의 형태가 변한다. 이러한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형식을 ⌜시제⌟라고 한다. 기본이 되는 시제는 현재 과거 미래의 3가지다. 현재의 문장을 과거 미래의 문장으로 바꾸는 데는 동사의 형태만 바꾸면 된다.
현재 | I go to school every day. (나는 매일 학교에 간다.) |
과거 | I went to school yesterday.(나는 어제 학교에 갔다.) |
미래 | I will go to school tomorrow.(나는 내일 학교에 갈 것이다.) |
2) 현재 과거 시제의 형태와 용법
① 현재: am, are, is 이외는 동사의 원형을 그대로 현재동사로 쓴다. 단, 3인칭 단수일 때는 have를 has로 하고 그 외의 일반동사는 어미에 -(e)s를 붙인다. 현재시제는 주로 현재의 동작이나 상태, 또는 습관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② 과거: 동사의 과거형을 쓴다. 과거형은 원형의 어미에 -(e)d를 붙이는 것과 기본예문의 was처럼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있다. 과거시제는 주로 과거의 동작이나 상태 또는 습관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정리]
현재시제 | ① 현재의 사실 (동작 상태) My sister likes cake [very much]. 내 동생은 케이크를 좋아 한다 [굉장히] | ② 현재의 습관적 동작 They go to kyungjoo [every summer]. 그들은 여름 경주에 간다 [매년] |
과거 시제 |
① 과거의 사실 (동작 상태) My uncle lived [in Pusan]. 아저씨는 사셨다 [부산에]
|
② 과거의 습관적 동작 I often went to the park [after school]. 나는 종종 공원에 갔다 [방과 후]
|
중요 |
|
① 불변의 진리: 변하지 않는 진리일 때는 현재시제를 사용한다. 예) The earth moves [round the sun]. 지구는 돈다 [태양주위를].
② 미래시제의 대용: 미래를 나타내는 부사(구)와 함께 확정된 미래를 나타낼 때는 현제 시제를 쓴다. 단, 시간이나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에서는 현재시제로 미래를 나타낸다. 예) I leave Seoul tonight. (나는 오늘 밤 서울을 떠난다.) [확정된 미래] 예) If it rains tomorrow, I will not go out.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 만약 내일 비가 온다면, 나는 나가지 않을 것이다. |
2. Be동사 일반동사의 과거형
문장 속 be동사∙일반동사의 과거형 | |
[Tom and I] were good friends. [톰과 나는] 좋은 친구지간이었다.
Was he at home? Yes, he was. 그가 집에 있었습니까? 네, 있었습니다.
He had supper [at eight]. 그는 저녁을 먹었다 [8시에]
I did not watch TV [last night]. 나는 TV를 보지 않았다 [지난밤에] | are의 과거형
과거의 의문문 (be 동사를 주어 앞에 씀)
have의 과거형
과거의 부정문 |
1) Be동사의 과거형
I | am | => | I | was |
You | are | => | You | were |
He(She, It) | is | => | He(She, It) | was |
We(You, They) | are | => | We(You, They) | were |
2) Be 동사 과거의 부정문 의문문
과거 문장의 어순은 현재 문장과 같다, 동사만 과거형으로 한다.
① 부정문 ⌜was(were) + not~⌟
예) He was not at home.(그는 집에 없었다.)
② 의문문 ⌜Was(Were) + 주어 ~?⌟
예) Was he at home?(그는 집에 있었습니까?)
예) Yes, he was. /No, he wasn't. (네, 있었습니다. /아니오, 없었습니다.)
주의 |
|
There was(were)~.(~가 있었다.)의 부정문은 There was(were) not~. 의문문은 Was(Were) there~? 다. 예) Were there any oranges in the box? (상자 안에 오렌지가 있었습니까? No, there wasn't. (아니오, 없었습니다.) |
3) 일반동사의 과거형
대부분의 동사는 원형의 어미에 -ed나 -d를 붙여서 과거형을 만든다. 그러나 have→had, go→went처럼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과거형도 많이 있음을 기억하자.
현재 |
| 과거 |
I have a bicycle. |
| I had a bicycle. |
I go to school by bus. |
| I went to school [by bus]. |
나는 자전거를 가지고 있었다. |
| 나는 학교에 갔었다 [버스로] |
4) 일반동사의 과거의 부정문 의문문
동사가 일반동사인 경우 did를 사용하여 부정문 의문문을 만든다. 현재인 경우는 주어의 인칭이나 수에 따라 do나 does를 사용하지만 과거문장에서는 주어에 관계없이 did를 쓴다.
① 부정문 ⌜did + not + 동사원형⌟
예) She opened the window. (그녀는 창문을 열었다.)
예) She did not open the window. (그녀는 창문을 열지 않았다.)
② 의문문 ⌜Did+주어+동사원형~?⌟
예) Did she open the window? (그녀가 창문을 열었습니까?)
Yes, she did./ No, she didn't. (네, 그렇습니다./ 아니오, 그렇지 않습니다.)
[주의] did 뒤에 오는 동사는 반드시 원형을 쓴다. She did not opened~.나 Did she opened~?와 같은 경우는 절대 있을 수 없다.
3. 미래시제
문장 속 미래시제 | |
I will be fourteen years old [next year]. 나는 14세가 될 것이다 [내년이면]
I will buy this book. 나는 이 책을 사겠다.
Will you buy this hat [for me]? 이 모자를 사 주시겠어요 [나에게]?
Shall I wash the dishes? 접시를 씻을까요? | [단순미래]
[의지미래]
[부탁]
[상대방의 의사] |
1) 미래시제의 형태
미래의 문장은 동사원형 앞에 will을부터 ⌜will + 동사원형⌟으로 한다. 부정문은 ⌜will + not + 동사원형⌟, 의문문은 ⌜will + 주어 + 원형~?⌟의 꼴이 된다.
긍정문 | He will be busy tomorrow. | (그는 내일 바쁠 것이다.) |
| ||
부정문 | He will not be busy tomorrow. | (그는 내일 바쁘지 않을 것이다.) |
| ||
의문문 | Will he be busy tomorrow? | (그는 내일 바쁠까요?) |
[답] Yes, he will/ No, he will not. (won't)
(네, 바쁠 겁니다. / 아니오, 바쁘지 않을 것입니다.)
대답할 때는 보통 동사원형 이하는 생략하여 간단하게 대답한다.
[주의] 구어체에서는 단축형을 더 많이 사용한다.
[주어 + will]의 단축형: I will = I'll, you will = you'll, he will = he'll 등
[will + not]의 단축형: will not = won‘t
2) 미래시제의 용법
① 단순미래: [~일 것이다]의 의미로서 단순히 미래를 나타낸다.
예) I(You, My sister) will be fourteen years old [next year].
(나/너/내 동생)은 14세가 될 것이다 [내년에]
② 의지미래: ⌜~하겠다⌟의 의미로 의지를 나타낸다. 주로 1인칭의 I(We) will.의 형태가 많이 사용된다.
예) I will go to the concert tonight. (나는 오늘 저녁 음악회에 가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