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시조의 눈빛 말씀
-『투명하게 서글피』를 읽고-
오덕렬
서연정 작가께서 시조집을 보내왔다, 『투명하게 서글피』를…. 표제와 표지화에서 다양한 눈빛이 번득임을 느꼈다. 시인은 <단시조>집을 한 권 갖고 싶어 했다. 왜, 그런 생각이 피어났을까? 3장 6구 45자 내외의 시형에 다양한 변화를 꿈꾸었을까? 이번이 8번째 작품집으로 단시조 62수의 꽃밭이다. 겉과 속이 다른 꽃들이 6부로 나뉘었다.
처음은 「봄까치꽃」으로 열어, 「상강 민들레」로 마감했다. 시형이 혹은 정통 3장으로, 혹은 한 줄 떼어 연으로, 혹은 초장을 변주하고, 혹은 종장을 변주하여 아기자기스럽다. 활짝 피어나는 꽃은 절정이다. 꽃의 절정은 사랑의 절정처럼 황홀하다. 이런 생각을 하며 경계를 넘었다.
워따, 여그는 야달 가지 글제로 님의 뜻을 담았네. 표제작, 「투명하게 서글피」부터 세배상을 받듯 정갈한 마음으로 읽었다. “폭설 견딘 나뭇가지/ 우수雨水에 꺾이는 소리// 헙수룩한 발자국에 투명하게 서글피// 인연들 붉은 눈시울/ 봄이 오면 봄과 함께” 3연 5줄―2·1·2―에 생각과 느낌이 담겼다. 극서정시로 말없이 우리를 느끼게 한다. ‘봄이 오면 봄과 함께’
음마, 옆에서 「짧은,」이 말을 걸어온다. “나도 좀, 나도 좀 봐요” 영락없이 손녀딸 어리광을 닮았다. 아가! 찬찬히 볼란다. 글제에는 문장부호 안 붙이는데, 아니 시조집 본문에는 문장부호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데, 여기 제목에 쉼표(,)가 붙었네…. 큰 뜻 감췄을까 짧은 생애에 숨 한 번 멈추고 생각해 보자는 의도일까. 시와 삶의 고갱이를…, 단시조 응축 미를 놓치지 말라는 은근한 바램일까.
어허, 옆 경계에 발을 넣자마자 들이당짝 의인화다. 「웃는꽃」이 박장대소 하고, 「한해살이풀 연보年報」에서는 모종이 몸을 떨고, 실뿌리가 기를 쓴다. 또 「샐비어」는 뭉클뭉클 터지는 울음의 불꽃놀이를 하고 있다. 꽃들도 사람처럼 이런 의지적 행동을 할 수 있을까? 응, 문학적 진실이니 가능해. 의인법은 은유의 특별한 종류인데, 은유는 서로 다른 소재에서 동질성을 찾아내는 일이래. 그리고 의인화의 세계는 본질상 상상력의 세계라데. 그래서 의인화는 상상력 없이는 불가능하고, 창작도 마찬가지래. 창작이 뭔데? 그것은 시詩다. 그것은 구성이다. 그것은 발견이요, 그것은 천 냥 빚을 갚는 한 마디 말이다.
싸목싸목 걷다보니 젤 끄터리 꽃밭이다. 첫들머리 「풀밭」 속에는 문학 광맥이 숨어 있네 그려. 서나서나, 그 시조 형상을 쪼매 보소라. 오-매, 시조 한 수가 한 문장이네. 시조와 가사歌辭가 친연이네. 역사로 보면 시조 천 년! 가사 700년! 시조는 단가요, 가사는 장가인데. 두 시형이 결구에 이르면 3·5·4·3으로 마무리하는 점이 친연성이지. 삼·오·사·삼, 중에서 성城처럼 지켜야 하는 수가 ‘3’이다. 그 다음은 ‘5’이나, 이 다섯은 5음 이상이면 좋다. 그러나 4음보를 지키는 율격 장치는 두 장르가 매한가지 아닌가.
망주막의 「추상화를 보다」에서 은유들이 부푸는 문구를 보듬고, 맨 앞쪽 표지화로 돌아갔다. 다시 봐도, 혁신의 눈빛들이다. 눈빛은 그냥 사그라질 기세가 아니다. 또 천 년을 내다보는 눈빛이다. 꼭 하고 싶은 말씀도 있다. 단시조 고정관념을 혁신하자는 눈빛 말씀이다.
Words of the Eye for Dansijo
-After Reading Transparently Sadly-
Oh Deok-ryul
Ms. Seo Yeon-jeong, a poet, sent me a collection of sijo, Transparently Sadly.... In the title and the cover picture, I felt that various insights were shining. The poet wanted to have a collection of Dansijo. How did that kind of thought come to mind? Did she dream of various changes in the fixed form of poetry with three lines, six phrases, and 45 words? This is the eighth collection of works, a flower field with 62 poems. Flowers with different outside and inside were divided into six parts.
It opened with “Spring Magppie Flower”, and ended with “Sanggang Dandelion.” It is cute because some poems are composed of the authentic three lines, or there are stanzas after a space, or there are variations in the last lines. A blooming flower makes the peak. The peak of the blooming is as ecstatic as the peak of love. I crossed the boundary thinking like this.
Wow, here she put her intention with eight kinds of materials. From the cover work, “Transparently Sadly” I read with a clean heart just as I received the New Year’s Bow. “The sound of the branches that stood the heavy snow/ Broken by Spring Rain// In the shabby steps transparently sadly// Red eyes of relations/ when spring comes with spring// She put her thoughts and feelings in three stanzas and five lines-2ㆍ1ㆍ2-.
Oh my, next to me, “Short,” talks to me. “Look at me, too, please.” It resembles the granddaughter’s wheedling. Oh dear, I will take a slow look. There are no punctuation marks in the title. There are no punctuation marks in the body of the Sijo collection, but here a comma(,) is attached to the title…. Is she trying to hide some big meaning? Is she trying to stop breathing for a moment and think about it in her short life? Such as cores of a poem and life…. Is it a subtle desire not to miss the condensed beauty of Dansijo?
Oh, as soon as I step on the next boundary, there is a sudden personification. “Laughing Flower” laughs hard, and in “An Yearbook of One Year Grass” seedlings shake their bodies, and fibrous roots exert themselves. In addition, “Slavia” is bursting a firework of tears. Can flowers do this willful behavior like humans? Yes, it is possible because it is the literary truth. Personification is a special kind of metaphor, which finds homogeneity in different materials. The world of personification is essentially a world of imagination. So, personification is impossible without imagination, and so is creation. What is creation? It’s poetry. It's composition. It’s a discovery. It’s a word that pays off a great amount of debt.
My slow walking led me to the last flower field. In the first poem, “Grass Field,” a vein of literature is hidden. Step by step, look at the shape of the sijo. Oh my!, A piece of sijo is one sentence. The sijo and the gasa are close friends. The sijo has a history of 1,000 years! Gasa has a history of 700 years! The sijo is a short song, and the Gasa is a long song. What makes them similar is that both end with the form of 3-5-4-3. Among the 3-5-4-3 formation, the number that must be protected like a fortress is ‘3.’ After that is ‘5,’ but these five should be more than five notes. However, both genres abide by the metrical mechanism of four notes.
In the “Looking at Abstraction” of the Mangjumak, embracing the phrases that the metaphors inflated, I went back to the front cover. Again, they are the eyes of innovation. The eyes are not just about to fade. They are also the eyes that look forward to a thousand years. There is something they really want to say. It is the word of the eyes that call for innovations to shatter the stereotypes of Dansij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