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재 정선 (謙齋 鄭敾 1676-1759)

+
비 개인 인왕산을 그리다 (인왕제색도 仁王霽色圖)
1751년, 국보 216호 비단에 묵과 엷은 채색, 138.2 x 79.2 cm, 호암미술관 소장
겸재 그림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것으로 현재 서울 청와대 언저리 궁정동 쪽에서 바라본 인왕산. 소나기가 막 그치고 천지를 감도는 비 비린내 가득한 안개를 피워 올리는 풍광을 옮긴 대작으로, 희끄무레한 바위산이 저리도 거무튀튀한 까닭이다. 그림에 적힌 관지(款識)가 신미윤월하완(辛未閏月下浣), 신미년 윤달 5월 하순.
바위산 골골이 물이 흘러내리고 오른편 아래 소나무숲에 둘러싸인 집 한 채가 보인다. 누구 집일까? 겸재의 60년 지기인 사천 이병연(1671-1751)의 집(취록헌)이다. 겸재 나이 일흔 다섯, 피붙이와 다름없었던 사천이 죽기 나흘 전에 그렸다는 그림으로 겸재가 조선 후기 진경산수의 거장이었다면 사천은 만 삼천 수가 넘는 시를 지은 시인으로 서로 시와 그림을 주거니 받거니 하던 사이였다. 이렇게 주고 받은 시와 그림을 한데 묶은 것이 당시 한양과 주변 풍경이 담긴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인곡유거도(仁谷幽居圖)
현재 종로구 옥인동 부근으로 겸재가 살던 집
“뒷산을 배경으로 한 한적한 곳에 초당이나 정자를 짓고 뜰에는 오동나무나 버드나무를 배치한 그림은 명대 오파의 문인화가들, 특히 심주(沈周)가 즐겨 택한 소재의 하나이다. 이 그림은 기본적으로 이런 구도를 보이며 그림 전체의 분위기 또한 문인화가 지향하는 것과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겸재는 이를 단순히 모방하는데 머무르지 않고 자신의 독자적인 화풍으로 소화하고 있다. 배경의 뒷산은 그가 자주 쓰던 찰법(擦法)과 미점법(米點法)으로 표현하고 오동나무와 버드나무의 수지법(樹枝法)에는 그의 힘찬 필치가 드러난다. 더욱이 나즈막한 뒷산은 조금도 과장됨 없는 우리나라 산의 모습을 보여주어 이 인곡(仁谷)은 정형산수의 본(本)이 아닌 현장감(現場感)을 느끼게 한다.”

인곡정사(仁谷精舍)
인왕산 아래 있던 겸재의 집

삼승정(三勝亭)
춘재 이중희의 정자로 현재 사직동 주변

청송정(聽松堂)
조선 중기의 큰 선비 청송 성수침의 독서당
자하동(紫霞洞)
현재 종로구 청운동 부근

창의문(彰義門)
풍계유택(楓溪遺宅)
현재 북악산 아래 유란동 근처로 겸재의 외가
+
청풍계(淸風溪) 1
인왕산 동쪽 기슭으로 현재 종로구 청운동 52번지 일대
병자호란 때 순국한 우의정 선원 김상용의 별장

+
청풍계(淸風溪) 2

석실서원(石室書院)
현재 경기도 미금시 수석동 부근으로 김상헌의 묘소가 있던 곳

광진(廣津)
현재 광진구 광장동 아차산 일대로 워커힐 주변

압구정(鴨鷗亭)
세조 때 공신 한명회의 별장으로 현재 강남구 압구정동

양화진(楊花津)
현재 마포구 합정동 절두산

이수정(二水亭)
현재 강서구 염창동 도당산 꼭대기에 있던 정자
소요정(逍遙亭)
현재 양천구 가양동 주변
소악루(小岳樓)
현재 강서구 가양동 성산 기슭에 있던 누각
귀래정(歸來亭)
죽소 김광욱이 행주 덕양산 기슭에 지은 정자
낙건정(樂健亭)
현재 행주대교 근처 고양시 덕양구 덕양산 자락에 있던 정자

개화사(開花寺)
현재 강서구 개화동 개화산 약사사
동작진(銅雀津)
현재 동작대교가 있는 동작나루
구룡폭(九龍瀑), 23.5 x 29.5 cm
낙조장류(落照藏柳), 23.5 x 29.5 cm
부자묘로회(夫子廟老檜), 23.5 x 29.5 cm
함흥본궁송(咸興本宮松), 23.5 x 29.5 cm
“조선 초 이성계가 거주했던 함경도 함흥의 궁궐에 있는 소나무를 독특한 구도로 배치한 작품.
나무에 푸른색을 입히고 그 안에 소나무 가지를 그리는 방법은 겸재 특유의 화법이다.”

초당춘수(艸堂春睡), 23.5 x 29.5 cm
야수소서(夜授素書), 23.5 x 29.5 cm
“중국 진나라의 병법가인 황석공이 장량에게 소서를 전수했다는 고서를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겸재는 전통적인 주제를 다룬 고사 인물도도 많이 그렸다.”
涪江(부강), 23.5 x 29.5 cm
기려심춘(騎驢尋春), 23.5 x 29.5 cm
“나귀를 타고 봄을 찾아 떠난다는 뜻. 이른 봄이 되면 깊은 산속에 가장 먼저 핀 매화를
찾아 떠났다는 맹영광의 고사를 표현했다.”
화표주(華表柱), 23.5 x 29.5 cm
“화표주는 무덤에 세우는 돌기둥을 말한다. 달밤에 높고 가파른 절벽 위에 있는
고고한 학의 모습을 그렸다.”
금강전도(金剛全圖), 1734
종이에 엷은 채색, 94.1 x 130.6 cm, 호암미술관 소장
“개성 북쪽 천마산 자락 오조천 상류에 걸린 박연폭포. 폭포 밑의 소(沼) 고모담.
박연은 폭포 위에 있는 바가지를 닮은 소를 말한다. 37미터.”
첫댓글 좋은 자료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답사합니다 6월6일 정기답사 함께떠나요...
좋은 자료 감사히 잘 보관하겠습니다.감사드립니다.
고맙습니다 정기답사 신청하세요...
귀한자료 한참 머물다 가옵니다 ^^
고맙습니다 서린님~정기 답사신청하세요 보고싶습니다...
고귀한 풍광을 감상할수 있어서 고개가 숙연하여 집니다.
저도감사합니다...유익한 정기답사 신청하세요...
古貴(고귀) 한자료 올려주신 芝香 (지향)님께 고개숙여 감사 드립니다 귀한자료 감상하고 쉬어 갑니다



고맙습니다 설송님~유익한 답사신청하세요...
감사한 마음으로 블로그로 옮김니다. 음악도 멋져요..^^*
반갑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음악 입니다 효림님~답사신청하세요 보고싶습니다
좋은작품 작 보고 갑니다
5월에 간송미술관에서 명선, 청풍계 등 많은 명작을 감상하였습니다. 호암미술관에서도 세한도 등 좋은 작품이 있는데 역시 간송미술관이 겸제 작품을 많이 소장하고 있지요. 좋은 자료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고귀한 미술품!! 쩌~~산수청풍을 휘감아 돌아 찬기운이 서리는 폭포까지 잘 다녀왔습니다.
귀한 작품앞에 한참 머물다 갑니다.
잘 보았습니다.
잘보고 몇점 가져갑니다. 고맙습니다.
잘 감상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