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불자광장
 
 
카페 게시글
붓다 가르침의 정수 스크랩 법문 2 : 빔[공] (2)
일 행 추천 0 조회 54 10.12.11 08:19 댓글 2
게시글 본문내용
 

2.

Now let us consider that all things are included in the term 'dhamma'. 'Dhamma' means 'thing', sabbe dhamma means 'all things'. You must be clear when you use the term 'all things' as to what it signifies. 'All things' must refer to absolutely everything without exception, whether worldly or spiritual, material or mental. Even if there was something outside of these categories it would still be included in the term all things and would still be a dhamma. So I would like you all to observe that:

이제 '담마'란 말에 포함된 '모든 사물'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담마(dhamma)는 '사물'이라는 뜻입니다. 삽베 담마(sabbe dhamma)는 '모든 사물'이라는 뜻입니다. '모든 사물'이란 말을 사용할 때, 이 말이 나타내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합니다. '모든 것'은 세속적이건 탈속적이건, 물질적이건 정신적이건 예외없이 절대적으로 모든 것을 지칭합니다. 이 범주의 바깥에 어떤 것이 있다고 해도, 그것은 여전히 '모든 것'이란 말에 포함되고 여전히 담마에 포함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여러분 모두 다음 사항을 잘 알기 바랍니다.

 

"The worlds of material objects i.e. all realms of material objects are dhammas. The mind that is aware of all worlds is a dhamma. If the mind and the world come into contact, that contact is a dhamma. Any result of that contact, be it feelings of love, hate, dislike or fear, or satipanna, the clear seeing of things as they truly are, these are all dhammas. Right or wrong, good or bad, they are all dhammas. If satipanna, gives rise to various interior know ledges, those knowledges are dhammas. If those knowledges lead to the practice of sila, samadhi, and panna or any other type of practice, that practice is a dhamma. The results of practice, abbreviated as the Path Realizations, their Fruits and Nibbana, even these are dhammas."

"유형의 물질세계, 즉 유형의 물질로 된 모든 영역은 담마다. 모든 세계를 아는 마음은 담마다. 마음과 세계가 접촉한다면 그 접촉은 담마다. 그 접촉의 결과로 생기는, 사랑, 미움, 싫어함 또는 두려움 등의 느낌, 또는 있는 그대로 사물을 명확히 보는 사띠빤냐(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는 모두 담마다. 올바름이나 그릇됨, 좋음과 나쁨은 모두 담마다. 사띠빤냐가 다양한 내적 앎을 불러 일으킨다면 그 앎은 담마다. 그 앎이 실라(지계), 사마디(집중), 및 빤냐(지혜)를 실천하게 하거나 또는 어떤 다른 실천을 하게 한다면 그 실천은 담마다.  도()의 깨달음, 그것의 과()와 닙바나(열반)로 요약되는 실천의 결실조차도 담마다."


To sum up, all these things are dhammas. 'Dhamma' encompasses everything from the truly peripheral, the world of material objects, up to the results of Dhamma practice, the Path Realizations, their Fruits and Nibbana. Seeing each of these things clearly is called seeing 'all things' and regarding all things the Buddha taught that 'none whatsoever should be grasped at or clung to. This body cannot be grasped at or clung to. Even more so the mind; it is an even greater illusion. Thus the Buddha said that if one is determined to cling to something as self it would be better to cling to the body because it changes more slowly. It is not as deceptive as the mind, that which we call namadhamma.

요약해서 말하면, 모든 이 사물은 담마입니다. 담마는 사실적인 외부의 유형 세계부터 담마 실천의 결과인 도()의 깨달음, 그것의 과()와 닙바나(열반)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포함합니다. 이 사물의 각각을 분명히 아는 것이, 모든 사물과, '어떠한 것에도 집착해서는 안된다'는 붓다의 말씀, 즉 사물에 관한 것을 안다고 하는 것입니다. 이 몸에 집착하지 말아야 합니다. 이에 더하여 마음에도 집착하지 말아야 합니다. 훨씬 더 환영적인 것은 마음입니다. 그러므로 붓다께서는, 사람이 어떤 것을 자아로 집착할 때에는 '더 천천히 변하는 몸'에 집착하는 것이 마음에 집착하는 것보다 낫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몸은 나마담마(namadhamma)라고 하는 마음만큼 환영적이지는 않습니다.


'Mind' here does not refer to the mind previously spoken of as being one and the same thing as emptiness, but to mentality, the mind known by ordinary people. The contact between the mind and the world results in the various feelings of love, hate, anger and so on. These are dhammas which are even less to be grasped at or clung to than the dhammas of form because they are illusions, born of an illusion arising in the realm of defilements. Grasping at or clinging to them is extremely dangerous.

여기서 말하는 마음은 앞서 말한 빔(공)과 하나이고 동일한 마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보통 사람들이 알고 있는 마음 또는 정신상태를 말합니다. 마음과 (유형)세계가 접촉하면, 사랑, 미움, 화냄 등의 여러가지 느낌이 일어납니다. 이것들은 유형의 담마보다 더욱 집착하지 말아야 할 담마입니다. 이런 느낌의 담마는 오염원에서 일어나서 생기는 환영이기 때문입니다. 이것들에 집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The Buddha taught that even truth - discerning awareness should not be grasped at or clung to because it is merely a part of Nature. Attaching to it will give rise to fresh delusion; there will be a person who has truth - discerning awareness, there will be MY truth - discerning awareness. Due to this attachment the mind will be weighed down with grasping and clinging, and lurch abou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that those things undergo; then there will be Dukkha. Knowledge should be looked on as being simply knowledge. If one deludedly grasps at or clings to it, it will give rise to the various kinds of 'Attachments to Rites and Rituals' [17]and one will experience Dukkha without realizing why.

붓다께서는 '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사띠빤냐)' 조차도 그것이 단지 자연 현상의 일부이므로 움켜쥐거나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고 가르치셨습니다. 그것에 집착하면 새로운 미혹(무지)이 일어나게 될 것입니다. '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이 있는 사람이 있을 것이며, 나의 사띠빤냐(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이 있을 것입니다. 이 집착 때문에 마음은 움켜쥠과 집착에 짓눌릴 것이며, 이것들이 겪는 변화에 따라 비틀거릴 것입니다. 그래서 둑카(고)가 있을 것입니다. 앎은 단순히 앎으로 바라보아야 합니다. 어리석게도 그 앎에 집착하면 여러 가지의 의례 의식에 집착이 일어날 것이며, 그 이유를 깨닫지 못하고 둑카(고)를 겪을 것입니다.  

 

Practising Dhamma is similar - it's just practice. It is a truth of nature that results always arise in proportion to the practice done. If one grasps at or clings to it as being 'I' or 'mine' then one falls into more error, creates another spurious self, and experiences Dukkha no differently than if one were clinging to something as gross as sexual desire.

담마를 실천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그것은 단지 실천입니다. 실천한 것에 따라 결과가 항상 일어나는 것은 자연 진리입니다. 실천을 '나'나 '내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하면 더욱 오류로 빠져들어, 다른 자아 개념을 생기게 하고, 성적욕망만큼 거친 것에 집착하는 경우와 다름없는 둑카(고)를 겪게 됩니다.

 

Reaching the Path Realizations, their Fruits and Nibbana; They are dhammas, parts of nature, that are 'such-as-they-are'. Even emptiness is a part of nature. If one grasps at or clings to it then it is a false Nibbana, a false emptiness because Nibbana, true emptiness, is ungraspable. Thus it may be said that on grasping at Nibbana or emptiness one deviates from it immediately.

도()의 깨달음, 그것의 과()와 닙바나(열반)에 이르는 것, 그것도 자연의 일부이고 '그러한 것'인 담마입니다. 빔(공)조차도 자연의 일부입니다. 그것(빔)에 집착하면 그것은 '그릇된 닙바나'입니다. 진정한 빔(공), 즉 닙바나는 움켜쥐지 않는 것이므로, 집착하면 '그릇된 빔(공)'입니다. 그러므로 닙바나(열반)나 빔(공)을 움켜쥐면, 그 즉시 닙바나에서 벗어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All these examples demonstrate that there is absolutely nothing at all apart from dhammas.  The word dhamma signifies nature. This interpretation is in line with the etymology of the word, for the word dhamma means 'a thing which maintains itself'. Dhamma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ose which flow and change and those that do not. Those that flow and change due to some generative force maintain their existence within that very flow and change i.e. they are the stream of transformation itself. That which being devoid of the necessary causal factors does not flow and change is Nibbana or emptiness. It is able to maintain itself without change i.e. it is the state of changelessness itself.

이 모든 예들은 담마가 아닌 것은 (절대적으로)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담마란 말은 '자연'을 의미합니다. 이 해석은 '담마'란 말이 '그 자체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어원과 일치합니다. 담마는 두 가지 범주로 나누어집니다. 변화하는 담마와 변화하지 않는 담마가 그것입니다. 어떤 생성력 때문에 변화하는 담마는 변화하는 가운데 그 존재를 유지합니다. 즉, 변화하는 담마는 그 자체가 변화의 흐름입니다. 필요한 원인요소가 없으므로 변화하지 않는 것이 닙바나 또는 빔(공)입니다. 그것은 변화없이 그 자체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즉, 그것은 변화없는 상태 그 자체입니다.

 

But the sort of dhamma which undergoes transformation and the sort that doesn't are both merely dhammas, things which maintain themselves in certain states. So there is nothing more than nature, nothing more than the elements of nature, and how can mere dhammas be 'I' or 'mine'? In this context 'dhammas' means nature, the natural, or in other words, dhammas are tathata, they are as they are, they can't be any other way. There are only dhammas. 'All things' are nothing but dhammas there are no dhammas apart from 'all things'.

그러나 변화하는 담마와 변화하지 않는 담마는 모두 어떤 상태로 그것이 유지되는 사물, 즉 단지 담마입니다. 그러므로 자연 이상의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자연요소 이상의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단순한(순수한) 담마가 어떻게 '나'나 '내 것'일 수 있겠습니까? 담마는 자연, 자연적임을 의미한다는 말, 또는 다른 말로 담마는 따타따(그러함)이라는 말은, 그것(담마)은 '있는 그대로' 있으며, '어떤 다른 방식일 수 없다는 것입니다. 단지 담마만이 있습니다. 모든 사물은 단지 담마이며, 모든 사물 외에 담마는 없습니다.

 

True Dhamma, no matter what part, topic, level or kind must be one with emptiness, completely void of self. Therefore we must look for emptiness in all things, or as we call them for short, in dhammas. To speak in terms of logic:

all things = dhammas

all things = emptiness

dhammas = emptiness

참 담마는, 어떤 부분이나 주제나 수준이나 종류이든지 빔(공)과 하나이며, 자아가 완전히 없는 상태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사물', 또는 줄여서 하나로 부르는 '담마'에서 빔(공)을 찾아야 합니다. 논리항으로 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모든 사물 = 담마

모든 사물 = 빔(공)

담마 = 빔(공)

 

It can be put in a number of ways, but the important point to understand is that there is nothing apart from empty nature. Nothing whatsoever should be grasped at or clung to as being 'I' or 'mine'. So from this it can be clearly seen that emptiness is the nature of all things. It is only by ending every kind of delusion that it can be discerned. To see emptiness there must be panna that is undeluded and undefiled.

많은 다른 식으로 표현할 수 있지만, 이해해야 할 중요한 점은 '빔'이라는 특성에서 분리된 것은 없다는 것입니다. '나'나 '내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해야 할 어떤 것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이것으로부터 빔은 모든 사물의 특성이라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모든 종류의 미혹(무지)에서 벗어날 때에만 알 수 있습니다. 빔(공)을 보면 그곳에는 미혹되지 않고 오염 안 된 빤냐(지혜)가 반드시 있습니다.

 

There is a further category of dhammas - the dhammas of avijja, of false knowing, reactions arising from the contact of the mind with the world of materiality. As was said earlier, when the dhamma which is mi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hamma which is materiality, a reaction takes place in the form of feeling. In regards to that feeling one may follow either the path of avijja or of vijja (clear knowing). Its form will depend on the external conditions and the nature of that group of sankharas (dhammas). Thus it's just another dhamma, a dhamma of ignorance, the grasping and clinging to an illusory self and to things as belonging to self. Don't forget that it's just a dhamma. Its true essence is emptiness.

마음과 (유형의) 물질 세계가 접촉하여 생기는 반응으로서 무지 또는 '그릇된 앎'이라는 범주의 담마도 있습니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마음이라는 담마가 유형의 물질이라는 담마와 접촉할 때, 그 반응이 느낌이라는 형태로 일어납니다. 그 느낌에서 아윗짜(미혹, 무지)의 길이나 윗짜(분명한 앎)의 길을 따르게 됩니다. 그 형태는 외적 조건과 상카라(담마) 그룹의 특성에 따라 다릅니다. 이와 같이 환영의 자아에 집착하고 사물을 자아에 속하는 것으로 집착하는 무지의 담마가 있게 됩니다. 이 무지의 담마도 단지 (다른 형태의) 담마입니다. 그것(무지)도 단지 담마라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그것의 참 본질은 빔(공)입니다.

 

Avijja is emptiness just as much as are vijja or Nibbana -they are all equally dhammas. If we look on them in this way we will see their emptiness of self continually. Dhammas of this level, even though they are one and the same thing as emptiness may still result in avijja, may still cause the illusion of self to arise in consciousness. So we should be aware of the dhammas of grasping and clinging and ignorance, which are also included in the phrase 'all things'.

아윗짜(avijja)도 윗짜(vijja) 또는 닙바나와 마찬가지로 빔(공)입니다. 이들은 모두 담마입니다. 이렇게 (윗짜와 아윗짜를) 볼 때 계속하여 그것들에는 자아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것들이 빔(공)으로서 하나이며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이 수준의 담마에는 아직 아윗짜가 일어나서 자아의 환영이 의식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또한 '모든 사물(담마)'이라는 말에 포함된, 움켜쥠과 집착과 무지의 담마를 알아야 합니다.

 

If we really know all things, this ignorant grasping and clinging won't take place. If we don't know them and just blindly follow our stupid and deluded animal instincts, it opens the doors to the dhammas of avijja over and over again.

진정으로 '모든 사물(담마)'을 알면, 이 어리석은 움켜쥠과 집착은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그것들을 모르고 어리석고 미혹된 동물적 본능에 단지 맹목적으로 따른다면, 계속하여 무지의 담마를 향해 문을 열어 놓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We who have grasping and clinging like an inheritance that has been passed down for an immeasurable time may see that from the moment of birth we received training from those around us, some intentional and some unintentional, solely in the ways of ignorance, solely in the ways of grasping at self and the belongings of self. Never once have we trained in the ways of selflessness. Children never receive that sort of training. They are taught only in terms of self. Originally, at birth a child's mind doesn't have much sense of self, but it learns it from its environment. As soon as it opens its eyes or is conscious of anything, it is taught to cling to it as being my father, my mother, my home, my food and even the dish that it eats from has to be MINE, no one else can use it. This unplanned process, the arising of ego-consciousness and its continual development and growth, follows its own laws. As for the contrary feeling of selflessness, it never arises. Thus by the time that the child has grown up and aged he is stuffed full of grasping and clinging and the mental defilements which are their cause, so that for him or her ego is life, life is ego. When the instinct of clinging to self is the ordinary life, that life is inseparable from Dukkha; it is heavy and oppressive, entangling, constricting, smothering, piercing and burning, all symptoms of Dukkha.

헤아릴 수 없는 시간동안 물려 내려온 유산처럼 움켜쥠과 집착이 있는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주위에 있는 것들에서 자의적으로 또는 타의적으로, 오로지 무지한 방식으로, 오로지 자아와 자아에 속하는 것에 집착하는 방식으로 훈육되었습니다. 결코 한번도 '자아없음(무아)의 방식으로 교육받지 못했습니다. 아이들은 이런 교육을 결코 받지 않았으며, 자아란 말로서만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원래 태어날 때 아이의 마음에는 '자아'란 느낌이 많이 없지만, 주위 환경에서 자아를 배웁니다. 눈을 뜨고 어떤 사물을 의식하자마자, 그 사물은 나의 아버지, 나의 어머니, 나의 집, 나의 음식과 이 음식을 담는 그릇 조차도 나의 것이며, 다른 사람은 사용할 수 없다고 집착하도록 가르쳐집니다. 이 무계획적인 과정, 자아 의식의 일어남, 및 자아 의식의 계속적 발달과 성장은 그 자체의 법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반면에 '자아없음'의 느낌은 결코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자라서 나이가 들게 되면 그 사람에게는 움켜쥠과 집착과, 그 원인인 정신적 오염원이 가득 채워집니다. 그래서 그 사람에게는 자아가 삶이며, 삶이 자아가 됩니다. 자아에 집착하는 특성이 일반적인 삶이 되었을 때, 그 삶은 둑카(고)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그 삶에는 무겁고 압박하며 얽히고 죄며 숨막히게 하고 찌르고 타게 하는 둑카(고)의 모든 징후가 있습니다.

 

So it follows that if there is grasping and clinging, even if it's to goodness, then that is Dukkha. In this sense that which the world assumes to be goodness is false or evil. Goodness is still Dukkha, it has the Dukkha appropriate to it, because it's not empty, it's still disturbed. Only where there is emptiness and one is beyond goodness can there be freedom from Dukkha.

그러므로 선한 것이라 하더라도 움켜쥠과 집착이 있다면, 그것은 둑카(고)라는 결론이 됩니다. 이런 점에서 세상이 선하다고 하는 것도 그릇된 것이며 해로운 것입니다. 선함도 아직 둑카입니다. 선함에도 그에 따른 둑카가 있습니다. 그것은 빔(공)이 아니고, 아직 그것에는 교란이 있기 때문입니다. 빔(공)이 있고 선함도 초월한 곳에만, 둑카(고)에서 해방이 있습니다. 


Therefore the main principle of the Buddhist Teachings, as elucidated in the phrase 'sabbe dhamma nalam abhinivesaya' is nothing other than the complete elimination of the grasping at or clinging to things as being self or as belonging to self. There is nothing beyond that.

그러므로 '삽베 날람 아비니웨사야'란 구절에 명료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붓다 가르침의 주 원리는, 사물을 자아나 자아에 속하는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하는 것을 완전히 소멸시키는 것입니다. 이것 외에 다른 것은 없습니다.

 

When we are completely identified with grasping, when we and grasping are truly just one thing, what can we do? Who can help the mind when it is in such a state?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s again nothing else but mind. It's already been stated that there is nothing other than dhammas : falseness is a dhamma, correctness is a dhamma, Dukkha is a dhamma, the extinguishing of Dukkha, the tool to remedy Dukkha is a dhamma, the mind is a dhamma and the body is a dhamma. Therefore, there being nothing other than dhammas, the answer must lie in the mind itself, depending on a mechanism compatible to it.

집착을 자신과 완전히 동일시하고 자신과 집착이 실제로 바로 하나가 되었을 때,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그런 상태가 되었을 때 누가 그 마음을 도울 수 있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다시 마음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담마가 아닌 것은 없다고 이미 말한 바가 있습니다. 그릇됨은 담마입니다. 올바름도 담마입니다. 둑카도 담마입니다. 둑카의 소멸과 둑카를 없애는 도구도 담마입니다. 마음도 담마이고 몸도 담마입니다. 따라서 담마가 아닌 것은 아무것도 없으므로, 대답은 마음 그 자체에 있으며 그에 적합한 메커니즘(기법)에 의해 (해결이) 좌우됩니다. 

 

Whether there is merit or demerit is up to us. If contact with the world leads to truth – discerning awareness then it is merit (punna). If contact with the world leads to an increase in foolishness and delusion then it's demerit (papa).

장점이 있는지 결점이 있는지는 우리에게 달려 있습니다. 세상과 접촉하여 사띠빤냐(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가 일어나면 장점(뿐냐)입니다. 세상과 접촉하여 어리석음과 미혹이 증가한다면 결점(빠빠)입니다.

 

If we observe, we can see that everyone is born equal­ - each and everyone of us have eyes, ears, a nose, a tongue, a body and a mind and outside each one of us, there are forms, sounds, smells, tastes, tactile and mental objects; everyone of us has the opportunity to contact those things and we all contact them in exactly the same way. So why is there this division between those who follow the path of foolishness, of demerit and harm, and those who follow the path of wisdom, of merit and benefit?

There is a good side to it in the sense that these harmful dhammas are a real protection for people, on the principle that if we experience suffering become chastened, we remember it. It's like the child who tries to take hold of fire. Once it has seen the consequences it is unlikely to do it again. With material things it's easy, but as for taking hold of the fire that it is grasping and clinging, the fires of greed, aversion and delusion, most of us aren't even aware that we're taking hold of fire at all. On the contrary we misguidedly believe them to be lovable and desirable and so we are not chastened, we don't learn our lesson.

자세히 관찰해 보면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태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모든 사람은 눈, 귀, 코, 혀, 몸, 및 마음이 있으며, 주위에는 형색, 소리, 냄새, 맛, 접촉 대상, 및 정신 대상이 있습니다. 모든 사람은 이것들에 접촉할 기회가 있고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접촉합니다. 그러면 어리석고 결점이 있으며 해로운 길을 따르는 자와, 지혜롭고 장점이 있으며 유익한 길을 따르는 자 사이에 왜 이런 구별이 있을까요?

이 해로운 담마는 실제로 사람을 보호한다는 점에서 그것에는 유익한 면이 있습니다. 그 원리는 사람이 고통을 겪으면 순화되어 이를 기억한다는 것입니다. 불을 잡으려고 하는 아이가 그 결과를 한번 알고 나면, 다시는 그 행동을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과 같습니다. 유형의 물질에 대해서는 쉽게 알지만, 움켜쥠과 집착의 불, 갈망과 미워함과 미혹의 불을 잡는 것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불을 잡고 있다는 것조차도 알지 못합니다. 반면에 그것들을 사랑스럽고 바람직한 것으로 잘못되게 믿어, 순화되지 못하고 담마를 배우지 않습니다.


There is only one remedy and that is to be aware of the true nature of these dhammas, to know that THESE DHAMMAS ARE A FIRE, that they cannot be grasped at or clung to. This is to be on the path of truth-discerning awareness, learning one's lesson, remembering that whenever anything is grasped at as "I" or "mine'; fire is ignited. It is not a fire that burns the hand but a fire that consumes the mind and heart. Sometimes it burns so deep that we aren't aware that it's a fire at all or that it is burning, and so we sink into the fiery mass that is Vattasamsara (the round of birth and death). It is the very hottest life, there is hotter than an electric oven. If we don't look on things like a child who has tried to take hold of fire and refuses to do so again, it can be like that.

단 하나의 치료책이 있습니다. 그것은 이 담마들의 참 성품을 알아서, 이 담마들은 집착할 대상이 아닌 불이라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이것은 사띠빤냐(진리를 식별하는 알아차림)의 길에 있는 것이며, 담마를 배워서 어떤 것을 '나'나 '내 것'으로 집착할 때마다, 즉 불이 점화될 때마다 기억하는 것입니다. 이 불은 손을 태우는 불이 아니라 마음과 가슴을 야위게 하는(태우는) 불입니다. 때로는 너무 깊게 타서 그것이 불인지 타고 있는지도 전혀 모릅니다. 그래서 왓따삼사라(탄생과 죽음의 순환)인 불타는 덩어리 속에 빠집니다. 그것은 가장 뜨거운 삶이며, 그곳은 전기 오븐보다 더 뜨겁습니다. 불을 잡으려고 하는 어린애와 같이 사물을 보지 않고 다시 그렇게 하기를 거절하지 않는다면, 그와 같을 수 있습니다.

 

Thus the Buddha explained that when the painful consequences of grasping and clinging are seen, the mind will relax its grip. So the question is, have we seen the painful consequences of grasping yet? If we haven't, then we haven't relaxed our grip and if we haven't relaxed our grip then we are not empty. On another occasion the Buddha taught that whenever one sees emptiness, then one finds contentment in Nibbana. Only when one begins to see the non–existence of self will the mind learn to find contentment in the ayatana of Nibbana. Anything which can be known through the eyes, ears, nose, tongue, body, or mind is called ayatana. Nibbana is called an ayatana here because  it is merely an object of knowledge. How can we be so foolish as not to see it? We will be able to know it from the moment that we see the state empty of self, because on the relaxation of grasping and clinging we will be content with the ayatana of Nibbana. But it's difficult, for as I've said, our life is one of constant grasping and when there is no abatement of that grasping there is no emptiness and so no contentment with the ayatana of Nibbana.

그러므로 붓다께서는 움켜쥠과 집착때문에 고통스런 결과가 있을 때, 마음은 그 움켜쥠을 완화할 것이라고 설명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아직 움켜쥠으로 인한 고통스런 결과를 아직 보지 못했는가?"라는 질문을 해 봅시다. 아직 보지 못했다면 움켜쥠을 늦추지 않을 것이고, 움켜쥠을 늦추지 않는다면 빔(공)이 없을 것입니다. 또 다른 때에 붓다께서는 빔(공)을 볼 때면, 언제나 닙바나(열반)에서 만족을 얻는다고 가르치셨습니다. 자아가 없음을 알기 시작할 때에만 마음은 닙바나라는 아야따나(ayatana)에서 만족을 얻는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눈, 귀, 코, 혀, 몸, 및 마음을 통해 알 수 있는 대상을 아야따나(ayatana)라 부릅니다. 닙바나는 단순히 앎의 대상이므로 여기에서 '아야타나'라 부릅니다. 어떻게 닙바나를 보지 못할 정도로 어리석을 수 있을까요? 자아가 없는 상태를 보는 순간에 닙바나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움켜쥠과 집착이 완화되면 닙바나라는 아야타나에서 만족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쉽지 않습니다. 말한 바와 같이 사람들의 삶은 계속되는 집착 중의 하나이고 그 집착이 누그러지지 않는다면 빔(공)이 없고 닙바나라는 아야따나에서 만족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We can see the truth or this point by taking a look at other religions. Other religions do not have the word attavadupadana (grasping at and clinging to dhammas as being 'I' or 'mine'). Why is this so? It is because they teach a self to be grasped at and clung to. Not regarding such grasping as wrong it becomes right, in fact it becomes the goal of the religion or sect. They teach the attainment of self. In the Buddhist Teachings however, attavadupadana is specified as a defilement, as foolishness and delusion, and the Buddhist practice lies in its complete relinquish­ment. Consequently the teaching of anatta is found only in Buddhism. Unlike the sects which teach a self to be grasped at or to be attained, we teach the complete destruction of self - consciousness so as to perceive the state of anatta, the state empty of self in all things.

다른 종교를 검토해 보면 진리 또는 이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다른 종교에서는 앗타와두빠나다(attavadupadana : 담마를 '나'나 '내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란 말이 없습니다. 왜 그럴까요? 그 종교에서는 움켜쥐고 집착하는 자아를 가르치기 때문입니다. 움켜쥠과 같은 것은 그릇된 것이라고 간주하지 않으므로 (움켜쥠이) 바른 것이 되어, 사실 그것(자아)은 그 종교나 종파의 목표가 되었습니다. 그 종교에서는 자아의 달성(완성)을 가르칩니다. 그러나 붓다 가르침에서는, 앗타와두빠다나(attavadupadana)는 어리석음과 미혹과 같이 오염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불교) 수행은 그것의 완전한 소멸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낫따(anatta ; 무아)의 가르침은 오직 불교에만 있습니다. 움켜쥐거나 얻어야 할 자아를 가르치는 파(종교)와는 다르게, 불교에서는 아낫따(무아)의 상태, 즉 모든 사물에 자아가 없는 상태를 알기 위해 '자아 의식'의 완전한 분쇄를 가르칩니다.

 

So anatta is talked about only by Buddhist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can arise only in those people who have been taught that all things are anatta and should not be grasped at or clung to. If one is taught that there is a self that must be grasped at and clung to then there is no way that one can practise  to realize truth the non - existence of self.

그러므로 아낫따(anatta : 무아)는 불교에서만 언급하고 있습니다. 앎과 지혜는 모든 사물이 아낫따(무아)이고 움켜쥐거나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고 배운 사람에게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움켜쥐거나 집착할 자아가 있다고 배우면, 무아의 진리를 깨닫는 실천을 할 길이 없습니다.

 

Thus we must examine the point that just as it is necess­ary to see the danger of fire in order to be afraid of being burnt, so also must we see the dangers of those things which are the root­ causes of all fires, the fires of greed, aversion, and delusion, of grasping and clinging, in order to become gradually bored with and averse to them, and be able to relax our grip on them without thought of lighting any more fires.

그러므로 타는 것을 두려워하도록 불의 위험을 볼 필요가 있는 것과 같이, 모든 불의 근원인 갈망과 미워함과 미혹의 불과 움켜쥠과 집착의 불의 위험을 보아야 한다는 점을 고찰해야 합니다. 그러면 점차적으로 그것들에 지루해하고 싫증내어 불을 더 지피려고 하지 않고 그것들에 대한 움켜쥠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