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민대학 향토탐방 7주차 효창공원 일대 답사
서울시립대학교 시민대학 제36기
향토문화탐방 : 2014년 11월4일 효창공원내 삼의사 묘 남이장군 사당 을 찾아
효창공원역 6호선 1번출구
답사지역: 효창공원내 삼의사 묘 남이장군 사당 용산신학교 원효로성당 등
* 해설 : 문학박사 박경룡 서울역사문화포럼회장 http://cafe.daum.net/scl2003
<답사지 요약>
( 삼의사 묘 )
1미터 높이의 석단을 쌓고 동쪽으로부터 백정기,이봉창,윤봉길의사의 묘와 비석이 서 있으며 안중근 의사묘는 시신의 행방을 찾지못해 가묘이다
백정기 의사 (1896~1936) 독립운동가로 호는 구파이며,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사서에 통달하고 식견이 높았습니다.
1919년 8월 경인문의 일본 군사시설을 파괴하려다 사전에 폭로되어 만주 봉천으로 망명하였고, 독립운동자금 조달을 위해 수차 국내에 잠입하여 활동하다가 경찰에 구속되기도 하였으며 주로 북경을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계속하였습니다. 1928년 5월 초에는 일본사품 배격운동을 지도하였고, 5월 말에는 남경에서 개최된 무정부주의자연맹에 한국대표로 참석했습니다. 1931년 한·중·일의 무정부주의자들이 모여 항일구국연맹을 결성, 적의 국경기관 및 수송기관의 파괴·요인사살·친일파 숙청 등을 목표로 "BTP(흑생공포단)'을 조직하여 배일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1933년 3월 17일 상해 홍구에 있는 일본요정에서 일본 주중대사 아리요시가 연회를 연다는 소식을 듣고 이강훈·원심창과 함께 습격하려 하다가 발각되어 나가사끼 법원에서 무기형을 선고 받고 복역중 옥사하셨습니다
이봉창 의사 (1908~1932) 독립운동가·의사로 용산 문창보통학교를 졸업하였으며 1931년 상해로 건거나 독립운동에 투신하였습니다. 얼마 뒤 김구 선생이 한인애국단에 가입시켜 일본천황폭살계획을 추진, 1932년 1월 8일 일본천황 히로히토가 동경교회 요요끼 연병장에서 관병식을 마치고 돌아갈 때 사꾸라다 문 앞에서 수류탄을 던졌으나 명중시키지 못하고 체포되고 말았습니다.
그해 10월 이찌가야 형무소에서 사형되었는데, 중국 국민단기관지<국민일보>는 「한국인 이봉창이 일황을 저격하였으나 불행하게도 명중시키지 못하였다」라고 보도하는 등 각 신문들이 대서특필하여 중·일 관계가 매우 악화, 상해사변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윤봉길 의사 (1908~1932) 독립운동가·의사로 1926년 농민계몽·농촌부흥운동·독서회운동 등으로 농촌부흥에 전력하였으며 1930년 만주로 망명, 1931년 상해임시정부의 김구 선생을 찾아가 독립운동에 투신하였습니다.
1932년 4월 26일 한인애국단에 입단하여 4월 29일 홍구공원에서 거행하는 일본 천황의 생일 기념식장에 폭탄을 던져 상해 일본군 사령관 시라까와 등을 죽게 하고 현장에서 붙잡혀 11월 18일 일본에 호송, 오사카 위수형무소에 수감되어 같은 해 12월 19일 총살형으로 순국하였습니다.
효창공원에 있는 삼의사묘에 백정기, 윤봉길, 이봉창의 유해를 안장하였는데 삼의사묘 정문에 「이 곳은 삼의사의 묘소이다. 삼의사는 망국의 설움을 가슴에 안고 청춘을 조국광복에 바쳤기에 그 이름 천추에 빛날 것이며, 그 충의 그 기백 또한 우리 겨레의 가슴속에 영원히 아로 새겨질 것이다」라고 소개되어 있습니다.
(김구 기념관)
(1876~1949) 독립운동가, 정치가로 1896년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명성황후의 원수를 갚는다 하고 일본 육군중위 쓰치다를 살해, 체포되어 사형이 확정되었으나 고종의 특사령으로 감형되어 복역중 1898년 탈옥하였니다.
1909년 안악양산학교 교사로 있다가 1919년 3.1운동 직후에 상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대 경무국장 국무령을 역임하면서 1928년 이동녕, 이시영 등과 한국독립당을 창당하였고 1931년에는 한인애국단을 조직하여 항일 무력활동을 지휘했습니다. 1940년 한국광복군을 조직하여 총사령관에 지청청, 참모장에 이범석을 임명하여 항일 무장부대를 편성하고 1941년 12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름으로 대일 선전포고를 하고 임전태세에 돌입 군사훈련을 지휘 하던 중 서안에서 8.15광복을 맞이하였습니다.
1945년11월 환국, 신탁통치반대운동에 적극 앞장섰으며 1948년 남한에서만의 총선거를 실시한다는 UN결의에 반대하여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남북협상을 제창, 4월19일 평양 남북협상 4자회담에 임하였으나 시련을 맞았습니다. 남북한의 단독정부가 세워진 뒤에도 민족통일운동을 전개하던 중 1949년 2월26일 육군소위 안두희에게 암살당하였습니다.
국민장으로 효창공원에 안장되었고 1962년에는 남산공원에 동상이 세워졌으며 저서로는 『백범일지』가 있습니다. 사단법인 백범기념사업회가 효창동 5의 38에 위치해 있습니다.
(남이장군 사당)
조선시대의 무신. 1457년 17세로 무과에 장원급제하여 세조의 지극한 총애를 받았으며 1457년 이시애의 반란을 평정하여 그 공으로 적사 공신1등에 책록되었습니다. 1468년 평소 그의 승진을 질투하던 유자광이 남이가 역모를 꾀한다고 모함하여 한강변 새남터에서 처형당했습니다.
이시애의 난 토벌 당시 용산에서 정병을 모집,훈련시켰고 한강변 새남터에서 처형당한 연유로 용산에 사당을 짓고 매년 음력 4월1일, 10월1일에 제향을 올리고 있습니다.
<답사지 들러보기>






























다음차수 향토탐방을 기약하며 세상사는이야기속이야기로 담아두고자 합니다.
*참고문헌 : 문화재청및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등
# 올린이: 금빛여울 01197221416@hanmail.net
* 찰영 카메라: sony A6000 A모드 렌즈 SEL 18-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