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 2023년 10월 15일(일)
장소 :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197
동구릉은 건원릉,현릉,목릉,휘릉,숭릉,혜릉,원릉,수릉,경릉으로 조성되어 있다.
건원릉健元陵 : 조선 제 1대 태조의 능(단릉)
현릉顯陵 : 조선 5대 문종과 현덕왕후의 능( 동원이강릉}
목릉穆陵 : 조선 14대 선조와 첫번째 왕비 의인왕후, 두번째 왕비 인목왕후의 능(동원이강릉)
휘릉徽陵 : 조선 16대 인조의 두 번째 왕비 장렬왕후의 능(단릉)
숭릉崇陵 : 조선 18대 현종과 명성왕후의 능(쌍릉)
혜릉惠陵 : 조선 20대 경종의 첫 번째 왕비 단의왕후의 능(단릉)
원릉元陵 : 조선 21대 영조와 두 번째 왕비 정순왕후의 능(쌍릉)
수릉綏陵 : 추존 문조(효명세자,익종))와 신정황후의 능(합장릉)
경릉景陵 : 조선 24대 헌종과 첫 번째 왕비 효현황후, 두 번째 왕비 효정황후의 능(삼연릉)
찾아가는길 : 경의중앙선 구리역 3번출구 ㅡ>2번 또는 6-1번 마을 버스탑승ㅡ>동구릉에서 하차
동구릉 정거장에서 하차하여 건널목을 건느면 동구릉입구이다. 음식점들이 보인다. 중국집 동춘옥, 해물칼국수집,동구릉까페 등
주차장이 일요일이라 그런지 많이 복잡해 보인다. 가능하면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좋을 듯하다.
매표소
입구 들어서면 대형 홍살문이 보인다.
- 재실
혜릉(경종의 비 단의왕후)
숭릉(현종과 명성왕후 김씨)
숭릉의 정자각은 조선의 왕릉 중 유일하게 남은 팔자지붕의 건물로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숭릉 연지
경릉(현종, 효현황후,효정황후)
원릉(영조와 정순왕후)
휘릉(인조의 두 번째 왕비 장렬왕후)
건원릉(태조)
건원릉의 봉분은 다른 왕릉과 달리 잔디가 아닌 억새로 덮여 있는데 "인조실록"의 기록에 의하면 태조의 유언에 따라 고향인 북도(함릉)위 억새를 덮은 것이라 한다.
비문과 비긱
수라간(제향을 올리는 음식을 준비하는 건물)
수복방(능을 지키는 수복이 머무는 건물)
목릉(선조,의인왕후,인목왕후)
목릉은 동원이강릉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홍살문을 기준으로 왼쪽 언덕이 선조, 중앙이 의인왕후, 오른쪽 언덕에 인목왕후의 능이 있다.
왼쪽 선조 오른쪽이 의인왕후의 능이 보인다.
인목왕후의 능
선조, 의인왕후
의인왕후의 능
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
현릉(문종과 현덕왕후)은 동원이강릉으로 조성되어 있다. 홍살문 또는 정자각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 언덕이 문종, 오른쪽 언덕이 현덕왕후의 능이다.
수릉(추존 문조와 신정왕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