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굴마라경 제2권
[문수사리와 앙굴마라의 대화]
그때 문수사리(文殊師利) 법왕자(法王子)가 부처님 처소에 와서 부처님의 발 아래 머리 조아리고 한쪽에 물러서서 앙굴마라를 보고 따라서 기뻐하는 마음이 생겨 게송으로 찬탄하였다.
거룩하다. 앙굴마라여
수승한 업을 이미 닦았으니
지금엔 크게 공한 법 닦아야 하리니
모든 법은 있는 바가 없다네.
그때 앙굴마라는 게송으로 물었다.
문수 법왕자여,
그대는 공(空) 보기가 으뜸이라 하나니
어떤 것이 이 세간에서
공한 법 잘 본 것이며
공함 그것은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
이 의심을 풀어 주옵소서.
그때 문수사리는 게송으로 대답하였다.
부처님께서는 마치 허공과 같아서
공하여 아무 모양 없으며
부처님께서는 마치 허공과 같아서
공하여 생기는 모양 없으며
부처님께서는 마치 허공과 같아서
공하여 아무 색상(色相) 없으시네.
법이 마치 허공과 같나니
여래의 미묘한 법신과
지혜도 마치 허공과 같다네
여래께서는 큰 지혜의 몸이라
여래의 걸림없는 그 지혜는
잡아볼 수도 만질 수도 없네.
그 해탈 마치 허공과 같아서
텅 비어 아무 모양 없으며
해탈이 바로 여래로서
비고 고요하여 아무것 없나니
그대, 앙굴마라가
어떻게 잘 알 수 있으랴.
그때 앙굴마라는 또 게송으로 말하였다.
마치 어떤 어리석은 범부가
우박을 보고 허망한 생각으로
유리구슬이라 여기고
가지고 제 집에 돌아가서
병 속에 넣어두고
진짜 보물처럼 아끼고 간수하다가
금방 녹아서 모두 없어지면
허전한 생각에 말없이 앉았다가
그 밖의 진짜 유리에도
모두 공한 생각하듯이
문수도 역시 그러하여
아주 공한 것 닦아 익히고
항상 공의 생각만을 하여
온갖 법을 부정해 버립니다.
해탈의 법 참으로 공함 아닌데
아주 공하다는 생각하나니
마치 우박이 녹는 것 보고
그 밖의 진짜 보물까지 부정함 같습니다.
그대도 역시 그와 같아서
아주 공하다는 생각 잘못하여
공한 법을 보고서는
공(空) 아닌 것도 공이라 합니다.
공한 다른 법도 있으며
공하지 않은 다른 법도 있나니
일체의 모든 번뇌는
저 우박과 같으며
온갖 불선법이 무너짐도
우박이 녹는 것 같습니다.
진짜 유리 보물은
여래의 항상 머무름 그것이니
그는 진짜 유리 보물 같아서
부처님의 해탈이라고 말합니다.
허공인 색(色)이 바로 부처요
색(色) 아님은 곧 2승(乘)이며
해탈인 색은 바로 부처요
색 아님은 곧 2승입니다.
어떻게 아주 공한 모양을
참 해탈이라고 말하겠습니까.
문수여, 부디 잘 생각해야 하나니
그는 모두 분별인 생각입니다.
마치 빈 마을과 마른 시냇물과
물이 없는 병들과 같아서
그릇까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속이 비어서 공이라고 말합니다.
여래의 참다운 해탈도
공함 아님 역시 그러하여
온갖 허물을 벗어났기에
해탈 공이라고 말합니다.
여래는 참으로 공함 아니거늘
일체의 온갖 번뇌와
하늘ㆍ사람의 5음(陰) 떠났기에
그러므로 공이라고 말합니다.
아,모기 같은 행만 닦아
진공(眞空)의 뜻을 알지 못하는군요.
외도도 또한 공을 닦나니
니건(尼乾)인 그대는 아무 말 마십시오.
그때 문수사리는 게송으로 물었다.
그대 앙굴마라여,
그 어떠한 인연으로
성문 대중을 공박하고
여러 불제자를 경멸하여
방자한 뜻으로 난폭하고
고함 소리 사나운 범 같으면서
누구더러 모기와 같은 행이라고 말하며
이러한 나쁜 소리를 하는가?
그때 앙굴마라는 게송으로 대답하였다.
비유컨대 못나고 겁 많은 이가
허허벌판에 노닐고 다니다가
갑자기 사나운 범의 기척 듣고서
겁을 내어 급히 달아나듯이
성문과 연각인 사람들도
대승법을 알지 못하다가
갑자기 보살의 소리를 듣고
겁내는 것도 역시 그와 같습니다.
비유컨대 큰 사자왕이
산 속 바위에 머물러 있으며
거닐거나 마음대로 소리 지르면
딴 짐승은 모두 겁을 내듯이
이와 같이 사람 중의 영웅인
보살 사자도 소리 지릅니다.
일체 성문인 대중과
모든 연각인 짐승들은
오랫동안 나[我] 없는 것만 익혔기에
비밀한 교법에는 미혹합니다.
설령 내가 야간(野干)울음만 하여도
모두들 대답 잘 못하는데
더구나 견줄 수 없는 사자의 소리를
어찌 감당하여 듣겠습니까.
그때 문수사리는 게송으로 물었다.
그대는 작은 모기로서
온갖 나쁜 짓만 저질렀나니
그대가 만일 보살이라면
어디에 악마가 있으랴.
아, 세상 사람들이여
스스로 깨닫지 못하여
자기의 허물은 살피지 않고
남의 허물만 보나니
그대 앙굴마라여,
얼마나 많은 죄를 지었는가?
그때 앙굴마라는 게송으로 대답하였다.
아, 지금 세상 사람 중에는
두 종류 사람이 정법(正法)을 파괴하나니
아주 공하다고만 말하는 이와
나가 있다고 말하는 그것입니다.
이와 같은 두 종류의 사람은
부처님의 바른 법 파괴합니다.
아, 그대 문수사리여
선과 악을 알지 못하고
보살의 행을 알지 못하니
그 차이는 모기와 사자입니다.
두려움 없는 보살의 행을
기이하게 나는 잘 알고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찬탄하는 보살행을
문수여, 지금 잘 들으십시오.
비유컨대 요술 잘하는 사람이
눈홀림인 모든 짓을 꾸미되
중생의 목숨 끊고 삼키는 짓으로
여러 대중에게 보이듯이
여러 부처님과 보살의
하시는 일도 모두 요술 같아서
자기 자신을 변화시키어
탄생과 열반을 보이십니다.
혹은 병 있는 겁[疾疫劫]에
몸을 보시하여 모두 먹게 하며
혹은 불타는 겁[火劫]을 보여
크나큰 온 땅이 모두 타게 하여
항상하다고 생각하는 중생들에게
그를 보여 무상함 알게 하며
혹은 칼부림하는 겁[刀兵劫]에
군사 일으키는 것 보여
모든 생명 죽여 끊되
그 수효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이나
사실은 해치는 것 없고
마치 요술로 하는 짓과 같습니다.
온갖 삼천대천세계를
겨자씨 속에 들어가게 하나
하나의 중생이라도
편치 못하게 괴롭힘 없습니다.
네 바다와 수미산을
한 털 구멍에 함께 들어가게 하나
모두를 괴롭히거나 핍박함 없고
그렇게 보인 후 본래와 같게 합니다.
혹은 하나의 발가락으로
시방세계를 진동하게 하나
중생을 괴롭히지 않나니
이것이 곧 부처님의 법입니다.
혹은 범천왕과 제석천왕 되며
세상지기 4천왕이 되기도 하여
한량없는 온갖 종류의 모양으로
모든 중생을 편히 위안합니다.
혹은 왕자와 대신(大臣)의 몸과
마을에 장사하는 이의 우두머리와
장자와 또는 거사(居士)의 몸으로
중생을 화합시키며 편안하게 합니다.
혹은 여러 하늘 사람이 되어
삿된 소견 가진 중생 교화하며
온갖 중생으로 태어남 보였기에
그러므로 본생(本生)이라 말합니다.
비유컨대 요술 부리는 사람이
허깨비 중생 죽임을 보고서도
아, 아주 나쁜 놈이라고
일찍이 슬퍼하거나 탄식하지 않나니
저 요술에 능란한 사람이
이것은 눈 홀림인 줄 알기 때문입니다.
나도 지금 그와 같아서
죽임 보여 중생을 교화하나니
법을 파괴하는 이 조복하기 위함이요
사실은 죽이는 일 없습니다.
저 부처님ㆍ세존께서
칼부림의 겁을 보이듯이
나도 지금 그와 같아서
보살의 행을 잘 닦고 있습니다.
아, 그대 문수사리여
모기와 같은 행만 닦았고
용상(龍象)인 세상 영웅[世雄]의
큰 지혜에 뜻을 두지 않았군요.
카페 게시글
[경] 앙굴마라경
앙굴마라경_8. 문수사리와 앙굴마라의 대화
바다
추천 0
조회 6
24.10.07 17:26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