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벨라르(Pierre Abélard, 1079-1142) 주변들
아버지 Béranger(1055경-) 군대 출신, 어머니 루시(Lucie, ?-?) 귀족 가문출신,
3남 1녀의 맏이다.
1079 아벨라르(Pierre Abélard, Petrus Abaelardus, 1079-1142), 귀족 가문출신
낭트부근 빨레에서(au Pallet près de Nantes)에서 태어났다. 프랑스 철학자, 변증론자, 신학자. 개념론의 발명자
1091[열한살] 샤르트르 학교(l'École de Chartres)에 다녔다. 3과를 배웠다.
이 과정에서 로쉬(Loches) 출신의 로스켈레누스의 학생(제자)들을 만났다.
1093[열넷] 그는 로쉬에 있었고, 1095년에도 있었으며,
1095-1099 1차 십자군의 진행과정
1096 제1차 십자군 전쟁 시작 : 모두 9차례(Croisades, 1096-1291) (I 1096-1099, II 1147-1149, III 1189-1192, IV 1202...
1097[열여덟] 아버지의 동의를 받아 그는 귀족의 시종이 되기를, 즉 군대의 직업을 거부했다(십자군에 참가하지 않았다.)
1099[스물] 로쉬, 로스켈레누스 학풍을 떠났다.
1100[스물하나] 파리로 오다.
파리 성당에서 기욤 드 샹뽀(Guillaume de Champeaux, 1070경-1121)의 강의를 들었다. 그리고 끌르와뜨를 학교(l'École du Cloître)의 부속학교(l’écolâtre)에 강의도 참석했다.
1101[스물둘] 그는 믈룅교회 부속학교에 자리를 얻었다.
1104[스물다섯] 그는 파리 남동쪽에 있는 꼬르베이(Corbeil)에서도 가르쳤다.
7년 동안 꼬르베이 백작령에서 가르쳤다.
1107[스물여덟] 아벨라르(Abélard)는 꼬르베이의 직위를 떠났다.
1108[스물아홉] 아벨라르는 파리학파들의 견해를 반박하면서 이들과 결별한다.
1110[서른하나], 에띠엔(Étienne de Garlande, 1070-1150)은 루이 6세의 호의로 파리 생쥬느비에브(Sainte-Geneviève) 수도원 원장이 되었다. 에띠엔은 교회 성직자이다. .
생쥬느비에브(Sainte-Geneviève) 수도원 학교에서 아벨라르는 3학(trivium) 중에서 변증법을 2년 간 가르쳤다. 이 자리는 앞선 강의자 로베르 드 믈룅(Robert de Melun, 1095경-1167)다음강의를 맡았다. 가가
1111[서른둘], 보편자들의 논쟁(Querelle des universaux, 1111), 기욤 드 샹뽀(Guillaume de Champeaux),
1112[서른셋] 쥬느비에브(Sainte-Geneviève) 수도원을 떠났다.
1113[서른넷] 안셀름 드 라온 가까이 라온(Laon)에 있으면서, 신학을 배웠다.
1113-1115 엘로이즈(1092-1164)의 음류시인 가수로 활동시기의 연가의 시기
1116[서른일곱] 아벨라르와 엘로이즈[스물넷] 사랑의 시기(1116-1117)
1117[서른여덟] 여름 아벨라르 거세 당하다..
1118[서른아홉] 생드니 수도원의 수도사가 되었다.
1120–1121 메종셀(Prieur de Maisoncelles) 수도원장.
1127 뤼스 수도원 (Abbé de Rhuys), 원장(1127–1132)
1142[예순셋] 샤롱 쉬르 손 가까이에 있는 생마르셀 수도원(au prieuré Saint-Marcel près de Chalon-sur-Saône)에서 세상을 떴다.
1144, 엘로이즈의 요구로, 아벨라르를 엘로이즈의 수도원으로 이장하다.
*
204 플로티노스(Plotin, Πλωτῖνος; lat.. Plotinus 204-270)탄생. 이집트 리코폴리스에서 알렉산드리아 학파. 엔네아데스(Les Ennéades, Ἐννεάδες, 254-270). 그는 세계에 대한 이해로서 세 가지 기저(trois « hypostases »)를 깨닫게 되었다. 일자(L'Un, ἐν), 지성(L'Intelligence, l'Intellect, νουϛ), 영혼 (L'Âme, ψυχη) [이말로 보면 중간에 점으로서 일자, 상층의 지성, 심층의 영혼이다. / 학설상 일자에서 누스로 그리고 영혼으로 연결되면 누스는 자연자체가 된다.]
234 포르퓌리오스(Porphyre de Tyr, Πορφύριος, 234–310경) 네오플라톤주의, 플로티노스의 제자. 플로티노스의 생애, 논리학 저술인Isagogè...
412 프로클로스(Proklus, Πρόκλος, 412-485), 별명: 계승자(Diadoque, διάδοχος, successeur), 아테네 네오플라톤주의 학파. 원인들의 책(Liber de Causis, Livre des Causes), Commentaires sur le premier livre des 'Éléments' d'Euclide, trad. P. Ver Eecke, Bruges, 1948, rééd. 1959.
45? 위-디오뉘시오스(Denys l'Areopagite, 490년경 활동) 신비적 신학의 크리스트교 논설 작가. 프로클로스의 영향을 받았다. Commentarium in Dionysium Areopagitam 'De mystica theologica'. Opera éd. Borgnet 1890 t. XIV p. 811-865. Sur le Pseudo-Denys l'Aréopagite (Théologie mystique).
- 디오뉘시오스(Dionysius the Areopagite: Διονύσιος ὁ Ἀρεοπαγίτης Dionysios ho Areopagitēs): 바울이 아테네에서 만난 법관.
480 보에티우스(Boèce, Anicius Manlius Severinus Boethius, 480-524), 철학자, 정치가. 로마인으로서 마지막 철학자. 로마 왕 테오도리쿠스(Théodoric le Grand)에게 실총하여 감옥에서 죽다.철학의 위안(La Consolation de Philosophie), De Trinitate
1033 성 안셀무스(St Anselmus, 1033-1109)의 사유에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전통을 다시 다룬다는 것이다. 그는 벡크 수도원에서 자신에게 영감을 준 랑프랑(Lanfranc du Bec, 1010-1089)을 계승하여 수도원의 수도원장이 되었고 1093년에 칸터베리 총주교.
1040 이브 드 샤르트르(Ives de Chartres, Yves de Chartres, 1040경-1116) 카톨릭 주교, 그레고리안 개혁에 참여, 서품논쟁에 활동했다. 종교령令(Decretum, (Décret), 1094
1050 로스켈레누스(Jean Roscelin, 1050경-1121)는 플라톤주의자, 그의 학설의 귀결들을 보게 되었다. 유명론의 꼬리표를 달고 있다고 요약되는 로스켈리누스의 관점들은, 이 모순발언자들(안셀무스와 아벨라르)의 몇몇 드문 발췌문들에 의해서만 알려진 관점들은, 보에티우스(480-524))의 논리학으로부터 생겨났던 것으로 보인다.
1050 베르놀트(Bernold de Constance, Bernoldus Constantiensis, 1050경-1100) 베네딕트 수도사, 독일 역사가. 그레고리안 개혁에 열렬한 참여자.
1050 라옹의 안셀름(Anselme de Laon, 1050/1055-1117) 중세 프랑스 철학자, 신학자. Sentences(1110경) Anselms von Laon Systematische Sentenzen, Münster, 1919, XVII-167 p.
1050 로스켈리누스(Jean Roscelin, Roscelin de Compiègne, Roscellinus, 1050경-1121) 프랑스 스콜라철학자. 유명론의 창설자. 아벨라르는 로스랭에게 배웠다.
1070 기욤 드 샹뽀(Guillaume de Champeaux, Guillelmus de Campellis, 1070경-1121) 파리 성당학교 교수. 1109 파리 생-빅토르 수도원 창설. Sententiæ.
1070 베르나르 드 샤르트르(Bernard de Chartres, Bernardus Carnotensis, 1070경-1130) 프랑스 플라톤주의 철학자. 사람들은 같은 샤르트르 학파 소속인 베르나르 실베스트르(Bernard Silvestre, 1100경-1165경)와 혼동하였다.
1076 질베르 드 포레(Gilbert de La Porrée, Gilbertus Poretta, Gilbert de Poitiers, 1076-1154), 스콜라 신학자, 프랑스 철학자. 1142년에 쁘와띠에 주교. Livre des Causes (Liber de causis) est un traité remanié de Proclus. 여섯 원리들(De sex Principiis ou Liber sex principiorum [Des six Principes]
1079 아벨라르(Pierre Abélard, Abaelardus, 1079-1142), 중세 프랑스 철학의 대표자. 보편논쟁에서 개념론 주장자. 1117년에 거세로 파국 난 엘로이즈(Héloïse, Έλούσα, 1092-1164)의 남편. 그렇다 그리고 아니다(Sic et non)(1121년 스와송 공의회를 위해 작성했으나 단죄 당했다.)
1079? 질베르 위니베르셀(Gilbert l'Universel (Gilbertus Universalis), ?-1134), 라옹학파, 앙제의 부속학교 교장, 런던 주교.
1080 아델라르 드 베스(Adélard de Bath, 1080경-1152경), 베네딕트 수도사, 과학자 수학자 철학자. 아랍애호가. 아랍어로 된 유클리드 기하학원론(Éléments d'Euclide)을 라틴어로 번역으로 유명하다. 동일자와 차이에 관하여(De eodem et diverso(Sur le même et le différent: un traité philosophique sous forme de dialogue)
1080 로버트 풀렌(Robert Pullen, Robert Pullus, 1080경-1150) 영국 고위성직자, 신학자, 추기경, 옥스퍼드 대학에서 강의.
1080 기욤 드 꽁쉬(Guillaume de Conches 1080-1154) 문법학자, 철학자, 샤르트르 학파. Philosophia mundi (vers 1120) 티마이오스에 관한 악평(Gloses sur le Timée (le Timée de Platon, 17a-53c)
1080? 조슬랭 드 비에르지(Joscelin de Vierzy[Soissons], Jocelin of Soissons, ?-1152) 프랑스 신학자. 아벨라르의 반대자.
1085 베르나르 실베스트르/베르나르두스 실베스트리스(Bernard Silvestre, Bernardus Silvestris, 1085-1160) 투르 출신 수도사, 습관적으로 샤르트르학파로 분류한다. 플라톤의 티마이오스편에서 영감을 받았다. 우주학(Cosmographia, ou De Mundi universitate sive Megacosmus et Microcosmus, 1147) - 종교의 옛 동반자인 교황 외젠 3세(Eugène III, 1080-1153)의 조언자
1085 알베릭 드 랭스(Albéric de Reims ou Aubry de Reims, 1085경-1141) 프랑스 신학자, 성직자. 부르쥬 대주교.
1085 기욤 드 셍-띠에리(Guillaume de Saint-Thierry (Guillelmus Sancti Theodorici), 1085경-1148), 베네딕트파 수도회에서 시스테리앙 수도파로 갔다. 성 베르나르의 친구이다. 신앙의 수수께끼(Aenigma fidei)
1090 베르나르(Saint Bernard, 1090–1153) Bernard de Clairvaux, 신비가, 카톨릭 성자, 클레르보 수도원원장, 시스테리안 수도원 개혁자. 형제가 다섯인데, 넷이 먼저 수도원에 그리고 막내도 참여했다. 십자군 참여를 독려한 연설가. 알비파를 몰살하는데 협력했다. 살아있는 신(De Diligendo Deo: De l'amour de Die= L'Amour de Dieu [« De amore Dei »], 숙고론(De la considération [« De consideratione »] [아벨라르의 11년 후배]
1095 로버트 드 믈룅(Robert de Melun, 1095경-1167), 영국 스콜라 신학자. 프랑스에서 활동했다. 히어포드(Hereford)의 주교를 지냈다. 아벨라르(1079-1142의 제자였으며, 쟝드 살리스버리(Jean de Salisbury, 1115경-1180)와 기욤 드 띠르(Guillaume de Tyr, 1130-1185)는 그의 제자이다.
1095 삐에르 드 브뤼스(Pierre De Bruys, 1095-1131), 프랑스 이단자. 1131년에 소멸하기전에 카톨릭 교회와 맹령하게 투쟁했다. 설에 따르면 산채로워 태웠다고 한다.
1096 위그 드 셍 빅토르(Hugues de Saint-Victor, lat. Hugo de Sancto Victore. 1096-1141) 철학자, 신학자, 신비작가. 교육서(Didascalicon, 1137)(부제 De arte legendi)(읽고, 가르치고, 교양을 쌓는 기술의 책)
Roger Baron(s.d.), (ed.). De contemplatione et ejus speciebus (La Contemplation et Ses Espèces). Desclée, 1955 De contemplatione et eius speciebus(La Contemplation et Ses Espèces).
1100 롬바르도(Pierre Lombard, it. Pietro Lombardo, 1100경-1164) 이탈리아 스콜라 신학자. 이탈리아 주교. 실체전환(Transsubstantiation) 논의의 중심이며 4차 라트란 공의회(1215)에서 독단(dogme 교리)으로 확정되었다. 네권의 평결문들(Quatre livres de sentences(1150-1152, 결정판 1155-1158), 1145년에 파리 노트르담 학교의 교수(« magister », professeur)가 되었다.
1100 삐에르 망죄르(Pierre le Mangeur, Petrus Comestor, 1100경-1179) 파리에서 삐에르 롱바르 강의 수강, Historia Scholastica(교직자와 설교자를 위한).
1100 띠에리 드 샤르트르(Thierry de Chartres, 1100-1150) 플라톤 철학자. 또는 테오도릭(Théodoric de Chartres), 아마도 베르나르(Bernard de Chartres 1070경-1130)의 동생일 것이다.
1100 고띠에 드 모르따뉴(Gautier de Mortagne, en. Walter of Mortagne, 1100경–1174) 프랑스 스콜라 철학자, 신학자. 라온의 주교(1151–1174). Epistola Guillelmi de Mauritania ad Hugonem priorem S. Victoris 프랑스의 네 가지 미로들에 반대하여(Contra quatuor labyrinthos Franciae(Against the Four Labyrinths of France: 4명은 Abelard, Gilbert de la Porrée, Peter Lombard, and Peter of Poitiers)를 지칭한다. 저자는 신앙의 불가사의를 밝히는데 논리학의 사용을 단죄한다.)
1100 아르노 브레스키아(Arnaud de Brescia, 1100-1155), 이탈리아 교회 개혁가. 그는 부와 교회의 타락을 비판했다. 1145년 로마에 꼬뮌을 결성하고자 했다. 1148년에 이단으로 축출되었다. 그의 꼬뮨은 전설이되어, 이단들과 혁명가들의 존경을 받고 있다.
1100 아당 뒤 쁘띠-뽕(Adam du Petit-Pont, 1100경–1180) 영국 출신 논리학자, 철학자. 카톨릭 신부.
1110 리챠르 드 생-빅토르(Richard de Saint-Victor, 1110-1173)은 스코틀랜드(또는 아일랜드) 수도사. 1162년에 생-빅토르 수도 원장이 되었다. De gratia contemplationis, seu Benjamin major.(“시편” 131장 8절에 대한 설명: fr.wiki에 착오가 있는 것 같다. 한글로는 131장은 3절까지 이고 132장 8절에 있다. / 아니, 시편 131:8 Surge, Domine, in requiem tuam, tu et arca santificationis tuæ: Levez-vous, Seigneur, pour votre repos, vous et l'arche de votre action sainte 또는 Lève-toi, Eternel, viens à ton lieu de repos, Toi et l'arche de ta majesté!. / 개역개정판: 132:8 여호와여 일어나사 주의 권능의 궤와 함께 평안한 곳으로 들어가소서.) [들뢰즈 “천고” ‘5장 587년’에서, l'arche가 궤이며, 라틴어로 arca이다. 방주이기도 하다.]
1110앙드레 드 생-빅토르(André de Saint-Victor 1110-1175) 빅토리아 수도사, 신학자. 위그에 의해 경전의 과학적 주해석자. 히브리어 진리로 회귀로 유명하다.
1115 쟝 드 살리스버리(Jean de Salisbury, Joannis Saresberiensis, 1115경-1180) 영국 철학자, 역사가, 샤르트르 학파로 여행자. 메타논리학(Metalogicon, 1175경). The Letters of John of Salisbury,(2 vols., ed. and trans. W. J. Millor and H. E. Butler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79–86).
- 코르니피키우스(Cornificius, s.d.) 등장 인물(쟝드 살리스버리가 등장시킨)
- 로베르: Cf. Robert, Les Ecoles, etc., p. 69 note. [Robert de Melun, Ars meliduna (L'art de Melun, entre 1154 et 1180 : œuvre de l'école de Robert de Melun)]
1115 알랭 드 릴(Alain de Lille, ou Alain de L'Isle, lat. Alanus ab Insulis, 1115-1203) 프랑스 시인이며 신학자. 시토 수도원에서 별세. 신학의 규칙들(Règles de théologie, 1192경-1194), 자연의 슬픔들(De planctu naturae (les Lamentations de la Nature, 1168-1172)(The Complaint of Nature), 카톨릭 신앙의 기예(Ars catholicae fidei, 1200경), 이단학자들에 반대하여(Contra Haereticos, Contre les hérétiques, vers 1190-1200).
1118 토마스 벡케트(Thomas Becket, Thomas de Londres, saint Thomas de Cantorbéry, 1118-1170) 칸터베리 대주교(1162 à 1170). 그는 1160년대에 영국왕(앙리2세 플란타제네트)와 카톨리교회의 특권에 관한 투쟁을 벌였다. 그는 왕의 찬성자편에게 암살 당했다.
1125 삐에르 드 쁘와띠에(Pierre de Poitiers, Petrus Pictaviensis, 1125/1130-1205) 클리니파 수도사. 교부 신학자, 빅토이아 학파에 속하기도 한다. 그는 평결문(Sentences)들의 총서를 다섯 권으로 발간했다.
1129 엘로이즈 파라끌레(La fondation du Paraclet, 1129-1131) 수도원 창설
1130? 라울 아르당(Raoul Ardent, lat. Radulphus Ardens, 1140이전-1200), 프랑스 신학자. 설교자(prédicateur) Speculum universale(encyclopédie de la foi chrétienne, en 14 livres (le 6e n'ayant jamais été écrit), composée entre 1193 et 1200)
1130 이노센트 2세(Innocent II (Gregorio Papareschi), ?-1143, 재위 1130-1143) 164대 교황, 2차 라트랑 공의회 주재자.
1135 죠아생 드 플로르(Joachim de Flore, 1135경-1202) 시토파 수도사, 카톨릭 신학자.
1140 발데스(Pierre Vaudès ou Valdès, Pierre Valdo, 1140-1217) 리용의 상인, 복음 설교자. 경전번역에 스스로 돈을 냈다 그는 “la fraternité des Pauvres de Lyon”을 창설하여 발도파 운동을 전개했다. 그는 1184년에 축출 당했고, 그의 운동은 박해 당했다.
1140, 상스(Sens) 공의회: 1140년 아벨라르 입장에 대한 지역 공의회, 베르나르의 선동을 단죄하였다.
1143 카스텔로(Pope Celestine II (Guido di Castello), 1375-1144, 재위 1143–1144) 교황.
1150 아모리 드 샤르트르(Amaury de Chartres ou Amaury de Bène (en latin, Amalricus de Bene, 1150경-1207) 프랑스 철학자, 신학자.
1160 다비드 드 디낭(David de Dinant, 1160경-1217경) 프랑스 철학자, 신학자. 교황 이노센트 3세의 교황청에서 살았다. 파리 대학에서 가르쳤다. De Tomis, id est de divisionibus,
1198 이노센트 3세(Innocent III, Lotario, de la famille des comtes de Segni, 1160–1216) 재위 1198-1216). 중세의 위대한 교황들의 한사람으로 추앙받는다. 세속 왕권에 대해 영적 권한의 우위를 주장했다.
1200 알베르투스(Saint Albert le Grand, Albertus Magnus, 1200-1280) 도미니크 수도사, 독일 철학자, 신학자, 박물학자, 연금술사.
1214 부빈 전투(Bataille de Bouvines, 1214)은 1214년 7월 27일에 일어난 중세 전투로, 프랑스-영국 전쟁을 종결 지었다. 브류타뉴와 노르망디의 앙주 지역에 대한 프랑스 왕의 주권을 인정하여, 필리프 2세(Philippe II, 1165-1223)는 중세 프랑스의 발전에 토대를 마련했다.
1225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d'Aquin, 1225-1274) 이탈리아 도미니크 수도사. 철학자, 신학자.
*
1792 꾸쟁(Victor Cousin, 1792-1867) 프랑스 철학자, 정치가. Ouvrages inédits d'Abélard pour servir à l'histoire de la philosophie scolastique en France 1836
1800 미뉴(Jacques-Paul Migne, 1800-1875) 프랑스 신부, 인쇄가, 종교서적 편집자. 교부저작 전집(Patrologia Latina, fr. Patrologie(1841-1855)(교부들 127권, 인덱스3권: 테르툴리아누스부터 이노센트 3세까지 10세기) / 르낭(E. Renan, 1823-1892)의 열전과 달리, 그 당대의 철학을 볼 수 있다.
1812 오레오(Jean-Barthélemy Hauréau, 1812-1896), 프랑스 역사가, 기자, 행정가. Hugues de Saint-Victor, 1859)
1820 프란틀(Carl Prantl, Karl von Prantl, 1820-1888) 독일 철학자. Geschichte der Logik im Abendland.(4 Bände. München 1855–1870);
1862 르페브르(Georges-Joseph Lefèvre, 1862-1929), 철학자. 릴대학 학장, Les variations de Guillaume de Champeaux et la question des universaux (1898) Anselmi Laudunensis et Radulfi fratris ejus Sententias excerptas, 1895
1875 그라프만(Martin Grabmann, 1875-1949) 독일 독단론자, 신학자, 철학자, 역사가. 중세 신학 전문가. Die Geschichte der scholastischen Methode(2 vol., 1909-1911.)
1876? 가브리엘 로베르(Gabriel Robert[1876-?], Abbé ; 정보없음. 아마도 같은 도미니크 수도사로서 저들의 선배일 것 같다. Les Ecoles et l'enseignement de la théologie pendant la première moitié du XIIe siècle, 1909.
1880 게이에(Bernhard Geyer, 1880-1974) 독일 카톨릭 사제, 신학자. « Radulphus Ardens und das Speculum universale », Theologische Quartalschrift, 93, 1911, p. 63-89. [라울 아르당(Raoul Ardent, lat. Radulphus Ardens, 1140이전-1200)]
1903 알베르니(Marie-Thérèse d'Alverny, 1903-1991) 프랑스 여성 사학자. 사서. 1963년 알랭 드 릴로 박사학위. L’obit de Raoul Ardemt, Archives d’hist. doctr., 1940-1942.
(6:34, 58M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