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주거문화
낮은 일본집 - 일본건물들은 높지않다
일본의 건물들은 높지 않다. 그리고 목조건물이 많다. 이것은 일본의 가장 큰 자연재해인 지진 때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 건물이 낮을수록 무너질 확률 또한 낮아지며, 콘크리트 건물보다 목조건물이 흔들림에 훨씬 강하기 때문에, 지진이 많이 일어나는 일본에서 자연스럽게 높지 않은 목조건물이 지어지게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때문에 오히려 화재에는 취약하다는 단점도 있다. 95년 고베지진 때 6천여명의 사망자를 낸 것도 목조건물의 화재가 큰 원인이었다고 하니 아이러니라 할 수 있다. 게다가 목조건물은 방음이 잘 되지 않아 옆방뿐이 아니라 옆집까지 소음에 노출되기 쉽상이다. 그렇다고 목조건물이 문제점만 있느냐? 그건 아니다. 일본의 무더운 여름에는 목조건물이 더위해소에도 크게 한몫한다.
'일본의 집'하면 좁다는 느낌을 갖는데 그것은 도시화에 따른 도쿄의 엄청난 주택난에 따른 것이다. 우리나라처럼 뚝딱하고 재빨리 고층아파트를 짓지 않는 일본에서 주택난은 어쩔 수 없는 골칫거리일수 밖에 없다. 세계 최고수준의 집값은 아무리 소득수준이 높은 일본인이라 해도 감당하기 힘든 것이다.
일본 집의 구조적 특성
▣ 다타미 (疊)
한국에 온돌이 있다면 일본에는 다타미가 있다. 다타미는 일본 주거문화생활의 가장 큰 특징이자 우리와의 가장 큰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몇평인가로 방의 크기를 말한다면 일본은 다타미 몇 장인가로 방의 크기를 말한다. 다타미 두장정도가 우리의 한평과 맞먹는다. 일본이 다타미 문화가 된 것은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그 이유로는 우선 다타미가 습기나 냉기 조절에 아주 뛰어나기 때문이다. 다타미는 습기가 많은 여름철이면 습기를 빨아들이고 겨울철에는 방바닥이 차가워지는 것을 막아준다. 여름에는 돗자리, 겨울에는 카페트의 역할을 해주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무릎을 꿇고 앉는 것이 일반적인 일본인들의 생활 습관으로 볼 때도 다타미가 쿠션의 역할을 하면서 저리기 쉬운 다리를 보호해주기도 한다.
<바닥에 깔린 것이 다타미 입니다>
▣ 도코노마 (床の間)
도코노마는 그림이나 꽂꽂이를 감상하기 위해 다다미방 벽면에 만들어둔 공간을 말한다. 방바닥을 약간 높여 벽에 족자를 걸고, 그 앞에 화병이나 장식품을 올려 두었다. 하지만 생활하기도 좁은데, 족자가 뭐고 화병이 또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집도 좁은데 그만한 공간이 있으면 차라리 텔레비젼을 하나 사다 두겠다는 게 현재를 사는 일본인의 심정인가보다. 어느새인가 도코노마는 점점 사라져버려 이제 도코노마가 갖추어진 집은 거의 없다.
▣ 고타쓰 (こたつ)
고타쓰는 일본의 유일한 난방도구라 할 수 있다. 낮은 책상 같이 생긴 곳에 적외선 등을 달고 이불을 덮은 뒤 이불위에 또 윗판을 덮고 그 아래에 발을 넣어 몸을 덥히는 도구이다. 고타쓰를 굳이 우리것과 비교하자면 옛날 우리나라의 화로불 정도가 되려나? 화로불가가 가족들이 모여 군밤이나 군고구마 까먹으면서 이야기꽃을 피우던 친목의 장소였듯이, 고타쓰는 식구들이 둘러 앉아 식탁이나 책상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동의 생활공간이라 할 수 있다.
<사진의 인물들이 상 밑에 발을 넣고 있는 것이 보입니다>
일본의 전통가옥
일본의 전통가옥은 주로 목조로 짓고 지진이 많아서 벽돌은 쓰지 않는다. 이층집이 대부분이다.
전통가옥의 구조
① 겐칸 玄關 (げんかん):
집안으로 들어 갈 때 현관에서 사람을 부르기도 하며 신을 벗고 슬리퍼로 갈아 신고 들어 간다. 대체로 깨끗이 청소가 되어 있고 꽃이나 장식품이 있다. 간단한 용무는 현관에서 마치기도 한다.
② 다타미 방 (だだみの へや):
옛날부터 귀족들의 집에서는 접을 수 있는 깔개를 깔고 지냈다. 다타무(たたむ)란 '접는다'라는 뜻이다. 현재는 짚으로 된 매트리스와 같은 다타미를 방바닥에 고정시켜서 깔고 몇 년이 지나서 낡아지면 바꾸고 하게 되었다. 와시츠(和室,わしつ)라고도 하며, 다타미 방에 들어 갈 때에는 슬립퍼를 벗는다
일본 속담에 「起きて半疊, 寢て一疊」이라는 표현이 있다. 즉 일어나 앉아 있으면 다다미 반장이 필요하고 누우면 한 장이라는 말이다. 이는 일본인의 체격과 관련이 있는 말이다. 다타미의 사이즈는 칸토 지방에서는 세로 176cm에 가로 88cm이고, 칸사이 지방에서는 세로180cm 가로 90cm이며 두께는 5.5cm이다. 와시츠(和室)의 크기를 말할 때에는 다타미 가 몇 장 깔려 있는가를 기준으로 한다. 가장 작은 방은 三疊이고, 그 다음으로 四疊 半, 六疊,八첩, 十疊, 十二疊 등이 있다. 부동산에서 집을 구할 때 2DK(식사할 수 있는 부엌과 다타미방 2개), 3DK등으로 말한다.
③ 오시이레 (押し入れ おしいれ):
다타미 방의 한 면에는 보통 붙박이 벽장이 있다. 깊이가 90cm, 폭은 방의 크기에 따라서 90cm, 180cm, 270cm로 되어 있다. 미닫이문으로 되어서 옆으로 밀어서 열고 닫으며 문은 종이로 발랐다. 열어 보면 내부가 위아래의 두 칸으로 나뉘어져 있어서 위칸에는 요와 이 불(ふとん ), 아래 칸에는 방석이나 잡동사니를 넣는다.
④ 후스마 (ふすま):
가느다란 나무틀을 짜서 양면에 두껍고 튼튼한 종이나 헝겊을 바를 문을 가리킨다. 종이 자체가 아름답고 방과 방사이나 오시이레의 문에 사용된다.
방과 방 사이는 두꺼운 종이를 안팎으로 바른 문으로 구분하고, 방과 마루사이에는 밑 부분에는 유리 위 부분에는 창호지로 된 문을 달아서 습기와 통풍을 조절한다. 밤에는 덧문을 닫아 비바람과 추위를 막기도 한다.
⑤ 쇼지 (障子 しょじ):
가느다란 나무 틀에 일본의 전통인 종이 '와시'를 한 장 발라서 채광이 가능하도록 한 창 문..
⑥ 도코노마 (床の間 とこのま):
한 쪽에 약간 턱을 높게 하고 인형이나 꽃꽂이로 장식하고 그림이나 붓글씨의 족자를 걸어 놓은 곳이며 그 방의 상좌를 나타낸다. 개인 주택에서만이 아니라 공식연회장 같은 곳에서 도 이 자리가 상석으로 정해져 있다. 집에 손님이 찾아 오면 손님은 도코노마를 등지고 앉 고 주인은 그 맞은편에 앉는다.
무로마치(室町:1336∼1573) 시대에 다도, 꽃꽂이, 전통가면, 전통시조등 전통문화가 발달 함에 따라서 생긴 것으로 본다.
⑦ 고타츠 (こたつ):
정사각형 모양의 밥상 같은 판에 밑으로는 전구가 달려 있어서 열을 내고 이불을 덮고 사 람들이 둘러앉아 발을 그 속에 넣소 몸을 따뜻하게 한다. 식사도 하고 신문도 읽고 숙제도 하고 텔레비전도 보고 자기 전에는 온 식구가 모이는 곳이다.
⑧ 후로바 ふろ場(ば):
보통 가정에서는 목욕탕과 화장실이 따로따로 분리되어 있다. 먼저 발판이 깔린 '씻는 곳'(洗い場, あらいば)에서 몸을 씻는다. 가족 전원이 한번 데운 목욕물(お湯, おゆ)을 차례 차례로 사용한다. 가스로 물을 데울 때에는 물의 뚜껑을 덮고 데우고 다음 날 다시 사용하고 싶은 때에도 플라스틱이나 나무판으로 된 뚜껑을 덮는다. 최근에는 샤워가 달려 있는 곳도 있다.
⑨ 아마도 (雨戶 あまど):
비바람, 이나 추위를 막기 위해서 전통가옥에서는 유리창문의 밖에 아마도라는 두꺼운 판 대기로 된 덧문을 설치한다. 해가 뜨면 이를 열고 방에 다시 닫는다. 발 처럼 생긴 '스다 레'( すだれ)를 아마도 밖에 매달아 강한 햇빛을 차단한다.
<개폐 전후의 사진입니다>
⑩ 갓테구치 (勝手口 かってぐち):
옛날 말로 부엌을 '갓테'라고 불렀다. 주로 여자들이 장을 보러 가거나 주문배달인 소바, 스시,등 '데마에'(てまえ)를 받는 문이다. '우라구치(うらぐち)라고도 하며 요즈음은 초인 종이나 인터폰이 달려 있는 집도 있다.
<우리나라로 치면 일반 현관문을 칭합니다>
첫댓글 오~~ 좋은 자료~~ 어제 남은 시간에 보여주었으면 좋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