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가의문문(Tag Question)
https://blog.naver.com/jydecor/20086065825
자신이 말하는 것에 대해 상대의 동의를
구하거나 확인하는 의도가 내포된 문장으로
평서문의 뒤에 짧게 덧붙인 의문문(평서문
뒤에 붙는다 하여 부가 의문문)으로,
이것은 특히 구어(口語)에 쓰인다.일반적으로
긍정문 뒤에는 부정의 부가의문문을,
부정문 뒤에는 긍정의 부가의문문을 덧 붙인다.
☀용법
- 앞문장(주절)이 긍정이면 부정의 부가의문문,
앞문장(주절)이 부정이면 긍정의 부가의문문을 사용.
- 부가의문문의 주어는 항상 대명사를 쓰며,
동사와 not은 축약형을 사용.
- 주절에 be동사가 있을 땐 be동사,
조동사가 있을 땐 조동사,
일반동사는 do를 사용.
They are listening to the radio, aren't they?
She can't speak French, can she?
Tom has a book, doesn't he? (○,옳음)
☞have는 일반동사로『가지고 있다』의 뜻임.
Tom has a book, hasn't he? (×,틀림)
You bought a new car, didn't you?
1 : 부정의 부가 의문문
앞의 문장이 긍정일 때에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부정의 부가의문문을 붙인다.
(1) 「주어+be동사 ∼,
be동사의 부정 단축형+대명사 주어」
•John is diligent, isn't he?(John⇒he )↘
(긍정문) (부정 부가의문문)
존은 부지런하지요,안 그래요?
▶Yes, he is. (동의)
네, 그렇습니다.
--
•John is diligent, isn't he?↗
존은 부지런하지요,안 그래요?
▶Yes, he is.(확인)
네, 그렇습니다.
▶No, he isn't.(확인)
아니오, 그는 아닙니다.
☞평서문 뒤에 붙는다 하여 부가 의문문.
긍정문이므로 부정으로 되묻고
고유명사(John)를 대명사(he)로 받았다.
참고 :am I not?과 aren't I?
•I'm right, am I not?[격식]
(내 말이 맞지,안 그래?)
--
주어가 I 일땐 be동사가 am 을 쓴다.
이게 부정이 되면 am not 이라고 하나
amn't 는 am not의 축약형이긴 하다.
are not 은 aren't,is not 은 isn't 라고 쓴다.
그러나 모국인들은 관용적으로
•I'm right, aren't I? [비격식]
(내 말이 맞지,안 그래?)
이렇게 비격식을 격식으로 인정하고
사용한다고 한다.아주 특수한 경우다.
am I not ? 으로 쓰거나,축약했을 때
aren't I ? 이렇게 쓰는 것을 격식으로
보고 있다.한국인인 우리 입장에서
볼 때는 웃기는 것이다.
amn't 는 am not의 축약형이긴 한데,
스코틀랜드 영어와 아일랜드 영어에서 쓰며,
비표준이라고 되어 있다.주로 노래 등에서
가사의 내용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하는데,
일반적인 대화나 격식적인 글에서는 거의 찾아
볼 수 없고, am not 의 축약은 aren't 를
주로 사용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
am not 의 직접적인 단축형이 없기 때문에,
구어체에서, aren't 를 사용하기도 한다.
표현은 비록 사용되기는 하지만,
비문법적(비격식)으로 본다.
그러나, am not 의 축약형으로, ain't 가
있으며 ain't I 표현은 문법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Aren't I allowed to park here?(비격식)
=Ain't I allowed to park here? ( O )
=Am I not allowed to park here? ( O )
이곳(/여기)에 주차하면 안 되나요?
--
I am wrong, aren't I?
나는 틀렸어요,그렇죠?
I’m taller than her, aren’t I?
내가 그녀보다 키가 더 크지, 그지?
I'm making real progress, aren't I?
내가 정말로 나아져가고 있지,그렇지?
I am a father who doesn't attend to
children, aren't I? 나는 아이들을 돌보지
않는 아빠이다,그렇지?
--
Mary is kind, isn’t she?
메리는 친절해요, 안 그래요?
They are students, aren’t they?
그들은 학생이에요, 안 그래요?
She's doing her best, isn't she?
(= She is doing her best.)
그녀는 최선을 다하고 있어요,안 그래요?
(=그녀는 최선을 다하고 있다.)
Bob was sleeping, wasn’t he?
밥은 자고 있었죠, 안 그런가요?
She's done her best, hasn't she?
(= She has done her best.)
그녀는 최선을 다했어, 그렇지 않니?
(=그녀는 최선을 다했다.)
You've been to Busan, haven't you?
당신은 부산에 갔다 왔죠, 안 그래요?
★완료시제 문장에서는 have로 쓴다.
보충 학습 :현재완료 have(has) been to (in)
문맥에 따라 그 뜻이 다르므로
주의해야 한다.
I have been to Busan twice.
나는 부산에 두 번 갔다 온 적이 있다.[경험]
I have been to Busan.
나는 부산에 갔다 왔다. [완료]
I have been in Busan.
나는 부산에 있은 적이 있다. [경험]
He has been in Korea for three years.
그는 3년 동안 한국에 있어 왔다. [계속]
(2) 「주어+일반동사 ∼,
don’t / doesn’t / didn’t+대명사 주어」
You love Mary, don’t you?
(긍정문) (부정 부가의문문)
당신은 메리를 사랑하죠, 안 그런가요?
☞평서문 뒤에 붙는다 하여 부가 의문문.
You go to church, don't you?
당신은 교회에 다니죠,안 그래요?
You have to study English, don't you?
당신은 영어를 공부해야 하죠, 안 그래요?
★have to는 부가의문문에서
반드시 have 대신 do를 사용한다.
Your sister likes reading novels, doesn’t she?
당신의 여동생은 소설 읽는 것을 좋아하죠, 안 그래요?)
Bill told you about it, didn’t he?
빌이 당신에게 그것에 대해 말했죠, 안 그래요?
You'd better go at once, hadn't you?
너는 즉시 가는 것이 좋겠다, 그렇지 않니?
★You'd는 You had의 축약형이며
had better의 부가의문문은 hadn't이다.
(3) 「주어+조동사 ~,
조동사의 부정 단축형+대명사 주어」
You can play the violin, can’t you?
(긍정문) (부정 부가의문문)
당신은 바이올린을 연주할 수 있죠, 안 그래요?
☞평서문 뒤에 붙는다 하여 부가 의문문.
Mike could do the job, couldn’t he?
마이크는 그 일을 할 수 있었죠, 안 그래요?
You should study harder, shouldn't you?
너는 더 열심히 공부해야 해, 그렇지 않니?
I ought to go by plane, shouldn't I?
나는 비행기로 가야만 해, 그렇지 않니?
주의 : 주어가 this, that일 때는 it로 받고,
these나 those일 때는 they로 받는다.
This is your car, isn’t it?
이것은 당신의 차죠, 안 그래요?
Those are Joan’s notebooks, aren’t they?
그것들은 조안의 공책이죠, 안 그래요?
✪본문에 쓰인 be동사, 조동사는 그대로 쓰며,
본문의 동사가 일반동사이면 do(es), did를 쓴다.
그리고 본문의 주어는 부가의문문에서는 대명사로
나타내어야 한다.
This bag is yours, isn't it?
Mr. Kim can do it, can't he?
2 : 긍정의 부가 의문문
앞의 문장이 부정일 때에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긍정의 부가의문문을 붙인다.
(1) 「주어+be동사의 부정형 ~,
be동사+대명사 주어」
John isn’t diligent, is he?(John⇒he )
(부정문) (긍정 부가의문문)
존은 부지런하지 않죠, 그렇죠?
☞평서문 뒤에 붙는다 하여 부가 의문문.
Mary isn’t kind, is she? (Mary⇒she )
메리는 친절하지 않죠, 그렇죠?
They aren’t students, are they?
그들은 학생이 아니죠, 그렇죠?
Bob wasn’t sleeping, was he?
밥은 자고 있지 않았죠, 그렇죠?
Your sister isn't tall, is she?
당신 여동생은 키가 크지 않죠, 그렇죠?
We have no time, do we?
우린 시간이 없어, 그렇지?
He seldom came here, did he?
그는 거의 여기에 오지 않았어, 그렇지?
★주절에 no, nothing, seldom, hardly,
scarcely 등이 있을 경우,
이들 자체가 부정의 뜻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부가의문문은 긍정으로 쓴다.
(2) 「주어+일반동사의 부정형 ~,
do/does/did+대명사 주어」
You don’t love Mary, do you?
(부정문) (긍정 부가의문문)
당신은 메리를 사랑하지 않죠, 그렇죠?
☞평서문 뒤에 붙는다 하여 부가 의문문.
You don't go to church, do you?
당신은 교회에 다니지 않죠, 그렇죠?
Your sister doesn’t like reading novels,
does she? 당신의 여동생은 소설책
읽는 것을 좋아하지 않죠, 그렇죠?)
Bill didn’t tell you about it, did he?(빌은
그것에 대해 당신에게 말하지 않았죠, 그렇죠?)
(3) 「주어+조동사의 부정형 ~,
조동사+대명사 주어」
You can’t play the violin, can you?
(부정문) (긍정 부가의문문)
당신은 바이올린은 연주할 수 없죠, 그렇죠?
☞평서문 뒤에 붙는다 하여 부가 의문문.
Mike couldn’t do the job, could he?
마이크는 그 일을 할 수 없었죠, 그렇죠?
(4) 명령문의 부가의문문
「주절에 관계없이 언제나⇒will you?로 쓴다.
단, 권유의 뜻으로 쓰인 명령문은
won't you? 를 사용.」
❋Let's~.명령문의 부가의문은 ⇒shall we이다.
Do it at once, will you?
즉시 그것을 해 주시겠습니까?
Have a cup of coffee, won't you?
커피 한 잔 하실래요?
---
보충 학습 : 부가의문문의 읽기
부가의문문의 끝을 내려(↘) 읽는 경우에는
서로 잘 알고 있는 사실에 대하여 상대방의
동의를 구할 때는 끝을 내려(↘) 읽는다.
그러나, 상대방에게 자기가 말한 것을
확인하고자 할 때는 끝을 올려(↗) 읽는다.
•You are tired, aren't you?↘
당신은 피곤하죠, 안 그래요?
▶Yes, I am. (동의)
•This is your car, isn't it?↗
이것은 당신 차입니다,안 그래요?
▶Yes, it is.(확인)
네, 그렇습니다.
▶No, it isn't.(확인)
아니오, 그것은 아닙니다.
보충 학습 :기타 부가의문문 관련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기 위해 말의
꼬리에 뭍는 의문문으로 주어까지만
다시 사용.
앞이 긍정이면 부정, 앞이 부정이면 긍정
He is happy, isn't he?
그는 행복해요. 그렇죠(혹시 그렇지 않은가요?
<의견과 반대로 되물으면서 자신의 대답에
확신을 얻기 위함>
She loves you, doesn't she?
그녀는 당신을 사랑해요, 그렇죠?
I am wrong, aren't I?
나는 틀렸어요,그렇죠?
I’m taller than her, aren’t I?
내가 그녀보다 키가 더 크지, 그지?
I'm making real progress, aren't I?
내가 정말로 나아져가고 있지,그렇지?
He is not bright, is he?
그는 총명하지 않아요, 그렇죠?
He will not come back, will he?
그는 돌아오지 않을 것 입니다. 그렇죠?
✪복문구조에서 주의할 부가의문문 :
문맥을 고려해서 동의를 구하는 부분의
주어 선정
I think he is right, isn't he?
나는 그가 옳다고 생각해요. 그렇죠?
He thinks I am right, doesn't he?
그는 내가 옳다고 생각해요. 그렇죠?
✪축약된 복문구조에서 주의할 부가의문문 :
it is의 생략형
No wonder he likes you, is it?
그가 당신을 좋아하는 것은 놀랄일이
아니에요. 그렇죠?
No doubt he will come back, is it?
그가 돌아올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어요,
그렇죠?
✪주어가 달라지는 부가의문문 :
(this,that = it / these,those = they)
That will give you a break, won't it?
그것은 당신에게 여유를 줄 것입니다,그렇죠?
Those were the good old days, weren't they?
그것들은 좋았던 옛시절이었어요,그렇죠?
✪Used to와 had better, would rather 등의
부가의문문 :
They used to drink a lot, didn't they?
그들은 술을 많이 마시곤 했어요,그렇죠?
She had better stay home, hadn't she?
그녀는 집에 머무는 것이 더 좋아요,그렇죠?
You would rather not metnion this again,
would you? 당신은 이것을 다시 언급하지
않는게 좋아요,그렇죠?
✪and 등 등위절로 연결되면 마지막 주어를
부가의문문으로 :
He speaks french and his wife doesn't speak
it, does she? 그는 불어를 하고 그의 아내는
하지 못해요,그렇죠?
I speak English and I can make myself
understood in English, can't I? 나는 영어를
하고 영어로 내 자신을 이해시킬 수 있어요,
그렇죠?
✪관계사절은 주절을 부가의문문으로 :
I am a father who doesn't attend to children,
aren't I?
나는 아이들을 돌보지 않는 아빠이다,그렇지?
She is a woman who can't be serious,
isn't she?
그녀는 심각할 수 없는 여성이다,그렇지?
✪There be 유도부사의 부가의무문
주어는 there :
There are too many people sitting on the floor,
aren't there? 바닥에 앉아 있는 많은 사람들이
있어요,그렇죠?
There doesn't have to be a fun time
in the course, must there? 그 과정에는
재미있는 시간은 있을 필요가 없어요,그렇죠?
✪명령문, 권유문, 청유문의 부가의문문 :
Please open the door, will you /would you?
(부탁이나 명령) 문을 열어주세요,네?
Don't smoke in my office, will you?
(부탁이나 명령) 내 사무실에서 흡연을 하지
마세요,네?
Come have tea with me, won't you?
(권유) 와서 나랑 차를 마십시다,네?
Let's not go out, shall we?
(청유) 나가지 맙시다,네?
✪모든 부가의문문은 Okay? 나 right 등으로
대체가능 :
이 경우는 "내말이 맞지" 정도로 해석.
huh? 등 감탄사로 부가 의문문을 할 수 도.
원칙상 부정관사로 이루어진 주어는 특정
주어가 아니므로 부가의문문을 일반 의문문
형식으로 받지 않고 포괄적 의미의 right?로
받는 것이 합당.
A man is walking across the stree, right?
한 사람이 길을 건너고 있다,맞지?
Everybody loves this music, right?
모두가 이 음악을 사랑한다,맞지?
He always comes late, huh?
그는 늘 늦게 온다,맞지?
You don't like it, right?
당신은 이것을 좋아하지 않는다,맞지?
You are not afraid, okay?
당신은 두렵지 않아,맞지?
✪의문문에 대한 대답 :
yes일 경우 긍정동사를 쓰고,
no일 경우 부정동사를 씀.
•Aren't you hungry?
당신은 배고프지 않나요?
→Yes (I am). 배고파요.
→No (I am not). 고프지 않아요.
•Are you hungry?
당신은 배고프나요?
→Yes (I am). 배고파요.
→No (I am not).고프지 않아요.
출처:Internet,etc. & JOHN KIM's additional wo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