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나 강의, 영업 등을 업으로 삼는 직업군처럼 목소리를 많이 사용하는 직업이 아니라면 딱히 목소리 잠김이나 성대질환이 발생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언제고 일상생활에서 항상 목소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목소리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성대결절과 같은 질환이 걸리지 않는 것은 아니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만약 특별한 이유 없이 목이 자꾸 쉬거나 칼칼한 느낌, 건조감, 이물감 등이 반복된다면 성대결절을 의심해보고 성대결절원인 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성대는 목소리를 내는 기관으로 성대 조직이 양쪽으로 미닫이문처럼 열고 닫히며 소리를 냅니다. 성대도 다른 호흡기 조직처럼 점막이 존재하며 이 점막이 손상되면 딱딱하게 굳어 성대가 제대로 붙지 않게 됩니다. 양 성대가 서로 붙어서 진동을 내며 소리를 내다보니 성대 손상으로 인해 성대가 제대로 붙지 않으면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물론, 성대결절원인 은 성대에 손상이 갈 정도로 잦은 마찰을 일으키는 것에 있습니다. 따라서 목소리를 자주 쓰는 직업을 가진 경우 성대결절에 노출될 가능성인 높은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꼭 직업상 목소리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해도 성대결절이 올 수 있습니다. 평소 말을 많이 하는 성격이거나 목소리 조절이 어려운 아이들에게서도 흔히 성대결절이 발생합니다. 핵심은 자연스러운 발성이 아니라 무리해서 큰 소리를 내는 것 자체만으로도 성대결절원인 이 되고 성대 손상이 생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간혹 똑같이 목소리가 쉬고 목 잠김 증상이 나타나는 성대폴립과 혼동하는 때도 있습니다. 성대폴립 역시 성대결절원인 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고 증상이 비슷하다 보니 헷갈리는 경우가 있지만 성대결절원인 과 병변에 차이가 있어 치료 방법 역시 달라집니다.
성대결절은 앞서 말한 것처럼 성대조직이 딱딱하게 굳은살이 된 것이라면 성대폴립은 물집이 생겨 발성에 문제가 생긴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결절의 경우 성대 점막을 보호하고 강화하는 방식으로 치료가 진행되고, 폴립은 물집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치료가 진행됩니다.
더욱 빠르게 목 잠김, 목쉼 증상을 개선하고 싶다면 무엇보다 빠르게 초기 증상을 알아채고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목이 잠기거나 쉬는 것이 워낙 일상에서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일이다 보니 빨리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일상 대화에서는 큰 문제가 없는데 큰소리를 내거나 노래를 부르려고 할 때 발성이 제한되는 경우, 평소 말을 많이 하는 편이라면 계속해서 목쉼, 목 잠김 증상이 지속하는 경우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간혹 성대결절에는 속삭이는 소리를 내는 것이 좋다고 알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려드리자면 성대결절에는 아예 목소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오히려 속삭이는 소리를 내면 성대 움직임은 최소화하면서 근육을 움직여야 하므로 긴장이 더 많이 생기고 목에 부담이 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평소 수분 섭취를 많이 하고 과로를 피하는 등 충분한 휴식이 필수입니다. 가능한 구호흡은 하지 마시고 공기와 많이 맞닿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당장 증상이 좋아지더라도, 앞으로 재발하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니 평소 관심을 많이 기울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