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티브 (Socrative)의 웹 형식!
소크라티브 사이트 주소입니다. www.socrative.com
소크라티브를 활용하는 방법으로는 선생님역할과 학생의 역할이 따로 있답니당.
제일 먼저, 선생님은 회원가입을 하셔야합니다.
첫번째 !!회원가입을 하는 방법입니다.
선생님이 회원가입을 하는 방법은 두 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 웹 사이트에서 무료 계정에 가입하는 방법
1. www.socrative.com 으로 이동합니다 .
2. 무료 계정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
3. 개인정보를 입력한 뒤 제출을 클릭합니다 .
- 앱을 통해 무료 계정에 가입하는 방법
1. Socrative Teacher 앱을 다운로드한 후 실행합니다 .
2. 무료 계정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
3. 개인 정보를 입력한 후 제출을 클릭합니다 .
두번째! 로그인하는 방법입니다.
선생님은 여기서도 소크라티브를 활용하는 방법이 두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 웹 사이트에서 교사 로그인 하는 방법
1. www.socrative.com 으로 이동합니다 .
2. 교사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
3. Socrative 계정의 이메일 주소와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
- 앱을 통해 로그인하는 방법
1. 모바일 기기에서 Socrative Teacher 앱을 엽니다 .
2. Socrative 계정의 이메일 주소와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
- 앱으로 학생 로그인 하는 방법
1. www.socrative.com 으로 이동하여 학생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
2. 학생이 귀하의 교유한 ‘교실코드 ’를 ‘학생 참가 교실 ’필드에 입력한 다음 교실 참가를 클릭합니다 .
3. 학생은 귀하의 교실에 입장하고 로그아웃 할 때까지 귀하가 시작한 모든 활동을 받게 됩니다 .
학생은 따로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
APP 을 설치하고 교사가 알려준 Room Name 을 쓰면 됩니다 .
이름입력은 익명 or 실명 모두 가능합니다 .
세번째! 객관식 문제 출제방법입니다.
1. 대시보드에서 간단문제를 선택합니다 .
2. 객관식 문제를 클릭합니다 . 답안이 교실에 로그인한 학생에게 직접 보내지고 ‘라이브 결과 ’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
3. 작업을 종료하기 위해 마침을 클릭하면 학생들에게 대기 화면이 표시됩니다 .
네번째! 예 /아니오 문제 출제방법입니다.
1. 대시보드에서 문제를 클릭합니다 .
2. 예 /아니오를 클릭합니다 . 답안이 교실에 로그인한 학생에게 직접 보내지고
‘라이브결과 ’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
3. 작업을 종료하기 위해 마침을 클릭하면 학생들에게 대기 화면이 표시됩니다 .
다섯번째! 단답형 간단 문제 출제방법입니다.
1. 대시보드에서 간단문제를 클릭한 다음 단답형을 클릭합니다 .
2. 문제를 텍스트 상자에 입력하여 학생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 빈칸으로 남기고 큰 소리로 학생에게 질문합니다 .
3. 학생이 하나의 답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려면 단일 (기본값 )을 클릭하고 ,
원하는 만큼 여러번 답할 수 있도록 무제한을 클릭합니다 .
4. 학생이 익명으로 답하도록 만들려면 익명 (기본값 )을 클릭하거나 , 학생이 이름을 기입하도록 하려면 필수를 클릭합니다 .
5. 시작을 클릭하면 교실에 로그인한 학생 앞으로 텍스트 상자 (입력한 경우 , 문제포함 )가
바로 전송되고 ‘라이브 결과 ’가 사용자 화면에 나타납니다 .
6. 활동을 종료하기 위해 마침을 클릭하면 학생들에게 대기 화면이 표시됩니다 . 작업에 대한 보고서 받기를 선택할 것인지 ,
차트 보기를 선택해 라이브 결과로 되돌아 갈 것인지 , 아니면 대시보드로 이동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
7. 보고서 받기를 선택한 경우에는 선택 가능한 보고 옵션이 표시됩니다 . 보고서 유형을 선택한 후 ,
보고서를 받을 방법을 클릭하십시오 .
여섯번째! 단답형 간단 문제에서 투표를 시작하는 방법입니다.
1. 학생들이 단답형 간략한 문제 풀기를 다 끝냈을 때 투표시작을 클릭하십시오.
2. 학생들은 수업반의 응답을 객관식 문제 질문 옵션으로 보게 됩니다 .
3. 당신이 선택한 기준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투표하도록 시킨 다음 , 실시간 투표 결과를 화면에서 확인합니다 .
4. 투표활동이 끝났으면 마침을 클릭합니다 .
일곱번째! 스페이스 레이스 제공입니다 .
1. 대시보드에서 스페이스 레이스를 클릭합니다 .
2. 스페이스 레이스로 제공하고 싶은 퀴즈를 선택합니다 .
3. 팀수를 선택합니다 .
4. 학생들이 스스로 팀을 선택하도록 할 것인지 임의의 팀에 배정되도록 할 것인지 선택하십시오 .
5. 게임 속도를 높이기 위해 즉각 피드백 팝업을 해제하려면 회색 표시된 아니오 버튼을 클릭하여 ‘예 ’로 변경합니다 .
6. 시작을 클릭하면 레이스가 시작됩니다 .
7. 활동을 종료하기 위해 마침을 클릭하면 학생들에게 대기 화면이 표시됩니다 .
여기까지가 소크라티브의 활용 방법입니당.
이제부터는 저희조가 어플을 활용해본 어플 활용 사례입니다.
▶ 특별수업이나 , 보건수업 (금연지도 , 학교폭력 , 성교육 )을 진행할 때 학생들이 느끼기에 민감하거나 예민하게 반응할 수 있는 질문들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 익명성이 보장 되므로 학생들의 솔직한 대답을 유도할 수 있다 .
▶ 통계를 즉시 확인하면서 교사가 수업을 진행할 방향성을 잡을 수 있다 . 대상은 학생 뿐 아니라 학부모가 될 수도 있고 , 교원이 될 수도 있다 .
▶ 실제로 만나서 설문조사를 진행하기 어려운 상황일 때 소크라티브를 활용하여 보다 원활하고 간단하게 설문조사를 진행할 수 있다 .
▶ 실제로 보건수업을 진행한다는 가정을 하고 소크라티브를 활용해 보았다 .
(활용 방법 은 한 사람이 선생님이 되어 Socrative Teacher App 을 활용해 문제를 출제하고 Room name 을 조원들에게 공지 한 후 조원들은 학생 /학부모가 되어 설문조사를 참여하였다 .)
▶성교육 수업
첫 번째로 , 학생들에게 성교육을 진행하기 전 사전지식을 알아보거나 , 진행하고 난 후 앞으로의 성교육 수업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 방향성을 잡기 위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
질문 형식 - 객관식

1) 교사가 정한 Room Name으로 들어간다.
2) 실명 or 익명을 쓰고 완료를 누른다.
3) 질문이 나오고, 질문을 누르고 답변제공을 누르면 된다.
4) 답변을 하지 않으면 다음 답변으로 넘어갈 수 없다.
8) 모든 질문을 답변하면 위의 화면이 나오고, 결과를 볼 수 있다.
9) 각각의 질문의 답변 및 %를 알 수 있다.
▶학교 폭력 수업
성교육 수업과 마찬가지로 학생들의 폭력실태를 파악하고 폭력을 예방 , 근절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
질문 형식 - 객관식

▶사자성어 퀴즈
수업을 진행하면서 게임이나 팀플레이가 필요할 때 미리
준비해간 사자성어 문제를 두 팀으로 나눠서 진행하였다 .
문제 형식 - 단답식

마지막으로 저희 조가 소크라티브 앱을 SWOT 분석해보았습니다.
가 . 강점 : 소크라티브의 장점
① 평가가 비교적 간단하고 한눈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
② 도입 , 전개 , 마무리에 맞게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
③ 다양한 퀴즈의 틀과 형식을 가지고 있다 . (우주레이스 , 팀별 레이스)
나 . 약점 : 소크라티브의 보완점
① 교사가 미리 질문을 다양하게 준비해야 한다 .
② 학생들에게 핸드폰이 요구된다 .
③ 와이파이나 핸드폰 인터넷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 .
④웹으로 할 경우 학생들이 모두 컴퓨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심플로우 같은 경우는 1 개의 웹 그리고 스마트폰으로 수업을 이끌어갈 수 있음 )
⑤ 수업과 평가 그리고 설문조사 까지는 할 수 있지만 프레젠테이션에는 적합하지 않다 .
(프레젠테이션을 따로 준비하고 그것을 받쳐주는 자료를 소크라티브로 하는 방법이 있다 .)
다 . 기회 : 소크라티브의 적합성
① 도입부분 : 학생의 사전지식을 파악하고 수업의 전개방향과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
② 전개부분 : 간단한 게임이나 , 팀 레이스를 통해 수업의 집중도와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
③ 마무리부분 : 교사가 수업한 내용을 학생이 제대로 이해했는지 간단한 절차로 확인할 수 있다 .
④ 수업을 설계할 때 도입 , 전개 , 마무리에 맞게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
⑤ 수업의 평가 :수업의 평가를 보다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할 수 있다 .
(확실한 통계치를 그 자리에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시험 결과를 바로 발표할 수도 있다 )
⑥ 수업의 진행 : 수업을 진행하면서 수업의 이해도를 체크 그리고 그 방향성을 인지하여 교사가 수업을 이끌어 갈 수 있다 . (하지만 이것은 심플로우와 동일 )
⑦ 아이스브레이크 (팀레이스 , 우주레이스 등 심플로우 보다 더 다양한 방식과 틀을 가지고 있어서 지속적으로 수업하는 반에 지루함을 덜어줄 수 있다 .)
라 . 위험 : 소크라티브의 문제점
① 교사 중심적이거나 교사제한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 .
② 객관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학생들의 의문점이나 이해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
③ 자칫 학생들이 흥미가 없을 때 임의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 .
첫댓글 사진을 좀 더 올리고 글씨체도 크게 하면서 예쁘게 올리고 싶었는데.. 용량이 너무 적어서 몇 번을 시도해보다가 결국 포기했습니다.ㅠㅠ 1m 이상의 게시물은 등록이 안되서.. ㅠㅠ 너무 딱딱해보여도 이해해주세요ㅠㅠ
소크라티브 사용법을 잘 몰라 고민하고 있었는데, 여기서 보고 배웠습니다. 학생들 가르칠 때 사용하려고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