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주변 해류 흐름도 ( 쿠로시오해류-북태평야해류-캘리포니아해류-북적도해류-쿠로시오해류-대마나류
-황해난류와 동안나류로 분리됨.)
대마난류-황해난류로 우리나라 상육 ( 4~5년에서 10년에 나타남.1/100만bg/h 로 미미할 것으로 사료됨.
우리나라 주변의 해류
해류란?
1. 정의2. 원인
2.1. 표층 해류
2.1.1. 쿠로시오 해류2.1.2. 자세히
2.2. 심층 해류
2.2.1. 발생 원인
3. 특징4. 해류 대순환5. 해류의 종류
5.1. 명칭에 따른 분류5.2. 생성 원인에 따른 분류5.3. 온도에 따른 분류
6. 여담
1. 정의[편집]
海流 / ocean current
해류란 바닷물의 지속적이고 일정한 흐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작은 규모의 와류나 파도 같은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거시적인 규모거나 그 이상의 규모에서만 적용되는 용어이다. 해류가 움직이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다. 그리고 그 원인들에 따라 바람과 그의 마찰력에 의해 생기는 취송류(吹送流), 온도와 염분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밀도 차이에 의해 생기는 밀도류(密度流), 해수면의 경사로 인해 생기는 경사류(傾斜流), 해수의 이동에 따른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서 움직이는 보류(補流)로 나눈다. 온도에 따라서 한류와 난류로 나누기도 한다.
2. 원인[편집]
해류는 작용 기작에 의해 크게 '표층 해류'와 '심층 해류'로 나뉜다.
2.1. 표층 해류[편집]
'표층해류는 일반적으로 바람에 의해 생긴다.' 라고 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편서풍이나 극동풍 같이 일정한 방향으로 부는 바람에 의해 해수가 일정하게 움직이는 것이라 생각하면 쉽다.
2.1.1. 쿠로시오 해류[편집]
한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해류이다.
북적도 해류로 부터 올라온 해류는 대한민국과 일본을 만나게 되는데, 태평양의 중심 쪽에 위치한 해류는 그냥 북태평양 해류로 움직이고, 일본 가까이의 해류는 황해 난류, 동한 난류, 쓰시마 난류로 다시 나뉘게 된다. 그러나 황해 난류는 세력이 약화되어 해류로서의 영향을 거의 하지 못하게 되고, 동한 난류는 리만 해류로부터 갈라진 북한 한류와 만나 울릉도와 독도 부근에서 조경 수역을 형성하게 된다.
2.1.2. 자세히[편집]
해류에 대해 좀 더 정확히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기압차에 의해 바람이 형성되고, 이 바람이 해수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친다. 이때, 에크만 수송의 원리에 의해 바람이 해수를 해양의 북쪽으로 편향시킨다. 이로 인해 해수의 북쪽에 물언덕이 형성되고, 이는 수압 경도력을 형성한다. 한편, 지구의 자전에 의해 해수에도 전향력이 생기며, 이는 해수의 남쪽으로 작용한다. 그러면서 수압 경도력과 전향력의 평형으로 인해 해수가 서쪽으로 이동하는 지형류를 만들어 낸다. 이 지형류는 탁월풍에 의해 생겨나는 해수이동의 공백을 자연스럽게 채워주어 거대한 원형의 흐름을 만들어 주며, 이러한 흐름은 환류라고 정의된다.
일반적인 경우에서의 표층 해류를 물어본다면, 대게 위에서 서술한 환류의 부분 부분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위의 내용을 설명해주면 된다. 하지만 해류의 정의는 '바닷물의 지속적이고 일정한 흐름'을 뜻하므로, 일정한 성질만 있다면, 위에서 서술한 내용과 다르더라도 해류로 봐도 무방하다고 알아두자.
2.2. 심층 해류[편집]
밀도에 의해서 움직인다. 유체의 기본성질에 따라, 해수는 온도가 낮아지거나 염분이 높아지면 밀도가 높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해수는 계절, 장소, 위도, 지형 등에 따라 밀도가 천차만별로 다르며, 이러한 밀도 차이는 해수가 외력이 없더라도 스스로 흐르도록 만들어 준다.
2.2.1. 발생 원인[편집]
극지방에서 낮은 온도에 의해서 얼음이 형성될 때, 해수에서 순수한 물만 얼음이 되면서 원래 해수에 있던 염분이 주위 해수로 빠져나간다. 이로인해 주위 해수의 염분의 농도가 상승한다. 올라간 염도로 밀도가 상승하여 표층 해수가 심층으로 하강하면서 심층 해류가 발생한다. 극지방에서 생성된 심층 해류는 1년에 20km를 움직일 정도로 매우 느리지만[1] 전 지구적으로 순환하는 거대한 해류이다.
심층 해류순환의 원리를 자세히 알기 위해서는 유체역학 문서를 참조할 것.
3. 특징[편집]
지구 환경에 알게모르게 많은 영향을 미친다. 남극이 얼음덩어리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은 남극 환류가 남극 주위를 돌아 차가운 물을 가두기 때문이고, 지구가 이렇게 골고루 따뜻한 것도 저위도의 열을 해수가 열심히 고위도로 나르기 때문이다. 당장에 서유럽과 한국의 기후를 비교해 보면, 유럽은 한국보다 위도가 높은데도 겨울엔 비교적 따뜻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남유럽과 비교하면 더더욱. 전향력과 행성 와도에 의해서 서안 강화 현상이 일어난다.
4. 해류 대순환[편집]
바다의 표층부와 심층부를 오가는 대규모 순환해류. 푸른 선이 차가운 심층해류이며 붉은 선이 상대적으로 따뜻한 표층해류이다.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이 해류의 영향은 전 지구에 미치고 있다.
규모는 크지만 해류 자체의 속도는 느린 편으로 딸랑 초속 10센티미터(...)이다. 느린 속도와 거대한 규모가 합쳐져 어마어마한 순환주기를 자랑하는데, 그 주기가 약 2천 년 가량. 이 해류대순환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한데, 대표적으로 북유럽과 그린란드의 기후가 위도에 비해 온난한 것이 해수대순환에 의한 멕시코 만류의 이동 덕분이다. 태풍과 함께 저위도 지방의 열에너지를 극지방에 전달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 만약 이 해류 대순환이 끊긴다면 지구에는 빙하기라는 헬게이트가 찾아올 것이다.
5. 해류의 종류[편집]
5.1. 명칭에 따른 분류[편집]
해류라는것이 분명하게 구분되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같은 해류라도 세분화시켜 여러 이름을 가진 해류도 있다. 아래의 목록은 그런점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해류는 다른 해류의 하위분류에 속할 수도 있다. 또 여러 바다를 거치는 해류도 있어서 중복되어 표시된 해류도 있다. 오타가 아니다
아래의 목록에는 포함되지 않은 해류도 많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나오는 해류(수능 연계교재 포함)는 볼드체 처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