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악해금보저자강사준출판은하출판사 | 2018.8.20.페이지수302 | 사이즈 196*268mm판매가서적 27,000원
책소개
▶ 정악해금보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목차
ㆍ머리말
ㆍ추천사
ㆍ해금(구조와 명칭, 연주법, 음역, 안현법)
ㆍ부호 및 장식음
ㆍ연습곡
ㆍ종묘제례악 - 보태평, 정대업
ㆍ경모궁제악
ㆍ유황곡
ㆍ정동방곡
ㆍ만(경록무강)
ㆍ낙양춘(기수영창)
ㆍ본령(태평춘)
ㆍ해령(서일화)
ㆍ보허자(장춘불로)
ㆍ여민락(승평만세)
ㆍ수연장(밑도드리)
ㆍ송구여(웃도드리)
ㆍ영산회상
- 유초신(평조회상)
- 중광곡(현악영산회상)
- 천년만세
- 표정만방(관악영산회상)
ㆍ자진한입 - 경풍년, 염양춘, 수룡음
ㆍ취타(만파정식)
ㆍ수제천
ㆍ동동
ㆍ가곡(만년장환)
- 남창가곡(평조, 계면조)
- 여창가곡 (평조, 계면조)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출판사서평
이전에 발간된 『해금정악』(김기수, 강사준 편, 은하출판사, 1979)과 이를 보정한 『정악해금보』(강사준, 윤찬구 편, 은하출판사, 1988)는 음명과 장식음 표기에 오기가 있고 여러 표기 방식을 혼용하고 있어 악보를 사용하는 후학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아왔다. 이러한 연유에서 악보의 내용 중 연구의 실제와 다른 표기 내용을 바로잡고, 표기 방법도 일관성을 갖도록 충실히 살피어 이번에 수정본을 발간하게 되었다. 일반적인 농현이나 강약의 표시는 개인의 음악성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본 악보에서는 생략하기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