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주차장 수퍼비조리 판넬...................
슈퍼비조리 판넬(SVP)의 기본 가닥수 : 10가닥
전원( +, - ), 전화감지기, 공통, 감지기(A, B), 밸브기동, 밸브개방확인, 밸브주의, 사이렌
준비작동식밸브란 프리액션밸브를 말합니다.
준비작동식 시스템의 경우에는 슈퍼비조리판넬에서 펌프를 제어합니다.
준비작동식 시스템은 스프링클러 가지배관내에는 압력이 전혀 없는 대기압 상태이고 밸브까지만 물이 차 있는 상태입니다. 또한 이 시스템은 반드시 화재 감지기가 필요합니다.
열감지기나 연기감지기 등이 화재를 감지하면 감지된 신호는 슈퍼비죠리 판넬로 신호를 전달합니다.
여기에서 A, B 감지기가 필요합니다. 2개의 감지기 라인이 모두 동작해야 SVP가 동작합니다.
이 신호에 따라 밸브 본체에 설치된 전자밸브(솔레노이드)가 열리면서 싸이렌이 울리고 밸브는 개방되고 밸브의 개방에 따라 펌프가 기동하면서 소방용수는 스프링클러 헤드까지 도달합니다.
만약 진짜 화재가 발생하였다면 헤드는 열에 의하여 파손될 것이고 소방용수가 분사되면서 화재를 진화하게 됩니다.
감지기의 오작동으로 밸브가 개방되면 헤드는 폐쇄된 상태이므로 방수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래도 펌프는 조속히 정지시켜야 합니다. 압력에 의한 헤드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외기에 노출된 지하주차장이나 외부시설에는 동파의 우려가 있어 반드시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적용하도록 법령이 정하고 있습니다.
1. 슈퍼비죠리판넬 도면

#5번을 (-)공통단자로 한다.
1번단자 : 하부단자 ->전화잭연결단자 임.
전화 상부단자 -> 수동스위치 눌렀을때 화재신호와 함께 F릴레이가 여자딤.
2번단자 : 압력스위치 상태 수신반 전송
3번단자 : 탬퍼스위치 상태 수신반 전송
OS&Y (oytside screwd & yoke type gate valve : 바깥나사식 게이트밸브)에 부착된 스위치
4번단자 : +24V
5번단자 : 공통 혹은(-)
6번단자 : 압력스위치 단자 -> 압력스위치가 ON으로 되면 릴레이작동하고 밸브도 동작램프 점등.
7번단자 : 탬퍼스위치 단자 -> 탬퍼스위치가 ON으로 되면 밸브확인램프 점등.
8번단자 : 압력릴레이가 여자되지 않은 상태에서 F릴레이(수동조작버튼 조작에 의함)가 여자되면 솔레노이드밸브가 열려
다이아프램의 가압수(1차측 압력)가 배출되면서 다이아프램이 밀리게 되고 이로써 클램프를 잡아주던 로커가 풀리면서
프리액션밸브가 열린다.
9번단자 : 선로의 단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회로를 회귀시킨 후 종단자항을 달아둔다.(종단저항 10K)

1. 수동 스위치의 뒷면 모습
2. 전화잭의 뒷면 모습
3 ~ 4. F릴레의 압력스위치에 의하여 연동되는 압력릴레이
5. 수신반측 연결단자
6. 현장연결단자
7 ~14. 슈퍼비조리 도면상의 1~9번 까지의 단자와 동일한 것으로 실제의 단자임
3. 슈퍼비조리판넬 상의 반불 확인되는 경우 조치방법?
준비작동식 밸브 수동조작함상에서 밸브주의와 밸브개방이 반불상으로 확인되며 동작시에는 반불보다 더 환하게 들어 옵니다.
저항을 준비작동밸브와 알람스위치에 직접 설치하면 전류가 저항을 타고 넘어오기 때문에 반불이 들어옵니다.
그래서 슈퍼비조리 판넬 내부에서 공통선(-)과 밸브주의(+) 그리고, 공통선(-)과 밸브개방(+)단자에 각각 말단저항을 설치하시면 정상작동 될 것입니다.
반불은 거의 저항 문제이며, 간혹 슈퍼비조리 판넬 회로기판의 노후화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퍼오는데 복사가 안되어 자판으로 입력합니다-----독수리 발에 쥐 납니다. ㅎ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