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보호구및 안전 보건표지.
65. 개인 보호구의 구비조건
1) 착용시 작업이 용이 할것
2) 유해. 위험물에 방호가 안전할 것.
3) 재료및 품질이 우수 할것.
4) 구조및 가공성이 좋을것.
5) 외관이 미련할 것.
66. 의무 인증. 자율안전 확인 표시.
67. 보호구 점검과 관리방법
1) 정기적 점검 2) 청결하고 습기가 없는 장소에서 보관 3) 보호구 사용후 세척
4) 세척후 건조후 보관.
68. 의무인증이 아닌 임의 인증 표시
69. 안전모의 시험성능 기준
1) 내 관통성 2) 충격 흡수성 3) 내 전압성 4) 내수성 5) 난연성 6) 턱끈 풀림
7) 측면변형 방호, 8) 금속 응용물 분사및 방호
70. 방독마스크
산소 농도 18% 이상인 장소에서 사용하며, 고농도 중농도에서 사요하는 방독마스크는 전면형 (격리식.
직결시) 을 사용하여야 한다.
71. 안전화의 적용 범위
물체의 낙하, 충격, 날카로운 물체로 부터 위험이나 화학약품 등으로부터 발, 발등을 보호 하거나 감전
정전기의 인체대전을 방지 하기 위함.
72. 안전 표시 종류및 색도
1) 금지 (발강) ; 7.5R 4/ 14 ( 흰색바탕에 빨간색 원과 45도. 빗선의 굵기는 외경의 10%)
2) 경고 (노량) ; 5Y 8.5 / 12 ( 노란색 면적이 전체 면적에 50%이상일것)
3) 지시 (파랑) ; 2.5B 4/ 10 ( 파랑색은 전체 면적에 50%이상)
4) 안내 (녹색) ; 2.5G 4/ 10 ( 녹색은 전체 면적에 50%이상)
흰색 N 9.5 검은색 N 0.5
73. 색체 종류에 따른 표시사항.
1) 주황 ; 위험 표시
2) 빨간색 ; 금지 표시. 방화. 정지
3) 노란색 ; 주의표시
4) 녹색 ; 안전. 진행. 구급
5) 파란색 ; 조심.
6) 자주색 ; 방어
7) 흰색 ; 통로. 정돈.
74. 안전보건 표시
75. 안전보건표시 속의 그림또는 부호의 크기는 안전보건표시의 크기와 비레하여야 하며, 전체 규격의 30%
일것.
76. 안전인증제품에 표시 사항.
1) 형식 또는 모델명
2) 규격및 등급
3) 제조사 명.
4) 제조번호. 제조 년월일
5) 안전 인증번호
77. 방진 마스크
특급 ; 베릴륨 등과 같이 독성이 강한 물질을 함유한 분진.
1급 ; 금속 흄, 기계적 분진 (규소)
78. 귀마개 1종 (EP-1) 저음 부터 고음까지 차단.
2종 (EP-2) 주로 고음차단.
79. 방열복 방열상의 3KG 이하 (질량)
방열하의 2KG 이하
방열두건 2KG 이하
방열장갑 0.5KG 이하
방열일체복 4.3KG 이하
시스템 안전공학
80. 시스템 안전공학
1) 시스템 안전공학은 과학적. 공학적 원리를 적용해 시스템내의 위험성을 식별하고 그 예방 또느 제어에
필요한 조치를 위한 시스템 공학의 한 분야다..
2) 시스템의 안전성을 명시 예측 또는 평가하기 위한 공학적 설계. 안전해석의 원리및 수법을 기초로 한다.
3) 수학. 물리학 및 관련 과학분야의 전문지식과 특수기술을 기초로 한다.
81. 시스템 안전프로그램 내용.
1) 계획의 개요.
2) 안전조직.
3) 계약조건
4) 관련부분과의 조정
5) 안전기준
6) 안전해석
7) 안전성 평가.
8) 안전 데이터 수집및 분석
9) 경과및 결과 분석.
82. 시스템의 안전설계 원칙
1) 1단계 위험상태의 존재 최소화. (페일세이프)
2) 2단계 안전장치의 채용
3) 3단계 경보장치의 채용
4) 4단계 특수한 수단 강구.
83. 예비위험 분석 (PHA) 4가지 주요 목표
1) 시스템에 대한 모든주요한 사고별 식별하고 대충 말로 표시.
2) 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을 식별할 것.
3) 사고가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시스템에서 생기는 결과를 식별하고 평가 할 것.
4) 식별된 사고를 4가지 범주로 분류.
- 파국적. 중대 위기적. 한계적. 무시.
84. 시스템 안전 계획 (SSP) 의 내용.
1) 안전성 관리조직 및 다른 프로그램 기능과의 관계.
2) 시스템에 발생하는 모든 사고의 식별및 평가를 위한 분석법의 양식.
3) 허용수준까지 최소화 또는 제거되어야 할 사고의 종류.
4) 작성되고 보존되어야 할 기록의 종류
85. 고장형태와 영향분석 ( FMEA)
* 정성적. 귀납적으로 분석
1) FMEA 의 장. 단점 장점; 서식이 간단하고, 비교적 적은 노력으로 특별한 훈련없이 분석가능.
단점; 논리성이 부족하고, 각요소간 영향분석이 어렵다.
동시에 2가지 이상이 고장날 경우 분석이 곤란하다.
2) FMEA 고장영향과 발생확율
실제 손실 B =1
예상되는 손실 0.1 < B < 1
가능한 손실 0 < B < 0.1
영향이 없음 B=0
86. MORT (Management oversight and risk tree)
대용량. 원자력 산업등 고도의 안전성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
87. 위험도 분석 CA (Critcality analysis)
정량적 평가.
88. Decision trees 작성법
1) 좌에서 우로 진행
2) 성공은 상방에 실패는 하방에 분기한다.
3) 분기마다 안전도와 불안전도의 발생확율 표기
4) 마지막으로 각각의 제곱의 합으로서 시스템 안전도 계산
89. 운용 및 지원위험 분석 ( O & SHA)
지정된 시스템의 모든 사용단계에서 생산. 운반. 저장. 운전. 비상탈출. 구조, 훈련 폐기등 에
사용되는 인원. 순서. 설비에 관하여 위험을 동정하고 제어하여 안전을 결정하기 위해 실시하는 분석.
결함수 분석
90. 결함수 분석(FTA)
정상사상인 재해현상으로 부터 기본사상인 재해원인을 향해 연연적 분석을 하는 것이 특징.
91. FTA 재해사례 연구분석
1) 톱사상 선정
2) 사상의 재해원인 규명
3) FT 작성
4) 개선 계획의 작성.
92. FTA 활용및 기대 효과.
1) 사고원인 규명의 간편화.
2) 사고원인 분석의 일반화.
3) 사고원인 분석의 정량화.
4) 노력 시간의 절감.
5) 시스템의 결함진단.
6) 안전점검 체크리스트 작성.
93. FTA 의 순서 3단계
1) 정상적 FT의 작성단계; 작업내영파악. 예비 해석.
2) FT의 정량화 단계 ; 재해 발생확율 계산. 인간에러 확율. 재해 발생확율 계산.
3) 재해방지 대책의 수립 ; 중요도 해석, 최적인 수립.
|
94. MTBF (평균고장 간격)
고장률 = 고장건수 / 총 가동시간
MTBF = 1 / 고장율 .
95. MTTF (평균고장 시간)
MTTR (평균수리 시간)
96. 부정 GATE
배타적 OR Gate ; 2개이상의 입력이 동시에 존재할때 출력 사상이 생기지 않는다.
97. FTA 특징 ; TOP down 형식 (연역적)
정량적 해석 기법 (컴퓨터 처리 가능)
논리 기호를 사용한 특정사상에 대한 해석
서식이 간단해서 비 전문가도 사용가능.
사람의 실수 (human erorr 의 검출이 어렵다.
ETA (Event tree analysis) 사건수 분석
사상의 안전도를 사용 / 귀납적, 정량적, 분석방법 / 재해의 확대요인 분석에 적합.
ETA 작성은 좌측에서 우로 진행한다.
각 사상의 확율의 합은 1이다.
98. 최소 컷 셋 ( minimal cut set ) ; 어떤고장이나 실수가 일어나면 재해가 일어날까하는 것으로
시스템의 위험성을 표시하는 것.
최소 패스 셋 ( minimal path set) ; 어떤 고장이나 실수를 일으키지 않으면 재해는 일어나지 않는다고
길 하는 것. 신뢰성을 나타내는 것.
컷 셋 (cut set) ; 정상 사상을 발생시키는 기본사상의 집합으로 그 안에 포함되는 모든 기본사상이
발생할때 정상 사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기본사상의 집합.
컷 (cut) 기본사상의 집합 (포함되어 있는 모든 것)
패스 셋( path set) ; 일어나지 않는 사상 . 전상 사상이 일어나지 않는 기본 사상.
99. 위험및 운전성 검토의 검토 목적.
1) 기존 시설의 안전도 향상.
2) 설비 구입여부 결정
3) 설계의 검사.
4) 작업착수의 검토.
5) 공장건설 여부와 건설.
6) 공급자에게 문의 사항 획득.
100. MORT (Managment oversight and rick tree) ; 미 에너지 연구 개발청 (ERDA) Johnson 개발.
101.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고장의 형태.
1) 노출 또는 개방된 고장.
2) 폐쇄 또는 차단된 고장.
3) 가동및 정지의 고장.
4) 운전 단속의 고장.
5) 오동작.
102. FTA ; 결함수 분석 - 정량적. 연역적 분석
PHA ; 예비 사고분석 - 개발단계 (최초) 정성적
FMEA ; 결함 위험분석 - 정성적. 귀납적
FHA ; 결함 위험분석 - 서브 시스템분석.
THERP ; 인간과 오률 예측법 - 인간과 과오 정량적
MORT ; 경영소흘 및 위험수 분석 - FTA 와 동일.
103. 인간 에러 (Human error ) 예방 대책
1) 작업환경 개선.
2) 요원 변경
3) 체계의 영향 감소
인간실수가 체계에 미치는 영형감소 - 인간실수를 포용하는 설게
- 중복 설계
- 기계는 인간성능 감시. 인간은 기계 성능감시.
체계의 영향 감소시킨 설계 - 수많은 점검항목.
- 중복 설계
- 안전 규정.
안전성 평가
104. 리스크 처리 기술.
1) 회피 2) 경감. 감축 3) 보유 4) 전가.
105. 안전성 평가의 6 단계.
1단계 ; 관계자료의 정비 검토.
2단계 ; 정성적 평가
3단계 ; 정량적 평가.
4단계 ; 안전대책.
5단계 ; 재해 정보에 의한 재 평가.
6단게 ; FTA 에 의한 재평가.
106. 정량적 평가의 5항목
1) 해당 화학물질의 취급 물질.
2) 용량
3) 온도
4) 압력
5) 조작.
107. 안전성 평가 4가지 법
1) 체크리스트에 의한 평가 2) 위험의 예측평가 3) 고장형과 영향분석
4) FTA 법
108. 위험도 등급 점수
1 등급 16점이상 -- 재평가
2 등급 11~15점
3 등급 10점이하 ( 위험도가 낮다)
109. 예방 보전 (Preventive maintenance ; PM)
1) 기게설비의 성능이 표준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고 보전하는 것.
2) PM 이란 예정한 시기에 점검. 시험. 급유. 조정. 분해정비. 계획적 수리. 갱신을
하여 설비의 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 설비 성능을 표준이상으로 유지.
110. 안전점검의 멀티플 체크 순서.
1단계 ; 시스템 어프로치 (문제의 명확성)
2단계 ; 체크리스트에 의한 안전 진단.
3단계 ; FMEA 잠재요인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중요도를 정한다.
4단계 ; 안전대책 시행
5단계 ; What if 4단계까지를 평가하여 보고, 만약에. 라면 으로 살펴 본다.
6단계 ; ETA 와 FTA 를 활용하여 종합평가.
111. 비 합리성의 체크 포인트
1) 사회 기능에 대한 영향.
2) 산업 문화적 측면에 대한 영향.
3) 인체에 대한 영향.
4) 자연환경에 대한 영향.
5) 자원낭비의 증대여부
112. 생략사상.
113. 효율성의 체크 포인트
1) 재해사고 감소.
2) 생산성 향상
3) 기술 수준의 향상.
4) 자원의 확대
5) 생활의 고도화
6) 상품의 고도화.
114. 기술개발의 종합평가.
1단계 ; 사회적 복리 기여도
2단계 ; 실현 가능성
3단게 ; 안전서와 위험성.
4단게 ; 경제성
5단계 ; 종합 평가.
각종설비의 유지 관리
115. 유해 위험방지 계획서 제출대상 사업.
* 전기 계약용량 300kw 이상 인 사업.
- 금속가공. 제조업
비금속 광물 제조업
기계 장비 제조업.
자동차 트레일러 제조업
식료품 제조업
고무. 플라스틱 제조업
목재. 나무 제조업
1차 금속 제조업
가구 제조업.
116. 공단은 유해 위험방지 계획서 심사 결과 판단.
1) 적정 ; 필요한 조치가 구체적으로 확보되었다고 인정.
2) 조건부 ; 일부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정.
3) 부적정 ; 공사 착공시 중대한 위험발생의 우려가 있거나 계획에 근본적인 결함이 있는 경우.
117. Fail safety 설계
1) Fail passive ( 자동감지) ; 고장시 정지
2) Fail Active ( 자동제어 ) ; 고장시 대책을 취할때까지 안전 유지.
3) Fail operation (차단. 조정) ; 고장시 시정 조치를 취할때 까지 안전하게 기능 유지.
118. 안전보건 진단사업장의 종류.
1) 중대 재해(사업주가 안전 보건조치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발생한 중대재해 발생사업장.
연간 재해율이 동종 업계 평균재해율을 초과하는 경우.
2) 안전보건 개선 계획 수립명령을 받은 사업장.
3) 추락. 폭팔. 붕괴등 재해발생위험이 높은 사업장으로 지방 고용노동관서 장이 필요하다고
인정.
119. 공정안전 자료 세부내용.
1) 취급 저장하고 있는 유해 위험물질의 종류및 수량.
2) 유해. 위험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
3) 유해. 위험설비의 목록및 사양
4) 유해. 위험설비의 운전및 공정도면.
5) 각종 건물의 설비의 배치도.
6) 폭발위험 물질의 구분도. 전기 단선도
7) 위험설비의 안전설계 제작및 설치 관련 지침서.
120. 위험성 평가 분석 기법 ( 다음 중 1가지를 선정하여 작성)
1) check list
2) dow and mond indices (상대위험순위 결정)
3) HEA (작업자 실수 분석)
4) What - if (사고예상 질문 분석)
5) HAZOP ( 위험과 운전분석)
6) FMECA (이상위험도 분석)
7) FTA (결함수 분석)
8) ETA (사건수 분석)
9) CCA (원인 결과 분석)
121. 안전운전 계획서 세부내용
1) 안전운전 지침서
2) 설비 점검. 검사. 및 보수계획 유지 계획.
3) 안전 작업허가
4) 도급 업체 안전관리 계획
5) 근로자등의 교육 계획
6) 가동전 점검지침.
7) 변경 요소 관리계획
8) 자체 감사및 사고 조치.
122. 비상조치 계획 세부내용.
1) 비상 조치를 위한 장비. 인력현황.
2) 사고 발생시 각 부서 관련기관과의 비상연락 체계
3) 비상조치계획에 따른 교육 계획
4) 주민 홍보 계획
123. 윤활제의 작용
감마작용. 냉각작용. 밀봉작용. 청정작용. 녹 부식작용. 방진작용. 동력전달.
124. 안전보건 개선 계획수립대상 사업장 종류.
1) 산업재해율이 동종 업종의 규모별 평균산업재해율 보다 높은 사업장.
2) 중대 재해가 연간 2건 이상 발생한 사업장.
3) 작업환경이 현저히 불량한 사업장.
4) 고용노동부 장관이 따로 정하는 사업장.
125. 안전보건 진단을 명할수있는 사업장.
1) 중대재해 발생 사업장
2) 평균 2배이상 재해율이 높은 사업장.
3) 직업병에 걸린 사람이 연간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4) 작업환경 불량. 화재. 폭발, 누출사고.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사업장.
5) 고용 노동부 장관이 정하는 사업장.
인간 공학
126. 인간공학의 목표.
1) 안전성향상과 사고 방지.
2) 기게조작의 능율성과 생산성 향상.
3) 쾌적성.
127. 인간공학적 제어예방.
1) 존재하거나 잠재적인 문제.
2) 문제가 시키는 위험요소의 규명과 평가.
3) 공학적이면서 경영적인 교정방법의 설계와 수행.
4) 도입된 교정방법의 효율성 감시와 평가.
128. 인간공학의 정의
NIOSH ; 일하는 사람의 능력에 업무의 요구도나 사업장의 상태와 조건을 맞추는 과학
인간과 기계의조화있는 상관관계를 만드는 것.
OSHA ; 일을 인간과 적합하게 하는 과학이다.
Woodson . W.E ; 인간과 기계의 관계를 합리화 시키는 것이다.
129. 인간. 기계체계가 공통으로 갖는 일반적 특성.
1) 체계의 목적
2) 임무및 기본기능.
3) 입력. 출력
4) 통신 유대
5) 절차.
130. 인간기준의 4가지 유형.
1) 인간 성능 척도 2) 생리학적 지표 3) 사고발생 빈도 4) 주관적 반응
131. 인간공학의 필요성.
1) 산업재해 감소 2) 생산의 원가 절감 3) 직무 만족도 향상 4) 재해로 인한 손실감소
5) 기업의 이미지와 상품선호도 향상.
6) 노사간 신뢰도 구축.
132. 체계 설계과정에서 인간공학의 기여도.
1) 성능항상
2) 훈련비용 절감.
3) 인력 이용율의 향상
4) 사고및 오용으로부터 손실 감소.
5) 생산및 경비유지의 경제성 증대
6) 사용자 수용도 향상.
133. 인간공학에서 고려해야할 인간특성.
1) 인간의 특성.
2) 인간의 습성
3) 기술 집단에 대한 적응 능력
4) 신체 크기와 작업환경.
5) 감각과 지각
6) 운동력과 근력
7) 만족
134. 인간 기계 통합시스템에서 기능.
1) 감지 기능 2) 정보 저장기능 3) 정보처리의 결심 4) 행동기능.
135. 인간이 인지능력과 정보습득.
시각; 83% 청각 11% 후각 3.5% 촉각 1.5% 미각 1%
136. 인터페이스 (INTERFACE) 설계 종류
1) 작업공간 2) 표시장치 3) 조종장치 4) 제어장치 5) 컴퓨터와 대화
137. 인간 기계 통합시스템 유형
1) 수동체계 ; 장인과 공구 / 가수와 앰프
2) 기계회 체계; 운전하는 사람과 자동차 엔진.
3) 자동화 체계; 인간은 감시. 프로그램 입력. 정비유지
138. 인간요소적 기능 4가지.
1) 작업설계. 2) 직무분석 3) 작업명세 4) 요원선발 기준.
139. 정량적 표시장치 기본 유형
1) 정목 동침 2) 정침동목 3) 계수형.
|
|
|
140. 신호 경보등
색광; 효과 척도가 빠른 색갈 순서 ; 백색. 황색. 녹색 . 등색.... 적색. 청색. 흑색
점멸속도 ; 3~10회 / s 시속시간 0.05s 이상.
141. 문자나 숫자의 최적 독해성
획폭비 종행비
검은 바당에 힌색 숫자 ; 1: 13.3 문자와 숫자 높이 1: 1
힌색 비탕에 검은 숫자 ; 1; 8 3:5 까지는 독해성에 문제없고
숫자의 경우 3; 55
142. 점멸. 융합주파수 ( flicker fusion frequency ) = 30hz
143. 시각적 장치 사용 경우
1) 전언이 복잡하고 길때.
2) 전언이 후에 재참조될 때.
3) 전언이 공간적 위치를 다룰때
4) 수신자의 청각 계통이 과부하일때.
5) 수신 장소가 너무 씨끄러울때
6)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지 않을때.
7) 직무상 한곳에 머무르는 경우.
144. 촉각적 표시장치 ; 기계적 진동. 전기적 임펄스
145. 역치 ; 반응을 일으키는 최소한 자극의 세기 역치가 작을 수록 예민하다.
조작자는 역치를 넘을 때까지는 반응을 하지 못한다.
146. 시각적 부호 3가지
묘시적 부호 ; 사물의 행동을 단순하고 정확하게 묘사하는 것
추상적 부호 ; 전언의 기본 요소를 도시적 압축한 부호로 원개념과 유사성이 있다.
임의적 부호 ; 부호가 이미 고안되어 있는 것 ( 교통표지판등)
147. 인간과오의 배후요인 4요소;
man. machine. media. managment
148. 인간 실수 분류
1) omission error (생락 에라) ; 작업 수행하지 않으므로 발생된 error.
2) time error ; 수행 지연
3) commission error (위임 에라) ; 불확실한 수행.
4) sequential error (잇달아 일어나는 에라) ; 순서 착오
5) extraneous error ( 외부 에라) ; 불필요한 작업수행.
149. 대뇌정보처리 error.
1) 인지 miss 2) 판단 miss 3) 동작. 조작 miss.
150. Fail safe ; 인간이나 기계가 과오나 동작 실수가 있어도 사고, 재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2중. 3중 통제하는 체계.
풀 리시브, 풀 액티브, 풀 오퍼레이션
Fool prof ; 기계 설계단계부터 안전화를 도모하기 위해 인체공학적, 인간과오 방지하기 위한것.
151. 작업에 의한 인간과오 의 분류
1) 조작오류 2) 설치 과오 3) 보존 과오 4) 검사 과오
152. system perfomance 와 human error 의 관계
SP = K (HE)
K=1 ; HE 가 SP 에 중대힌 영향을 끼친다.
K <1 ; HE 가 SP 에 RISK 를 준다.
K=0 ; 아무영향 이 없다.
153. 조작상 발생빈도수 순서.
1순위 ; 지식관련 ( 자극의 대. 소)
2순위 ; 정보관련 (완전하지 못한 전달)
3순위 ; 표시 장치 부적절
4순위 ; 제어장치 부적절
5순위 ; 조직환경 부적절
6순위 ; 시간 부적절.
154. HEP (Human error )
HEP = 과오수 / 전체 기회수
( 베어링검사를 하고 있다. 10,000개 검사중 800개를 불량으로 발견했다.
LOT 에 실제 불량은 2000개 였다면 HEP ? )
1200/ 10,000 = 0.12
인간 계측 작업공간
155. 조정장치의 설계 기준
1) 조정장치는 더 큰힘을 발휘하고 넓은 파악범위를 갖게하며 불 필요한 노력과 위험을 감소.
2) 주된 목적은 인간 신체의 확장.
3) 2차원 3차원 의 기하학적인 모양을 사용하면 형상 코딩은 촉각. 시각모두 가능하다.
4) 어둡거나 중복이 확인이 필요한 사항에서 실수를 최소화
5) 인간 기계체계가 최대의 효율 발휘 할수 있고 사용자의 농력을 과 한계를 고려한 설계.
156. 인체 계측장치로서 응용원칙.
1) 최대치수와 최소치수; 어느 한값으로 기준
2) 조절범위 ; 체격이 다른 여러 사람에 맞도록 만든다.
3) 평균치 기준 한 설계; 최대, 최소 조절식.
157. EMG (근전도) 근육활동 전위차 측정
GSR (피부전기 반사) 피부의 전기 저항 (정신전류현상)
플리커 ; 정신적 부담에 대한 대뇌피질의 활동수준에 미치고 있는 영향을 측정한것.
158. 정적 위치조정 중의 떨림 (진전) 감소 시키는 방법
1) 몸과 작업에 관계되는 부위를 잘 받친다.
2) 손이 심장 높이에 있을때 손 떨림이 적다.
159. 작업종류에 따른 측정방법
1) 동적 근력작업 2) 정적 근력작업 3) 신경적 작업 4) 심적작업
160. 부품 배치의 원칙
1) 중요성의 원칙 2) 사용빈도의 원칙 3) 기능별 배치의 원칙 4) 사용순서의 원칙
161. 의자 설계의 원칙
1) 체중 분포
2) 의자 좌판의 높이
3) 의자 좌판의 깊이와 폭
4) 몸통의 안정성 (각도 .만곡)
162. 조정장치의 조건
1) 접근성 ; 손과 발의 파악한계. 작동범위
2) 인식. 식별성 ; 상태. 형태. 색상.
3) 사용성 ; 힘
4) 조정의 용이성 ; 표시장치의 움직임 비
5) 정보의 환류에 따라 움직이는 반응 ; 클릭. 촉감. 레버위치.
163. 특수 작업 영역.
선 자세 ; 180cm x 75cm
쪼그려 앉은 자세 ; 120 cm x 110cm
누운 지세 ; 60cm x 190cm
164. 정상작업 영역 (34 ~45cm)
최대작업 영역 (56 ~65cm)
165. 인간 기억 정보량
1) 단위당 영구 기억 정보량 0.7 bit /s
2) 인간이 기억속에 보관할수 있는 총 용량 1억bit
3) 신체정보 반응량 ; 전송 정보량 10bit /s
166. 작업공간 포락면 ; 한 장소에서 앉아서 수행하는 작업 공간.
167. 근 골격계 질환의 특성;
1) 미세한 근육이나 조직의 손상으로 시작된다.
2) 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완치가 어렵다.
3) 신체의 기능 장애를 유발한다.
4) 초기 치료 가 중요.
168. 족동 조정장치 각도. 15 ~30도
169. VFF (시각적 점멸융합 주파수) ; 중추 신경계의 피로, 즉 정신적피로의 척도로 사용되는
측정법.
170. 조정장치의 저향력
1) 탄성 저항
2) 점성 저항
3) 관성 저헝
4) 정지. 미끄럼 미찰 저항.
171. 외전 내전 / 외선 내선 / 굴곡 신전
172. 근골격계 질환
반복동작 . 부적절한 작업자세. 무리한힘. 진동 . 온도등의 요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건강 장애로 목. 어깨. 허리. 상. 하지 의 신경 근육및 주변 신체조직등에 나타나는 질환.
작업환경관리
173. 열교환 방법
S = M(대사열) - E (증발) + - R (복사열) +- C (대류) - W (한일)
열평형 상태 S = 0
174. 불괘 지수
불괘 지수 = 섭씨 (건구 + 습구 ) X 0.72 + 40.6
판정 ; 80이상 모든 사람 불괘감.
175. Oxford 지수 (습건지수) ; 고열환경. 고열 이용시간 용 (열허탈 과 관계가 있다)
WD = 0.85 (습구 온도 ) + 0.15 (건구 온도)
176. 추천 조명 반사율
1) 바닦 ; 20~ 40%
2) 가구 .기기 . 책상 ; 25 ~ 40%
3) 창문발 . 벽 ; 40~60%
천장 ; 80~90%
177. 추천 조명
세밀한 작업 300fc 아주 힘든 작업 500fc 보통 100fc 드릴 리벳 30fc
초정밀 작업 750lux
정밀 작업 300lux
일반 작업 150lux
그밖의 작업 75lux
178. 조도
조도 = 광도 / (거리)^2
179. 반응시간 (Reaction time) = 단순반능 시간 + 동작 시간
180. 소음작업 ; 1일 8시간 80dB 이상 발생하는 작업
181. 복합소음 ; 두 소음이 10dB 이내 일 경우 소음은 3dB 정도 증가.
182. 음의 크기 기준 ; PHONE 1000hz 의 음
183. masking (은폐 현상) ; 높은 음과 낮음이 공존할때 낮은음이 강한 음에 가로막혀 숨겨저
들리지 않는 현상.
184. 먼 셀의 색표시
HV / C
H; 색상. V ; 명도 C ; 채도
185. 소음 평가 지수는 85dB 기준
500, 1000, 2000HZ 기준
186. 통제비 설계시 고려사항
1) 계기의 크기 2) 공차 3) 방향성 4) 조작시간 5) 목측거리
187. 전신진동 진폭에 비례하며 10~25hz 에서 시력 손상이 가장 심하다
5hz 에서 추적 능력 손상
188. VDT 영상 단말기;
조명 ; 화면의 바탕색. 검은색 계통은 300 ~ 500LUX
흰색 계통은 500 ~ 700LU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