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산 박씨' 신라 왕족 후예 고려 건국에 앞장서다
2018 경기천년, 경기 역사 문화의 전개] (12) 경기도를 대표하는 성씨들―죽산 박씨
신라 후기(8세기) 박씨네의 죽산 이주
현재 안성시의 죽산면으로 편재돼 있는 곳은 조선시대(19세기 말)까지만 하더라도 독립된 행정단위인 죽산현 또는 죽산군이 운영됐던 곳이다. 그곳의 역사를 간략하게 개관하면 고구려 혹은 백제 때에는 개차산군(皆次山郡)이었다. 신라 때 개산군(介山郡)으로 고쳤다가 고려 초에 죽주(竹州)로 바뀌었다. 지방관의 경우에는 고려 성종 14년(995년)에 단련사를 뒀다가 목종 8년(1005년)에 이를 폐지했고, 현종 9년(1018년)에 광주에 속하게 했다가 명종 2년(1172년)에 처음 감무를 뒀으며,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 죽산현으로 고쳐 현감을 파견했다.
16세기 전반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죽산에 9개의 토성(土姓)이 있었음을 전하고 있다. 이중에서 죽산 최씨가 으뜸인 반면, 죽산 박씨는 8번째로 기록돼 있다. 하지만 이보다 100여 년 전에 편찬된 ‘세종실록지리지’에도 9개의 성씨를 소개하고 있는데, 그 순서는 죽산 박씨가 단연코 으뜸이다. 15세기에서 16세기로 이어지는 100년 사이에 죽산현의 토호 세력계층에 변화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사실 14세기 전반만 하더라도 이곳은 충청도에 속해있었으나 세종 16년(1434년)에 경기에 편입됐다. 또 중종 38년(1543년)에 죽산부로 승격됐다가 현으로 강등됐고, 다시 부로 승격됐다가 군 또는 현으로 내려지는 과정이 반복됐다. 15~16세기 죽산에서 토호세력의 변화는 이런 행정구역의 변경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고려 중기에 죽산 박씨의 활동을 알 수 있는 금석문 자료로는 12세기 전·중기에 제작된 ‘박경인 묘지명’과 ‘박경산 묘지명’이 있다. 여기에서는 그들의 선조가 죽산으로 들어오게 된 배경을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본래 신라시조인 혁거세의 후예로 계림인이었던 북경도위를 지낸 박적오(朴赤烏 또는 朴積古)가 개산군(죽산)으로 들어와 찰산후(察山侯)가 돼 죽산 박씨의 시작이 됐다고 한다. 아마도 박적오는 개산군 태수로 임명돼 이곳에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의 개차산군이 개산군으로 바뀐 때는 신라 경덕왕 16년(757년)을 전후한 시기일 것이다. 즉 박적오는 죽산 박씨의 시조 정도의 위치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그들은 신라 혜공왕 2년(766년)에 죽주산성 아래의 매산리 미륵당 석탑을 조성하는데 적극 참여했다. 이후 그들은 이 지역의 토착세력으로 자리했다. 또 박적오의 아들로 알려진 박직윤(朴直胤, 또는 朴智胤)은 이곳에서 고구려의 장군 명칭 중에 하나였던 대모달(大毛達)로 불렸다. 그는 또 황해도 평주(평산)로 옮겨가 이후 평산 박씨의 시조가 됐다. 죽산 박씨와 평산 박씨는 그 선조가 같은 계통이었다.
후삼국시대 죽산 박씨 세력의 동향
9세기 후반 신라에서 이탈한 호족 중에서 대표적인 세력은 후백제와 고구려의 부흥을 앞세우며 활동했던 견훤과 궁예이다. 이들은 후백제와 후고려를 세우고 신라와 함께 후삼국을 이루었다. ‘삼국사기’에서는 개산군(죽주)에 도적의 우두머리라는 뜻의 ‘죽주적괴(竹州賊魁)’라고 불린 기훤(箕萱)이 활동하고 있었음을 전하고 있다. ‘도적의 우두머리’라는 호칭은 9세기 후반 개산군에서 불렸던 것이 아니다. 신라 정부의 입장에서, 또는 후에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편찬하면서 고려 태조 왕건의 후삼국 통합 과정에서 궁예와 견훤 못지않은 유력 세력이 죽산에 있었음을 나타난 표현이다. 기훤 세력은 개산군의 주도권을 두고 죽산 박씨와 대립 또는 대치했을 것이고 박씨는 기훤이 세력을 급격하게 확장하면서 일시적이나마 죽산의 토호세력에서 한발짝 물러나 있었을 것이다.
기훤 세력의 근거지는 죽주산성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주변에서 벌떼처럼 일어나 일정한 세력을 가지고 있던 호족들은 기훤에게 개미처럼 모여들어 기훤은 한껏 힘을 부풀렸다. 그리고 진성여왕 5년(891년) 궁예는 백성들을 모으면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기훤에게 자신을 맡겼다. 궁예는 1년여동안 기훤에게 홀대를 받으면서도 그 밑에서 여러 어려움을 겪으며 나름 힘을 키워 기훤을 붕괴시키고 그 세력을 자신에게 끌어들였다. 이후 죽산은 궁예 세력의 중요한 곳이 됐다. 이때에도 죽산의 박씨 세력이 어떤 움직임을 보였는지 알 수 없다. 평산으로 옮겨간 박씨들이 13개 성을 쌓아 궁예에게 귀부했던 것으로 미뤄 그들도 궁예 세력 밑으로 들어갔을 가능성이 있다.
현재 죽산 박씨의 시조는 고려 태조의 창업을 도와 삼한벽상공신이 된 박기오(朴奇悟)로 알려져 있다. 사실 개산군이 고려 초에 ‘죽주’, 즉 ‘군’에서 ‘주’로 확장된 것은 고려 건국에 공을 세운 박씨 세력에 대한 포상의 의미가 크다. 하지만 박기오 이전의 선계(先系)가 분명하게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잊혀졌다. 이것은 당시 궁예와 밀착된 청주권역에 속해 있던 죽산의 박씨가 궁예의 세력권에 들어가 있다가, 왕건의 후삼국 통합과정에서 궁예를 떠나 왕건에게 의탁했음을 의미한다. 죽산의 박씨는 평산과 갈라진 이후 자손이 번창해 왕건이 후삼국 통합할 때부터 죽산을 본관으로 삼아 12세기 중반을 지나 고려 말까지 그 후손이 계속되고 있었다. 혜종 1년(994년)에 박기오는 원윤이라는 관직을 가지고 죽주에 있으면서 후에 왕이 된 정종(定宗)·광종, 역시 원윤이었던 박기달, 죽주에서 사간(沙干)의 관직을 가진 덕영·제종 등과 함께 영월 흥녕사의 ‘징효대사보인탑비’를 조성하는데 참여했다. 또 성종 12년(993년)에 매산리 미륵당 석탑의 중수에 박씨가 계속 참여하고 있음도 밝혀졌다. 이런 사실은 8세기 중반 이후 12세기 중반까지 죽주에서 박씨가 토호로 그 세력을 지속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