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10월 경남 하동군 악양 평사리 들판 詩詩한 나의 글쓰기
초등학교에 다닐 때 담임선생님은 늘 내게 시를 지어오라고 하셨다. 시에 맞는 그림을 그려 학급 게시판에 붙이셨는데 아마도 내 실력을 과대평가 하셨지싶다. 시인의 딸이니 시를 잘 짓겠지 하셨겠지만 실은 모두 엄마가 대신 써 준것이었다. 엄마는 공부이외의 것에 시간을 뺐기지 않도록 큰 배려를 하신 것이지만, 그건 딸을 위하는 것이 아니라 극성이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시를 짓고 그림을 그리는 것도 외우기나 산수처럼 아주 중요한 공부인데 말이다.
흰구름이니 그리움이니 하며 초등학생에겐 어울리지 않는 어휘로 지어진 시를 가져가면서 마치 내가 시인이 된 듯 멋있다고 착각했다. 그렇게 몇 차례 환경미화에 쓸 시를 가져가곤 했는데, 어느날 담임 선생님이 부르시더니 이번엔 네가 꼭 지어서 가져오라고 하시는 게 아닌가? 선생님은 알고 계셨던 거다. 그동안의 시가 어른의 것인 줄.
집에 가서 엄마에게 말하니 그렇다면 아버지께 배워서 네가 직접 써가라고 하신다. 아버지는 늘 어렵기만 한 분이어서 아버지가 부르자 겁이났다. 아버지 앞에 무릎을 꿇고 앉았다. 그 동안 엄마가 써준 시를 가져간 것을 혼낼까봐 전전긍긍하고 있었다. 공범인 엄마도 아버지께 한소리 들은 기억이 난다. 그건 애를 돕는 게 아니라 망치는 일이라고.
아버지는 뜬금없이 내게 “오늘 날씨가 어떻냐?” 고 물으셨다. “비가 와요” 그러자 “ 비오는 날 학교에 가서 뭘 봤냐?” 하신다. “애들이 장화를 신고왔어요” “장화가 모두 같더냐? “ 또 물으신다. “아니요 색색이어요. 내건 하얀색 어떤아인 빨간색 그냥 운동화를 신은 아이도 있어요” “그래 뭘 생각했냐?” 머리를 이리 저리 굴려도 생각이 나지 않았다. 한참 침묵하다 고민 고민 끝에 “신발은 모두 다른데 발자국은 색이 없어서 내 발자국 찾기가 힘들었어요” “오--옳치 되었다.” 어렴풋이 시쓰기가 쉽지 않은 것을 알았고 초등학교 꼬마에겐 시는 버거운 일이었다.
비오는 날 운동장에 발자국이 찍혀있네 하얀색 내 장화 빨간색 친구 장화 운동화 발자국도 찍혀있네 비오는 날 내 발자국 찾을 수 없네
생전 처음으로 시를 쓰고 어깨너머의 실력으로 ‘네’로 끝나는 어미를 붙이고 “찾을 수 없네!” 하고 아버지 앞에서 읊곤 나는 그만 앙앙 울고 말았다. 신촌의 창서 초등학교 3학년 4반 교실에 오래도록 붙어있던 나의 시이다.
이창동 감독의 ‘시’라는 영화를 봤었다. 김용택시인이 시인교실의 지도강사로 나오고 배우 윤정희가 시를 배우는 나이든 여자로 나온다. 삶은 고달프고 어지럽고 때론 잔인하기도 하다. 그럼에도 시인은 시를 쓴다. 주인공은 시를 절대자로 피난처로 생각을 한다. 영화를 보는 내내 ‘시는 짧은 기도’ 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쓰는 수필도 나의 넋두리이자 신음이 아닐까? 신을 향한 절규라면 아주 뜨거워야 할 것이다. 간절해야 할 것이다.
밥때도 모르고 날이 새는 줄도 모르고 미친듯이(狂) 매달리는 날, 미치는(及) 것이 문학의 시원이며 끝일 것이다. 불광불급(不狂不及) 미쳐야 미친다는 것은 세상의 일반론이다. 하물며 문학에랴.
이정아 수필가 |
출처: 나성 이야기 원문보기 글쓴이: 이정아
첫댓글 어려서 부터 문학적 기질이 남 달랐군요~~^^
아버지가 시인이셔서 기질을 조금 물려받긴 했을터이나 계속 끊임없이 써야 글도 늡니다^^
늘 부족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