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노동하다 왔다는 그이는 무릎까지 올라오는 장화를 신고 있었다. 은수꽃집을 한 바퀴 둘러보는 눈동자에 아주 잠깐 이슬이 맺혔다. 푸성귀 같은 아내를 생각했으리 아마 그이의 아내는 어린 딸을 등에 업고 모가 자라는 논두렁에 하염없이 서서 개망초꽃이 예쁘구나 오랜 감기로 여윈 몸 바람에 흔들리고 있겠지 아니면 호미 잡고 밭 매다 아이 칭얼거림에 그래 집에 가자 잠깐 일손 멈추기도 하겠지
해설 서정홍(시인) 신은립 시인의 원고를 받고 가장 먼저 눈에 띈 글은 맨 앞장 약력 부분에 ‘밀양시 청도면에서 흑돼지를 키움’이라고 쓴 글이었다. ‘흑돼지 키우는 것을 아주 당당하게 드러내는 시인의 마음은 어떨까?’ 나는 혼자서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가 ‘그렇구나, 삶이 곧 시구나.’ 싶었다.
“시인은 종이 위에 시를 쓰지 않는다. 풀잎과 강물, 벽과 거리, 사랑하는 사람의 얼굴, 내면의 미궁 등 삶의 수많은 지면 위에 쓴다. 이 구체적이면서 추상적인 삶의 지면에 시인은 자신의 기억과 운명과 깨달음을 정성스레 쓴다. 마치 경전에 글자 하나를 새길 때마다 부처님께 절을 올렸다는 옛 목공의 마음과 다를 것이 없다.” 며칠 전, 김수이 문학평론가가 쓴 글을 읽으면서 신은립 시인을 떠올렸다. 남자도 아닌 여자의 몸으로 이른 새벽부터 밤낮도록, 때론 며칠 밤을 새워가며 흑돼지를 키우면서 쓴 시는 옛 목공의 마음과 다를 것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아이 서예학원 데려다 주고 시를 읽는다 시립 도서관 창문 너머 남천강 쉼없이 흐르고 [금싸라기 같은 시간] 전문 죽은 새끼 돼지들 땅 파고 묻었더니 저 하늘에서 또륵또륵 어미 젖 빠는 눈망울 [별] 전문 일은 갈수록 힘들고 허리가 휘는 촌살림 돼지를 팔아도 고생만 남아 허리 팔 다리 안 아픈 곳이 없다 날개가 부러진 채 잠든 남편을 물끄러미 바라보다 불을 끈다 거름 같은 어둠에 푹 빠지며 나는 아프다 [몸살] 부분 [사족] 나는 시 안 좋아한다. 일단 어려워서 뭔 말인지 잘 모르겠더라. 그리고 봐도 대충 다 비슷해 보이더라. 어쩌다 한 번 지극히 간혹 코 끝이 찡해지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기는 하더라만. 그런데 아무 것도 아닌 어느 농촌 아줌마의 시가 자꾸 여운을 갖게 한다. 오늘 아침 읽어 보니 또 그렇다. 처음 봤을 땐 이 소중한 느낌 나 혼자 오래 곱씹어야지 했는데 나 혼자 갖기엔 너무 벅차다. 이 느낌을 어떻게 우리 친구들에게 전해야 할지 잘 모르겠지만 일단 올려보기로 했다. 해설 한 사람도 대단한 사람이란 생각이 든다. 내 눈엔 잘 보이지 않는데 듣고 보면 보인다. 절구경도 산구경도 강구경도 탑구경도 그냥 볼 때는 와 하는 정도의 감탄이지만 옆에서 누가 설명을 곁들여 주면 더 눈망을 껌뻑이며 느낌이 새록새록 살아나던 경험처럼. 해설이 제법 길다. 한 번에 올리면 이 소중한 느낌 공유가 잘 안 될 것 같은 걱정도 있고 또 길면 뭐든 지겨워하는 우리잖아 그쟝. 그래서 한 네다섯 번에 걸쳐 올려 볼게. 오늘 것은 별로 가슴에 와 닿는 게 없제. 뭐 별로구만 이래 떠들어 샀노 싶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다 보고 나면 기분 좋아 질끼다. 힘 솟을끼다. 속는 셈치고 친구 추천이니 함 믿어 봐라. 이런 기회 아니면 언제 우리가 시 볼 기회나 있것나 오데. 화초 구경하는 기분으로 보면 되지 싶다. 한 번 말고 두 번씩 읽어 주세요. 부탁합니--다. ------ 날개가 부러진 채 잠든 남편을 물끄러미 바라보다 불을 끈다 거름 같은 어둠에 푹 빠지며 나는 아프다 [몸살] 좋은 책은 그것을 몸에 지니고 다니는 것만으로도 몸과 마음이 맑아지고 힘이 솟아난다고 한다. 신은립 시인의 두 번째 시집 원고를 읽으면서 나도 모르게 힘이 솟아났다. 왜냐하면 일하는 사람이 시를 썼기 때문이다. 여태 일하지 않는 사람이 억지로 일하는 사람 흉내를 내어가며 쓴 시를 읽으면서, 구역질이 난 적이 한두 번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흑돼지를 키우면서 시를 쓴 여성 시인은 신은립 시인뿐일 것이다. 이런 시인이 이 땽에 살아있다는 것은 자랑스런 일이다. 시가 조금 서툴고 매끄럽지 않아도 좋다. 시 속에 사랑과 노동이 살아 꿈틀거리면 진짜 시가 되는 것이다. 시를 쓴 사람과 시를 읽는 사람이 마음을 나누면서 함께 아파하고, 함께 기뻐하면서, 세상을 이끌어 가면 되지 않겠는가. 몸 무거워진 나뭇가지 휘청 휘어 사람의 지붕 위로 내려왔다 철 이른 불볕더위 피해 낮게 엎드려 책을 읽다가 낮게 엎드린 나뭇가지에 이마를 부딪친다 부딪친 이마에서 연초록 잎새 돋아나 찰찰 흐르는 개울물 소리 읽는다 [소만 지나 비 그친 뒤] 전문 이 시는 한 줄 한 줄 읽는 사람에 따라 느낌을 달리 주는 시다. 시인의 눈으로 보면 더욱 더 낮은 곳으로 내려가야 시를 쓸 수 있다고 말하는 것 같고, 독자의 눈으로 보면 사람과 자연이 함께 그린 아름다운 그림 같다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그냥 손으로 쉽게 쓴 시가 아닐 것이다. 자연 속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사람이라야 “낮게 엎드려 책을 읽다가 / 낮게 앞드린 나뭇가지에 / 이마를 부닺”칠 수 있기 때문이다. “흰 눈발 사이로 한없이 걸으면 / 눈싸움하던 어린 시절로 돌아갈 수 있을까 / 반찬거리 손에 쥔 중년의 아낙이 / 괜스레 멍해지던 날”([눈은 내리고]) 사람은 누구나 지난 것을 그리워하는가 보다. 가끔 사람들과 서러운 세상 이야기 나누다 보면 남의 서러움에 자기 서러움까지 몇 배로 쌓여 “알싸한 소주 한 잔에 담배 한 개비 배우고 싶”([포장마차에서])은 날이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시인에게는 보통 사람보다 그런 유혹이 수백 배 수천 배 많을 것이다. 남의 아픔이 곧 내 아픔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인은 늘 마음이 아프고 외롭고 쓸쓸한 것이다. 시인은 메마른 세상과 부대끼며 속이 곪아터진 사람이다. 그래서 시를 쓰지 않으면 살 수가 없는 사람이다. 창문으로 들어오는 햇빛 밝아도 어두운 안방 귀가 어두워졌는지 웅웅 울리도록 텔레비전 틀어놓고 잠든 남편 넓은 등에 번진 희고 푸른 곰팡이 [아이들 자라 집 떠나고] 전문 “웅웅 울리도록 텔레비전 틀어놓고 잠든 / 남편 넓은 등에 번진 / 희고 푸른 곰팡이”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시인의 고된 노동이 남편 등에 나타난 것일까? 아니면 “아이들 자라 집 떠나고” 없는데 ”어두운 안방“에서 홀로 잠든 남편이 애처로워 보였을까? 짧은 시인데, 읽으면 읽을수록 가슴이 아프다. 이 시를 읽는 동안에 어느새 내 등에 ”희고 푸른 곰팡이“ 냄새가 난다. ---추천작--- [다시 해운대] 올해 스물한 살 딸아이 손잡고 해운대 모래밭 걷는다 철썩 철썩 밀려왔다 밀려가는 파도 앞에 처음 왔을 때 중학생이었다, 나는 이젠 젊다고 할 수 없는 나이 딸아인 어느 소설가가 바다는 올 때마다 더 커지는 거라 했다며 노을을 물고 부서지는 파도를 찍고 아깝지 않다 내 손가락 사이사이 모래시계로 흐는 시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