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글레이징용유성 실리콘(무초산형)
일반적인 실리콘 입니다. 사용용도는 주로 유리와 플라스틱 알루미늄 철 스테인리스 등 표면이 견고하고 매끈한 부위에 사용한다.경화되면서 수축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그 외의 부분에 시공하게 되면 하자가 발생할 수 있다. 2. 창호주위 실리콘(코레실)
새시 설치하고 창호 틀과 벽과 만나는 부분에 시공하게 됩니다.경화되면서 수축이 거의 없고 시공하는 부위가 시멘트 같은 울퉁불퉁한 부분에도 시공하기에 적합하다. 소시지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현장에서는 속칭 소시지라고 한다. 소세지전용건을 사용하여야 한다. 3. 우레탄 실리콘
방수가 필요한 부분 크랙 부위의 보수를 할 때 시공한다. 약간 묽고 경화되면 고무처럼 변합니다. 묽기 때문에 시멘트나 크랙 부위의 울퉁불퉁한 부분에 약간의 침투력도 있어서 잘 밀착되는 성질이 있다. 우레탄 방수액의 성분과 거의 유사 하므로 우레탄 방수와 같이 시공하기도 한다. 4. 변성실리콘(T1000)
크랙 보수 와 같이 수선이 필요한 부분에 사용한다.우레탄 실리콘과 같은 성분이고 비슷한 부위에 시공할 수 있다.
건축용 실리콘, 실란트
실란트(Sealant)는 갈라진 틈을 메워서 공기나 물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을 말한다. 실란트는 접착성이 우수하고, 탄성을 가지고 있어 건축 자재의 연결 부분, 갈라진 틈을 메워주고, 자재를 단단하게 고정하거나 내구성을 높일 때 주로 이용된다.
실란트의 재료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지만, 여기서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4가지만 소개하기로 한다.
1. 욕실 / 주방에 이용되는 실란트(BIO 707)
주방 싱크대, 욕실의 세면대와 거울 등에 물이 새는 걸 방지하거나 벽이나 다른 구조물에 접착하는데 실란트가 이용된다. 이런 경우 환경 규제 기준에 만족하는 친환경 소재의 건축 내장용 실란트를 사용하는데 또한 물과 수분에 강하고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2. 창호의 외풍을 막아주는 실란트(다우실 1000)
알루미늄(AL)이나 플라스틱(PL)으로 된 창호를 외벽에 고정할 때도 실란트가 이용된다. 우리 집 안팎의 온도 차로 창호가 수축, 팽창하거나 외부 진동이나 바람이 강한 경우에도 꽉 잡아줄 수 있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접착력이 우수한 실란트가 필요하다.
3. 통유리 / 베니어 금속판의 커튼월을 잡아주는 실란트(SL 819)
통유리나 넓은 판으로 벽을 대체하는 ‘커튼월(Curtain Wall)’ 공법에도 실란트는 빠질 수 없다. 커튼월에는 무거운 외벽을 단단하게 고정시켜주는 구조용 실란트와 바람, 눈, 비, 자외선, 소음 등 외부 환경에 잘 차단해주는 외장용 실란트를 이용한다.
4. 화재를 예방해 주는 실란트(QS 119R)
실란트는 화재 예방에도 이용된다. 비교적 좁은 관통 부위나 층간 방화 구획 등에 실란트를 채워주면 불길의 확산과 유해가스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는 물과 습기에 강하면서 열에 견디는 내열성, 내한성이 뛰어난 방화용 실란트를 이용한다. 실란트가 집이나 사무실의 구석구석 갈라진 틈을 메워주고, 외부 환경을 차단해 편안한 공간을 만들어 주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1. 실란트 개요 1-1. 실란트란? (접착 + 충진) 건축물의 각종 부재간의 접합부나 조인트(이음매)에 충진하여 이음매의 방수 기밀성을 부여하는 이외 유리등을 고정시키는 재료를 말합니다. 이 조인트가 방 치되었을 때 누수, 열손실, 각종 이물질 혼입 및 내부자재의 부식 등을 유발하게 됩니 다. 실란트는 형태에 따라 부정형 재료와 가스켓 같은 정형 재료로 구분되며 좁은 뜻 의 실링재는 부정형 재료를 말합니다.
1-2. 실란트의 구비조건 (접착 + 충진) 건축물의 각종 부재간의 접합부나 조인트(이음매)에 충진하여 이음매의 방수 기밀성을 부여하는 이외 유리등을 고정시키는 재료를 말합니다. 이 조인트가 방 치 되었을 때 누수, 열손실, 각종 이물질 혼입 및 내부자재의 부식등을 유발하게 됩니 다. 실란트는 형태에 따라 부정형 재료와 가스켓 같은 정형 재료로 구분되며 좁은 뜻 의 실링재는 부정형 재료를 말합니다.
1-3. 실란트 선택 시 고려사항 1) 조인트 움직임을 견딜수 있는 신축성 2) 필요한 조인트별 작업성 3) 실란트의 접착력 및 응집력 4) 4 계절을 견딜 수 있는 안정성 5) 내후성/화학적 안정성/시공성 6) 제품의 가격
1-4. 실란트 시공이 실패하는 원인 1) 불완전한 조인트 설계 2) 부자재의 불완전한 조립 3) 잘못된 실란트 선정 4) 부적당한 부자재 선정 5) 결함이 있는 제품 사용
1-5. 실란트의 기능 3요소 1) 수밀, 기밀성 유지 2) 조인트 움직임 감당 3) 우수한 내구성
1-6. 완벽한 실란트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5단계 1) 피착재 물성 조사 2) 실란트 선정 3) 조인트 설계 4) 시공표면 처리 5) 실란트 시공
1-7. 실란트의 선택 1) 사용목적에 적합한 실란트 선정 2) 사용 부자재와의 화학적 적합성 3) 접착 적합성 4) 움직임 허용치 5) 기타 부자재와의 적합성 6) 적당한 보관 기간
1-8. 실란트의 움직임 허용치 1) 부틸 실란트 : 5% 2) 아크릴 실란트 : 7.5% 3) 우레탄 실란트 : 12.5 - 25% 4) 폴리 설파이드 : 12.5 - 25% 5) 변성 실리콘 : 25% 6) 실리콘 실란트(초산) : 25% 7) 실리콘 실란트(무초산) : 40 - 50%
1-9. 건축용 실리콘 실란트의 특징 1) 주요 원료 ● 폴리머 : 유기오일(H-SIO ~ SIO-H) ● 충진제 : 연무질 실리카 ● 희석제(가소제) : 실리콘 오일 ● 가교제 : 초산형, 옥심형, 알콜형 ● 기타 : 촉매, 접착 향상제
2) 경화 상태에 따른 분류 ● 1성분형(주제+경화제 혼합) : 수분(공기 중 습기)에 의해 경화 ● 2성분형(주제 및 경화제 분리) : 두 가지 성분 혼합에 의한 경화
3) 종류별 특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