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부재 리사이클 기술의 개발
⑤ Mazda의 폐차 범퍼를 신차에 리사이클
Mazda는 2011년 폐차 범퍼로부터 회수한 수지재료를 신차의 범퍼에 사용하였다고 발표. 1992년경부터 노력한 폐차 범퍼재의 PP계 수지 재료의 under cover로의 적용, 2001~2005넌에 걸쳐 신차 범퍼로의 적용 기술의 개발을 거쳐, 품질 관리 기술을 확립하는 것에 의해 실현한 것이고, 공표 base에서는 세계 최초의 bumper to bumper의 적용 예라고 하고 있다(도23).
⑥ Suzuki의 쉬운 리사이클 부재 개발
Suzuki는 리사이클을 배려한 차 제작(리사이클 설계)을 중시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고, 수지 제품의 외장 부품이나 내장 부품에 리사이클 쉬운 재료를 사용하는 방침이다(도24).
⑦ Toyota의 리사이클 기술 개발
Toyota는 회수 부재 리사이클 기술의 개발을 진행하여, 판매점에서의 회수 범퍼재로부터의 수지 재생을 실시하고(도25), 나아가 생산 능력 향상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미국에 있어서도 범퍼 커버나 scrap parts의 리사이클을 진행하고 있다(도26).
⑧ Sumitomo 화학 / Rever의 material recycle 사업에서 업무 제휴
Sumitomo 화학과 Rever의 양사는 2023년 4월, 사용 후 자동차로부터 얻어진 폐 플라스틱의 material recycle을 향한 업무 제휴 계약을 체결하였다. Rever는 년간 약 24만대의 폐 자동차의 파쇄, 선별을 행하고 있는 종합 리사이클 기업이고 양사는 2021년 6월부터 플라스틱의 자원 순환 시스템 구축을 향해 공동의 검토를 진행해 오면서 폐 플라스틱의 회수 방법이나 재자원화의 프로세스, 환경 부하 평가 등을 검증한 결과, 고품질인 재생 플라스틱의 생산, 공급에 일정한 목표가 들어섬에 따라, 더욱 협업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업무를 제휴하게 되었다(도27).
⑨ Honda와 Mitsubishi 화학의 알칼리 수지의 수평 리사이클 검토
Honda는 Mitsubishi 화학, 홋카이도 자동차 처리 협동 조합과 공동으로, 사용 후 자동차로부터 회수한 PMMA(polymethyl methacrylate, 이하 아크릴 수지) 수평 리사이클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번에 시도한 수평 리사이클은 사용 후의 제품에서부터 회수한 재료를 고도의 리사이클 기법으로 virgin재와 동등한 성능, 품질 리사이클재로 전환하고, 동일 종류의 제품을 제조하는 것으로, 이 시스템이 확립되면, 회수한 후미 등으로부터 다시 후미 등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아크릴 수지 제조, 폐기 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삭감에도 기여한다(도28).
⑩ NIFCO의 door mirror · service hole cover
NIFCO는 2022년 12월, 리사이클이 용이한, 수지제 door mirror, service hole cover를 상품화하고, 양산을 개시하였다. Door mirror, service hole(door mirror의 차체 조립 시에 필요한 작업용 구멍)을 닫아서 막고, 수지제 door mirror, service hole cover를, 리사이클이 용이한 재료와 구조를 사용하여 상품화하였다. 본 제품은 Toyota 자동차의 Crown에 탑재되어 있다고 한다(도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