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舊 花郞臺驛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606 (공릉동 29-2) |
연혁 |
1939년 7월 20일 : 태릉역(泰陵驛)으로 영업 개시 |
1958년 1월 1일 : 화랑대역(花郞臺驛)으로 역명 변경 | |
1976년 7월 10일 : 화물취급 중지 | |
1977년 5월 16일 : 수소화물취급 중지 | |
2000년 1월 1일 : 화물취급 개시 | |
2006년 12월 4일 : 역사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300호로 지정 | |
2010년 9월 1일 : 화물취급 중지 | |
2010년 12월 21일 :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개통으로 성북 - 화랑대 구간이 폐선 되면서 폐역 | |
화랑대역 |
花郞臺驛 ; 경춘선에 위치한 철도역 |
역명은 인근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의 별칭에서 따온 것 | |
개통 당시 역 이름은 태릉역(泰陵驛)이었음 | |
폐역 직후 건널목 평탄화와 철거, 양측 선로 단절과 공원화에 의해 철도시설로서의 역할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음 | |
역할 |
폐역 이전에는 1일 7회의 무궁화호가 정차 |
복선 전철화로 선로가 이설되면서 수도권 전철 경춘선은 이 역을 경유하지 않고 망우 - 갈매를 잇는 노선으로 이설 되었고, 기존 성북 - 화랑대 구간은 폐선 | |
화랑대 - 갈매 구간과 화랑대역의 선로궤도는 육군사관학교의 군수 물자와 병력 수송을 담당 | |
논산 육군훈련소에서 기초군사훈련을 마친 카투사 지원병들이 캠프 잭슨에 위치한 카투사교육대로 입소하기 위하여만 이 역에 정차 | |
역사는 박물관으로 개조되었음 | |
승강장 |
구조 1면 2선 (섬식 승강장) |
승강장1 ; 경춘선 성북·청량리 방면 | |
승강장2 ; 경춘선 청평·가평·강촌, 남춘천 방면 | |
역 주변 환경 |
서울여자대학교 |
육군사관학교 | |
지하철 6호선 화랑대역 | |
태릉선수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