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교적 정치 이상과 불교의 회통 2. 동양의 정치 이상과 경세학經世學 1) 유교의 정치사상과 이상 2) 적극적 현실 참여와 지기知幾 3. 국사國師 역할의 자임과 요익행饒益行 1) 역대 대통령과의 인연과 자문 2) 정신 수도 계룡산과 후천 세계 준비 4. 현재 완료 진행형인 탄허의 일갈 5. 탄허의 선각先覺과 예지력
제6장 | 탄허의 관점에서 본 화엄학과 정역학의 만남
1. 한국불교학의 새로운 지평 2. 탄허학의 모색과 향후 연구과제 3. 화엄학華嚴學과 정역학正易學의 만남 1) 〈일승법계도〉와 〈64괘 방위도〉의 비교 2) 탄허의 불방불기北方佛紀 사용 3) 화엄학과 정역학의 십수十數 4) 《정역》의 ‘천지경위天地傾危 2800년’ 4. 물학物學에서 심학心學으로, 실학實學에서 허학虛學으로
제7장 | 《화엄경》 〈입법계품〉의 미륵과 한국불교
1. 거두去頭:연기緣起 2. 입정탄지入定彈指 1) 덕생 동자와 유덕 동녀의 상징 2) 여래 출현과 여래 성기의 세계 3) 미륵보살과 선재동자의 만남 4) 비로자나 장엄장 누각과 불망념지 해탈문 3. 출정탄지出定彈指 1) 미륵 탄지와 한국 불교사 - 손가락이라는 상징적 화두 -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의 비밀 - 한국의 선재 진표율사의 간자 두 쪽 2) 미륵삼부경과 《화엄경》 〈입법계품〉의 미륵 비교 4. 화엄 법계와 증입 5. 절미截尾:게송偈頌 - 일승법계도송一乘法界圖頌 - 참변산반도불사의방 진표찬 - 입법계품入法界品 약지略旨
제8장 | 동서 문명의 회통 시대
동아시아의 불교와 미주·유럽의 기독교의 만남 【中文】 ?西文明的 ?通?代 ? ?佛?和美洲·?洲基督?的相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