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일자 : 2024년.2월 13일(화요일)
☞ 참석인원 : 나홀로 산행
☞ 산행코스 : 갈매역-갈매농협-갈매우체국-태릉C.C후문-새우개고개137m봉-구능산-동구릉 펜스-57사단 정문-북부간선도로-원형탑-55사단 철책-망우리고개-망우리 공동묘지 주차장공동묘지-산불감시초소-망우산3보루-2보루-산불감시초소-1보루-아치울 갈림길-용마산5보루(H)-돌탑-용마산4보루-용마산제3헬기장-용마산-용마산제3헬기장-긴고랑 갈림길-아차산 정상(4보루)-아차산3보루-5보루-1보루-해맞이 쉼터-고구려정 갈림길-낙타고개-아차산성-생태학습체험관-광장초등학교-광나루역
(갈 때) 세류역-회기역(경춘선)-갈매역2번출구
(올 때) 광나루역-종로5가역1호선환승-세류역
▲갈매역 2번 출구로 나와 좌측구도로 따라간다.
▲개발지역으로 폐허가 된 구리갈매농협 앞으로 간다.
▲원지맥길은 우측 태릉골프장이어서 들어가지 못하고 도로 따라 우회한다.
▲새우개 고개를 지나 올라가야 할 보현사 뒷산 135.4m봉을 바라본다.
▲새우개고개(新峴, 해발70m): 새우개고개는 서울시 중랑구 신내동에 있던 마을로서, 이곳에서 구리시로 넘어가는 고개가 구불구불하여 새우 같다 하여 새우고개라 하고 혹은 줄여서 새고개라 하던 것을 한자명으로 표기하면서 와전되어 신현이 되었다. 新峴・새우개마을・새고개마을로도 불렸다. 중랑구 신내동의 자연마을인 새고개 마을에서 구리시 갈매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로서, 지형이 새우등과 같이 굽어 있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새우고개,새고개라고도 하였다. 새고개는 뜻이 변하여 한자명으로 신현이라고도 하였다. 또 마을 뒷산의 형국이 마치 새가 날개를 펴고 나는 모양과 같다고 하여 새고개, 곧 조령이라고도 하였다. 이 고개 부근의 마을도 새고개 마을이라 하고 한자명으로 신현리라고 하였다. 이 고갯길은 국도 47번과 연결되는데 좁고 구불거리지만 지름길이므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였다.
▲새우고개 횡단보도로를 건너 우측 SK주유소 뒷산이 지맥길인데 보현사 방향으로 올라간다.
▲관세음보살상이 보인다.
▲보현사:대한불교조계종(大韓佛敎曹溪宗) 소속의 사찰. 보현사는 구릉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작은 사찰로 1965년 박점모 불자가 창건하였다고 기록이 되어있어요. 보현사는 불광 운동을 통해 도심 포교에 앞장선 승려 광덕이 불광 법회 초창기에 오랫동안 주석하며, 구도 철야 정진 법회를 이끌었던 사찰이다.마하반야바라밀 근본 도량으로 가을에 특히 단풍이 아름다운 절로 유명하다.보현사는 구리 시민과 사회의 안녕을 위해 불공과 법회, 사회 봉사 등을 통해 부처의 말씀을 전하는 도량 역할을 하고 있다.보현사에는 현재 일주문은 없으며, 초입에 관세음보살입상이 있다.이밖에 대웅전, 관음전, 산신각이 있다.2016년 현재 주지는 승려 혜성이다
▲보현사 뒷산 능선으로 무작정 치고 올라간다.
▲135.4m봉삼각점) 둘레길을 만나 직진으로 내려간다.
▲식별번호 없는
삼각점
▲삼각점 통과 후 뒤돌아본 모습
▲넓은 공터 정자쉼터 지나간다.
▲가끔 동네 분들도 보이고 등로도 잘 정비되어 있다.
▲세종포천고속도로 상부를 지난다. 생태이동통로는 근린공원 수준으로 조성되어 있다.
▲ '구리-포천간 고속도로' 동물이동통로를 건너와서
뒤돌아본다.
▲구리~포천간 고속도로 차들이 씽씽 달린다.
▲ 우측으로 꺾어지는 좋은 등로가 있지만, 이 길은 검암산을 잘라먹고 구릉산으로 돌아가는 우회로이어서 좌측으로 간다.
▲맥길을 이어가기 위해 우측 철계단으로 올라간다.
▲구릉산을 올라 가면서 뒤돌아본 모습
▲철망울타리를 만나 좌측 개구멍을 통과하여 산위로 직등하여 올라간다.
▲철망을 넘어 171.4m봉을 향하여 올라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