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hnk_yXQ8MQ8
'왠'만해선 틀리면 안 '돼'는 맞춤법 가르'켜' 드릴'께'요
299,494 views Nov 22, 2023 #언어 #이동진 #맞춤법
이게 맞나?🤔 사람들이 자주 헷갈리는 표현들! (출연자 : 이동진 평론가, SK브로드밴드 이홍연 매니저) 이동진 평론가가 직접 모은 자주 틀리는 표현들을 찰떡 설명과 함께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 인터넷, B tv 가입부터 A/S까지! 스스로 앱에서 간편하게! 👉 B world 앱 다운 받기: https://bit.ly/3sFdGHY 고객 맞춤 AI 챗봇, 챗비! 👉 챗비 더 알아보기 : https://bit.ly/478am7b 끊김없는 인터넷을 원하신다면? 👉 인터넷+B tv 신규가입 이벤트 더 알아보기: http://bit.ly/3lsXdmZ 🎬오늘 소개해드린 영화는 B tv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B tv로 보고싶다면? 👇 [번지점프를 하다] - https://bit.ly/3uxruVx #이동진 #맞춤법 #언어 ※ 욕설, 비방, 광고성 댓글은 삭제 조치될 수 있습니다.
Transcript
Follow along using the transcript.
Show transcript
---------------------------------------------------------------------------------------
Pinned by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Btv이동진의파이아키아
1 year ago
인터넷, B tv 가입부터 A/S까지! 스스로 앱에서 간편하게!
B world 앱 다운 받기: https://bit.ly/3sFdGHY 고객 맞춤 AI 챗봇, 챗비!
챗비 더 알아보기 : https://bit.ly/478am7b 끊김없는 인터넷을 원하신다면?
인터넷+B tv 신규가입 이벤트 더 알아보기: http://bit.ly/3lsXdmZ
오늘 소개해드린 영화는 B tv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B tv로 보고싶다면?
[번지점프를 하다] - https://bit.ly/3uxruVx
Show less
25
Reply
3 replies
@유모린-scarlett1 year ago
ㅋㅋ "가르켜?" 손가락으로 물체를 가르켜? 알려준다는 뜻은 "가르쳐"지 썸네일부터 맞춤법 틀렸으면서 뭘 가르쳐? 너나 배우세요.
Read more
Reply
@honyang-qt9pb1 year ago (edited)
@유모린-scarlett 제목 일부러 전부 틀리게 쓴거예요;; 바보같은 사람들이 많이 틀리는걸 예시로요... 틀린 글자들 강조 해놨잖아요. 어휴..어디서 지적질을
1
Reply
@유모린-scarlett1 year ago
ㅋㅋ 넴!
Reply
@choichoechoy1 year ago (edited)
1.일사불란(아니 불이므로 일사분란이 아니다.) 2.희한하다(발음이 어려운게 맞는거-ㅎㅎ) 3.**치르다( 치루다는 없는 것-시험을 치렀다가 맞고 치뤘다는 틀린거)** 4.흉포하다(흉폭하다는 없는 단어) 5.거예요(것이에요--아니에요만 에요이다) 6.폭발하다(폭팔하다는 틀린거) 7.연루되다,최루탄(연류되다,최류탄이 아니다) 8.칼럼니스트( 칼럼리스트 아니다-이거는 칼럼의 list) 9.중순-11~20일, 중반---즉 내년 중반이라고 써야한다. 중순은 훨씬 작은 의미 10.사장님은 결재, 은행가서는 결제(결제는 제가 하고, 결재는 쟤(사장)가 합니다." 암기법 존재) 11.비슷한 사례-유례(전례와 비슷), 기원이나 내력-유래 12. 이따가-나중에, 있다가-시간이 흘러서 13. ***드러내다-가려져 있는 것을 끄집어내다-속셈을 드러내다,저의를 드러내다. /// 들어내다-잡아서 끄집어내다.- 이삿짐을 들어내다. 14.***던가-과거 회상의 표현(내가 그걸 했던가), 든가-선택의 표현(.하든가 말든가)
1 reply
@jia40571 year ago
오오 문자로 암기하시는 분들에게 좋겠어여
2
Reply
@hoya1071 year ago
14:10 ㅌ은 티긑이아니고 티읕입니다
29
Reply
1 reply
@왕자탄백마-i4e9 months ago
그걸 잡아냈네
Reply
@Steveoh931 year ago (edited)
~하대(다고해) ~하데(더라) 도 해줬으면 했는데.. 없네요
주변에 너무 틀리는 사람 많아서 속으로만 고통 받고 있습니다....
42
Reply
5 replies
@yeonie88891 year ago
대vs되 틀리는 것도 진짜 없어보이더라고요. 이거 사람들이 은근 많이 틀리는데도 정작 맞춤법 거론할 때는 도마 위에 잘 오르지 않는데… 두근되다, 부들되다, 칭얼되다, 징징되다 등등 뭐가 자꾸 된다는 건지 볼 때마다 아주 미쳐버려요
️
54
Reply
7 replies
@memories285321 year ago (edited)
요즘 맞추다와 맞히다 구별 못 하는 경우도 정말 많더라구요. 가령 어떤 문제에 대해 답을 내는 행위는 ‘맞추’는 것이 아니라 ‘맞히’는 거죠.
30
Reply
3 replies
@JAN-.1 year ago
둘 사이의 차이를 인식하는 것은 구분이 아니라 구별입니다.
15
Reply
@memories285321 year ago (edited)
@JAN-.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10
Reply
@왕자탄백마-i4e9 months ago
시험지를 풀고 답을 맞히고 나중에 답안지를 보고 답을 맞추다
1
Reply
@ohminjin80311 year ago (edited)
B tv 식구들 정말 감사 드립니다. 힘들때는 쉬어가세요.사랑을 담아
8
Reply
@stanpark825511 months ago
영상이 주로 한자어와 외래어 위주로 정리되어 있는데, 그 외에 정말 많이 틀리는 표현들을 보자면 1. 엄한 vs 애먼 ex) 괜히 엄한사람 잡지 말고 (x) -> 괜히 애먼사람 잡지 말고 (o) 2. 구렛나루 vs 구레나룻 ex) 구렛나루 어떻게 잘라드릴까요 (x) -> 구레나룻 어떻게 잘라드릴까요 (o) 3. 없으세요/되세요 vs 없어요/돼요 ex) 아 그건 없으세요 (x) -> 아 그건 없어요 (o) / 이렇게 하시면 되세요 (x) -> 이렇게 하시면 돼요 (o) 4. 터트리다 vs 터뜨리다 ex) 폭탄을 터트리다 (x) -> 폭탄을 터뜨리다 (o)
Show less
2
Reply
@Seoraksan_Dotorimuk1 year ago
14:09 선생님 티귿이 아니라 티읕입니다!!
19
Reply
1 reply
@둔둔지기지기둔잔자1 year ago
아 이거 짚는 글 없으면 내가 쓸려고 했는데 ㅋㅋㅋ
@pcgyver2110 months ago
이동진님 말에도 틀린 부분이 있네요.ㅎㅎ. 09:25경 "용인해 주던지(과거)"라는 표현은 "용인해 주든지(선택)"이 맞는 것 같습니다.
1
Reply
@아스파라긴1 year ago
14:10 티긑이 아니라 티읕인데요… 이동진 평론가 님도 틀릴 때가 있으시네요 ㅋㅋ
11
Reply
@MEGABOX메가박스1 year ago
10:25 “갑자기 저희는 왜...” 가 아니라 저희 불러주셔서 감사합니다!
(속닥속닥)시네마 리플레이에서 만나요 평론가님
50
Reply
3 replies
@JWLEE-v5n1 year ago
이동진평론가의 강의는 물론 수많은 댓글들을 통해서도 우리말 우리글 공부 잘 하고 갑니다.
7
Reply
@juju-cm6mw1 year ago
'다르다' 와 ‘틀리다'를 실수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아요. 오늘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17
Reply
3 replies
@gyeongpunch1 year ago
14:09 'ㅌ' 은 티긑이 아니라 티읕입니다ㅎㅎㅎ 'ㄷ'만 디귿입니다!
9
Reply
@moonchanyoung3171 year ago
세계사 국사 경제 정치 지리 예체능에 이어 이젠 국어까지.. ebs 게섯거라!!!
323
Reply
8 replies
@soi__991 year ago (edited)
4:06 같은 맥락으로 '잠구다'도 없는 말이고 '담구다'라는 말도 없는 말이죠...! 그래서 '잠궈' '담궈'도 없는 거고 '잠가' '담가'로 써야 되는데 평소 말할 때 발음 때문인가 헷갈릴 법한 것 같기도...
3
Reply
@mg_ss1 year ago
한자 교육이 왜 요즘 시대에도 필요하다고 하는지 간접적으로 알려주기도 하는 듯 ㅋㅋ 진짜 기본만 알아도 단어 자체를 받아들일 때 느낌이 다름
34
Reply
2 replies
@mg_ss1 year ago (edited)
@NFT_Business 음... 동음이의어 때문에 말씀하시는 걸까요? 만약 그렇다면 오히려 한자를 알면 구분을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을 거예요. 물론 한자어를 쓰지 않고 대체 단어로 더 명확한 구분을 할 수는 있겠지만, 이미 한국어에서 한자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나도 크기에 기본적인 한자 지식을 갖춰야 단어의 명확한 의미를 완전히 파악할 수 있다는 말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