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ruxMaps의 기초적인 사용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아래 내용은 3.4버전 대상이며
제가 사용하는 단말기는 삼성 갤럭시S 입니다.
그럼 가장 먼저 할일...
뭐니뭐니 해도 어플부터 다운받아야 겠지요...
[어플검색]
좌측 그림과 같이 마켓검색에서
'oruxmaps'를 입력하고 돋보기를 누르세요.
(혹시 요기부터 막히시는분들 계신가요? 단말기 좀 더 사용하신 후 오세요.)
[검색완료]
조금 기다리시면 그림과 같이 검색결과가 나옵니다.
(참고로 저는 이미 설치해 놓아서 '설치됨'이라고
나오지만 처음이신분은 '무료'라고 나옵니다.)
검색된 어플을 터치하면 어플설명과 하단에 설치화면이 나옵니다.
당연히 설치를 클릭해야겠죠...
설치가 완료되었다는 메세지가 나올때까지 기다리세요.
[설치완료]
설치가 완료되면 메인메뉴 화면 마지막 페이지에 그림의
두번째줄 맨우측처럼 OruxMaps 란 어플메뉴가 생깁니다.
이제 어플메뉴를 클릭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되는데요...
실행 전에 먼저 GPS를 살려야 합니다.
어떻게?...아래글에!...
[GPS 살리기-1]
[GPS 살리기-2]
위에서 네번째 '장소 및 보안'을 클릭합니다.
[GPS 살리기-3]
'무선네트워크사용' 과 'GPS 도우미 사용'은
네트워크로 현재위치를 찾는다고 하는데요..
체크해 봤는데 건물사이나 협곡등에서 현재위치가 다른곳에
갔다가 올때가 종종 있습니다.
도로상에서 네비게이션등을 사용할때는 관계없겠지만
등산시에는 아주 좋지않은거 같아요.
그냥 그림처럼....
[GPS 빨리살리기]
참고로 휴대폰 화면 상단에서 아래로 커텐 내리듯 내리면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내려오는데요
여기서 GPS를 클릭해도 됩니다.
클릭할때마다 GPS 가 켜짐-꺼짐 이 반복됩니다.
어떻게 하시던 그림처럼 GPS가 녹색으로 되어야 합니다.
[OruxMaps 실행]
[첫화면]
당장은 다른거 생각하지 마시고 세번째 'Online Maps'를 선택합니다.
(지도선택방법은 Online Maps 와 Browse Maps 두가지가 있습니다.
Online Maps는 말그대로 네트워크로 지도를 받아서 사용하는겁니다.
지도만드는 수고를 덜어주는 고마움이 있지만..
네트워크를 사용하니 요금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데이타요금 무제한이 아니면 위험하겠죠. ㅎㅎ
또한 통신이 잘안되는 오지나 산속에서는 지도 다운로드가 어렵고
단말기 전원을 많이 소모시킵니다.
Browss Maps는 Offline Maps로 사용자가 지도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겁니다.
지도가 즉시 뜨고 전원소모량이 적은게 장점이지만
지도 만드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시간이 좀 걸립니다.)
지금은 기초단계이므로 Online Maps 클릭하세요~
[프로그램 시작]
물론 처음 실행하시는분들은 다른모양의 지도가 나올 수 도 있고요...
지도가 나왔다 하더라도 이름도 성도 모르는 장소가 나올수도 있습니다...
외국의 지도가 나올수도 있고, 나왔다하더라도 아주 작게 나올수도...
하지만 걱정 마세요. 지도는 아래에 설명하겠지만 메뉴에서 고를 수 있고요.
위치는 GPS 신호가 감지되면 현재 위치로 이동합니다.
어찌되었던 뭔가 시작된 느낌입니다.
하지만...지금은 프로그램 모양만 구경한겁니다.
뭐랄까 생명력이 없는 껍데기....ㅎㅎ
이제 남은건 여기에 GPS 신호를 입력받도록 만들고
그것을 이용하여 활용하는 단계가 남았습니다.
한마디로 생명력을 불어넣는거죠.
그전에...
여기서 잠깐 쉬는 차원에서 다른지도들에 대해 이야기 좀 하겠습니다.
다른 지도로 바꿔보겠습니다.
[프로그램 메뉴]
우선 지도를 바꾸기위해 메뉴를 불러내야 합니다.
휴대폰 기기의 맨아래 좌측 메뉴부르는 키를 누르면
그림과 같이 6가지 선택메뉴가 나옵니다.
메뉴키 요겁니다.
메뉴에서 Maps 를 선택합니다.
[지도선택 팝업창]
지도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이 나옵니다.
창을 아래, 위로 움직이면 여러가지 지도이름이 나옵니다.
주로 Google 지도들 중에 사용하면 알맞습니다.
(위 사진에 나온 지도는 Google Maps 입니다.
네이버지도랑 거의 비슷한 수준입니다.)
[Google Terrain]
Google Terrain 지도입니다. 등고선이 나오는 지도입니다. 산에 갈때 괜찮겠죠.?.
[Google Earth] Google Earth 입니다
위성사진이죠. 실지형을 참고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GPS 가동]
자 이제 지도바꾸는 이야기는 그만하고...
GPS를 가동시켜보겠습니다.
화면 상부에 보시면 큼직한 아이콘들이 횡으로 주욱 나와있죠?
이것들이 프로그램 사용하는데 필요한 아이콘들입니다.
손가락으로 좌우로 움직여보시면 아이콘들이 여러개 나옵니다.
일단 여기선 맨좌측 아이콘 한번 클릭하시면 됩니다.
클릭하면 화면하단에 'GPS Tracking on' 이란 메세지가 나오면서
화면 우측상단에 작은 아이콘이 하나 더 생깁니다.
안테나 수신하는거 같은 모양...
이제 GPS가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받으려고 합니다.
정확한 현재 위치 신호를 받기위해선 시간이 조금 걸릴수도 있습니다.
(짧게는 1~2분...길게는 5분정도...산행전에 미리 찔러놓으면 다른거
준비하는 동안 신호가 잡힐겁니다.)
(그림에 나온 지도는 신경쓰지마세요..제가 직접 만들어서 사용하는 OffLine 지도인데 다음기회에 설명 하겠습니다.)
여기서는 GPS 가동하는거만 알고 넘어갑시다....ㅎㅎ
[Tracking ON]
위에 설명은 GPS를 통신시키는 설명이고요
이설명은 앞으로 내가 움직이는 궤적을 기록하는겁니다.
세번째 아이콘을 한번 누르시면 좀전에 GPS 가동할 때 생긴
안테나모양의 작은 아이콘옆에 빨간 당구공 하나 생깁니다.
이제부터 내가 움직이는 동선을 궤적으로 기록하기 시작합니다.
단. GPS가 신호가 제대로 잡히지 않으면 신호가 제대로 잡힐때까지
기다렸다가 GPS 신호가 확실히 잡힐때 지도상에 내위치가 나오고
궤적이 기록되기 시작합니다.
(궤적이 기록되고 있는중에 이 세번째 아이콘을 다시 누르면
그때까지의 궤적이 파일로 저장이 되면서 궤적 기록이 종료됩니다.)
[Tracking ON]
Tracking ON 시 좌측그림이 나올 수 있는데요.
이것은 좀전에 기록중이던 Track 이 있을때 또는 다른 Track 파일을
불러놓고 Tracking ON을 시작할때 나오는 메세지입니다.
첫번째 'CONTINUE' 는 이전 Track 에 이어서 계속 저장한다는 거고요
세번째는 새롭게 시작하겠단 뜻입니다.
두번째거도 비슷한듯 한데 아직 확실하게 설명이 어렵네요...
여기서 중요한건...
새롭게 궤적을 저장하고싶다면 세번째거 찌르면 되고요
첫번째게 아주 유용한 겁니다. 어떨때 유용하냐면...
산행도중 밧데리가 소진되어서 교체하기위해 단말기를 껏다가 켰을때
또는 실수로 Trcking 이 종료되어서 다시 시작하고자 할때
계속 한파일로 저장을 하고자 할때 사용하는겁니다.
[Tracking 화면]
어찌되었던간에..
Tracking 이 시작되면 그림과 같이 내가 움직인 위치가 붉은 선으로
표현되어집니다.
[산행 종료]
산행이 종료되면 위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상단 아이콘들 중
녹색깃발에 당구공을 한번 찔러줍니다.
그러면 지금까지 궤적이 시스템내에 기록으로 남습니다.
그런데 이상태에서는 파일을 빼내어 컴퓨터에서 어떤 작업을 할 수 없습니다.
컴퓨터에서 작업하기 위해 다시 변환이 필요한데요...
저기 위에 설명한 메뉴 불러내는 단추를 누르신후 Track 을 찌릅니다.
이겁니다...ㅋ
[Track]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요.
이것들이 시스템에 저장된 Track 파일들입니다.
가장 위에것이 조금전에 저장한 파일입니다.
추출해내고자 하는 파일을 손으로 쿡 찌르면...
아래 그림과 같은 팝업 창이 뜹니다.
[Track 처리]
이것도 위, 아래로 움직이면 여러가지 메뉴들이 있습니다.
맨위에 것은 파일속성을 바꾸는건데요...이름등을....그냥 넘어갑시다.
6번째 'Export as GPX' 요거 누르시면 GPX 파일로 저장됩니다.
저장은 OruxMaps\Tracklogs 폴더에 됩니다.
GPX 파일은 컴퓨터상에서 궤적을 분석하는데 사용되고요
다른사람에게 주어서 산행시 안내용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그림에는 보이지 않지만 그 밑에 'Export as KML' 은 컴퓨터상의
구글어스에서 구글사진위에 올려서 보는겁니다.
물론 GPX 파일도 구들어스에 올려서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한가지 더...
'Load the Track' 는 해당파일을 OruxMaps 화면상에 Track으로
올리겠다는 겁니다.
저위에 설명했죠...
이어서 Track을 저장하고 싶을 때...이 메뉴로 Track으로 올린다음
Tracking ON 단추를 찌르면 됩니다.
[ROUTE 올리기]
이제는 다른사람이 다녀온 궤적을 불러와서 따라가는
ROUTE 파일을 올려보겠습니다.
화면상단의 아이콘들 중 ROUT란 아이콘을 찌릅니다.
그러면 그림과 같이 route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이 뜹니다.
이파일들 역시 OruxMaps\Tracklogs 폴더에 들어있는 것들입니다.
이중 필요한 route를 선택합니다.
저는 남덕유산을 선택하겠습니다.
[ROUTE 올린 모양]
파일크기에 따라 올라오는 시간이 걸릴수도 있는데
조금 기다리면 그림과 같이 파란색으로 route가 올라옵니다.
이제 파란색만 따라가면 길잃어버리지 않고 끝까지 안전한 산행이 가능합니다.
일단 요기까지 기본적인 조작방법을 마치겠습니다.
그래도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Q&A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꼭 꼭.
다음에는 더욱 유익한 기능들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아직까지는~~~
많이 배워야되겠습니다.
잘 봤습니다. 너무나 상세한 설명이어서 이해가 쉽네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버전은 달라도 워낙 쉽게 설명.
상위버전에도 적용해가며 공부중.
고맙습니다.
저도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잘읽었습니다.
넘 늦게 들와서 버전이 안맞네요..ㅋ
그래도 열공 해야져....홧팅!!
설명 잘보았습니다.
열공 ~~
구 버젼이라 매취가 잘안되네요. 갈길이 머네요.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고 하셨습니다
잘 보았습니다. 아직도 이해가 덜되었지만..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안녕 하시고요
감사합니다./
최근 버전으로 설명 된것은 없나요?
오늘에서야, 오룩스에 대해서 탐독 합니다,
너무 배울게 많아서 뭘 먼저 해야 될지 모르게습니다.
저는 겔러스6를 가지고 있습니다.
오룩스맵을 설치 해는데 구동이 않돼요.
해서 완전탐독후 다시 설치 하려 합니다,
최신버전 좀 부닥 드립니다.
최신버전이 아니어서 그런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카페에서 지도를 다운받아도 에러만 나고 구동이 되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될지 정말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