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수 성균관대 국가전략연구소 연구위원(정치학 박사)
최근 길거리를 지나다보면 KTX 영등포역 정차와 관련 각각 다른 내용의 현수막들이 게시된 것을 볼 수 있다. 한쪽에서는 KTX 영등포역 정차를 환영한다는 내용이고, 다른 쪽에서는 하루 두 편 밖에 서지 않는다는 것과 그 두 편 때문에 새마을호가 10편이 축소되었기 때문에 오히려 문제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각각의 견해들은 나름대로 근거와 타당성을 지니고 있지만 이를 보는 영등포 주민들은 혼란을 겪을 수 밖에 없다.
우선 구체적인 사실들을 먼저 알아보자. KTX는 최고속도 300㎞로 달리는 열차로 정부에서는 녹색성장의 핵심 교통수단으로 만들기 위해 지금의 경부고속철과 호남고속철 외에도 추가로 내륙선 및 해안선 등을 구축해 전국을 반나절 생활권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일본과 같이 철도를 주 간선망으로 하고 일반차량이 다니는 도로를 보조망으로 하는 교통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의미이다. 왜냐하면 승객 1인당 CO₂배출량에서 일반 차량이 기차에 비해 약 8배 이상 높기 때문에 향후 교토의정서에 따른 탄소배출량 감소 문제는 곧 국가의 미래를 결정지을 중요한 과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지역들은 철도망의 구축과 이에 따른 정차역의 배정이 지역발전의 관건이 될 것이며, 따라서 주요 도시들은 KTX 정차를 위해 각종 로비를 벌이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영등포는 예로부터 수도 서울에 진입하는 관문 역할을 해 왔다. 그래서 영등포는 서울 4대문 외곽의 가장 큰 교통의 중심지였다.
그런데 지난 정부에서 KTX 도입 당시 주요 관문인 영등포역을 배제하고 광명역사를 건설하면서 수도권 남서부의 교통중심축을 영등포가 아닌 광명으로 결정하는 우를 범하고 말았다. 철도공사 역시 이용객 수를 볼 때 영등포가 광명보다 1.6배 이상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영등포역에 KTX를 정차시킬 경우 수천억원을 들여 건설한 광명역사가 제 구실을 못할 것이 뻔하기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영등포역 정차를 하지 못해 왔다.
두 번째는 KTX 영등포역 정차 때문에 새마을호가 10편 축소되었다는 주장의 내용이다. 이는 약간의 오해가 있는 듯 하다. 알다시피 새마을호는 대부분 만들어진지 30년 가까이 된 노후 차량들이다.
더구나 새마을호는 동력이 디젤 연료를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탄소배출에 문제가 있어 점차 전기 동력 차량인 TC나 EMU차량으로 교체되는 과정이다. 즉 새마을호 축소는 KTX 정차에 따른 반대급부가 아니라 자연적인 교체일 뿐이라는 것이다.
물론 이번에 정부가 결정한 KTX 영등포역 정차는 하루 왕복 두 번뿐이라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그러나 몇 천억 들어가는 국가 예산도 처음 단돈 1-10억원 타기가 어렵지 일단 타내기만 한다면 그 사업은 계속 사업이 된다.
이런 이유로 당분간은 하루 두 편 뿐이지만 영등포역사 현대화 계획이 이루어져 KTX 정차를 위한 지하역사 사업이 이뤄진다면 명실공히 영등포역이 수도 서울의 관문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첫술에 배부른 법은 없다. 이제 남은 숙제는 빠른 시간 내에 영등포역사 지하화 사업을 추진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영등포 주민들이 힘을 모아야 한다.
첫댓글 역대정권에서 소외받았던 영등포! KTX의 깃발을 꽂았으니 앞으로는 새마을호가 폐기되는 대신(재배치 불가능) 후속적으로 KTX의 추가정차나 무궁화호의 추가배치가 과제입니다. 여야가 합심해서 추진되면 얼마나 좋을까요.
고맙습니다. 잘 보았구요 이해가 가는군요. 그런데 이런 내용을 대충은 사전에도 알만한 지역 일부 의원들이 영등포 주민을 위한다는 가면으로 주민들을 호도하는건 참으로 심각한 배신이군요. 도림사거리의 현수막에 위 아래 상호 대치되는 내용으로 주민들이 헥갈리니 어서 현수막 떼었으면 좋겠군요. 밴댕이 속 당리당략에 주민들이 농락당한 느낌입니다. 영등포역에 ktx열차 정차 유치는 지역의 경사입니다. 아직은 횟수나 호남선 방향이 없는 것이 아쉽긴 하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