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의 공포구조와 지붕모양
- 국보로 지정된 한옥을 망라함 -
한옥을 지으려면 기둥을 세운 다음 이것들을 연결시켜 고정하고 지붕을 받쳐야 한다.
기둥을 옆으로 잇는 것을 창방이라 하고, 앞뒤로 가로 지르는 나무를 들보라 칭한다.
창방과 들보를 연결하고 지붕을 받치는 장치를 공포 혹은 포라고 한다.
공포는 기둥 위에서 십자로 짜여지는 구조물로
지붕의 하중을 원할 하게 아래로 내리는 역할을 한다.
공포에는 들보와 도리 등이 올라가는데, 이것들을 타고 내려오는 지붕의 무게가
유기적으로 기둥에 전달되도록 공포를 설치해야 한다.
공포를 어떻게 설치하고, 서까래 바로 아래에 있는 여러 도리를 여하히 받치는가가
목조 한옥건축의 중요 과제이다.
기둥 바로 위에만 공포구조물을 설치하는 건축 형식을 주심포집이라 하고,
기둥과 기둥사이 위에도 공간포(공포)를 만들어 끼어 넣는 경우를 다포집이라 한다.
대체로 건물을 크고 화려하게 하기 위해서 공간포를 많이 넣기도 한다.
* 가구: 집을 만드는 뼈대의 얽기
* 가구 연결 장치: 공포, 포(기둥, 창방, 들보, 도리 등을 연결
* 도리: 출목도리, 주심도리, 중도리, 종도리, 등, 서까래 바로 아래 좌우로 설치
* 들보: 종보, 중보, 대들보, 기둥을 앞뒤로 연결
* 창방: 바깥기둥을 한바퀴 돌아가면서 기둥머리를 연결
공포부재 (주두, 소로, 첨차, 살미 등)
* 주두: 기둥머리에서 공포를 받치는 사각 재, 목침 형태
* 소로: 상부부재를 받아 하부부재에 전달하는 사각 재. 첨차와 첨차, 살미와 살미사이
* 첨차: 도리에 평행하고 보에 직각으로 놓이는 부재, 도리 방향
* 살미: 도리에 직각으로 보에 평행하게 짜이는 부재의 총칭, 보 방향
한옥의 지붕은 그 모양에 따라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팔작지붕, 모임지붕 등으로
기본형을 나눈다.
1. 맞배지붕:
건물의 앞뒤에서만 지붕면이 보인다.
용마루와 내림마루 만으로 구성되며 책을 엎어 놓은 것과 같은 모습이다.
지붕의 앞면과 뒷면은 사람(人)자 모양으로 배를 맞댄 형태로,
건물의 측면에서는 지붕면이 용마루까지 올라가게 되어 △형이 생긴다.
고려시대 이전에 주로 사용된 양식으로 사당건물, 회랑, 행랑채, 등에 사용되고 있다.
국보 제13호 영암 월출산 무위사 극락전 1476(성종)
제14호 영천 팔공산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1375(우왕)
제15호 안동 천등산 봉정사 극락전 1363중수(공민왕)
제19호 영주 봉황산 부석사 조사당 1377(우왕)
제49호 예산 덕숭산 수덕사 대웅전 1308 창건(충선왕)
제50호 영암 월출산 도갑사 해탈문 1473(성종)
제51호 강릉 객사문 1392(태조)
제56호 승주 조계산 송광사 국사전 1404(태종)
제227호 서울 종묘 정전 1608(광해)
봉정사 극락전
2. 우진각지붕:
건물의 전후 면에서 보면 사다리꼴이고 양측 면에서는 삼각형이다.
용마루와 추녀마루로 구성되며, 함석지붕에서도 볼 수 있다.
맞배지붕의 양 측면을 다시 삼각형 모양으로 끌어내려 추녀가 4면에 고르게 만들어져 있다.
성문, 창고, 초가, 등에 이용되고 있다.
국보 제1 호 서울 숭례문 1396(태조)
제52호 합천 가야산 해인사 장경판고(수다라전, 법보전) 1488(성종)
|
서울숭례문 |
3. 팔작지붕:
우진각지붕 위에 맞배지붕을 올려놓은 것 같은 모양이다.
전후 면에서 보면 갓을 쓴 것과 같고,
측면에서는 사다리꼴 위에 맞배지붕의 측면을 올려놓은 것과 같은 형태다.
용마루, 내림마루, 추녀마루가 모두 갖추어진 지붕이다.
우진각지붕의 세모꼴 측면에 다시 여덟팔(八)자 모양을 덧붙여
마치 부채 살이 퍼지는 형상으로 합각지붕 이라고도 불리 운다.
고려시대 이후 많이 지어진 집으로 조선 시대 양반집도 대부분 그러한다.
국보 제18호 영주 봉황산 부석사 무량수전 1376 중수(우왕)
제62호 김제 모악산 금산사 미륵전 1635(인조)
제67호 구례 지리산 화엄사 각황전 1703(숙종)
제223호 서울 경복궁 근정전 1866(고종)
제224호 서울 경복궁 경회루 1866(고종)
제225호 서울 창덕궁 인정전 1804(순조)
제226호 서울 창경궁 명정전 1616(광해)
제290호 양산 영취산 통도사 대웅전 1645(인조)
제304호 여수 진남관 1716(숙종)
제305호 통영 세병관 1604(선조)
제311호 안동 봉황산 봉정사 대웅전 1435 중창(세종)
부석사 무량수전
4. 모임지붕:
용마루 없이 하나의 꼭지 점에 지붕골이 만나는 형태로 추녀마루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모지붕, 육모지붕, 팔모지붕 등이 있다.
정자건물, 탑,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된 지붕형태이다.
국보 제55호 보은 속리산 법주사 팔상전 1624(인조)
|
법주사팔상전 |
맞배지붕에는 주심포집이 어울리고 팔작지붕에는 다포집이 어울린다.
맞배지붕은 엄숙하고 단아하며 경건한 자태를 보이고,
팔작지붕은 화려하고 웅장한 외관을 보여 준다
첫댓글 샘 늘 좋은자료 챙겨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