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언어재활사 국가시험 : http://www.kuksiwon.or.kr/Publicity/NoticeView.aspx?SiteGnb=3&SiteLnb=1
시험직종 | 1급 언어재활사 | 적용기간 | 2015년도 제4회부터 ~ 별도 공지 시 까지 | ||
직무내용 | 언어재활사는 음성 및 언어장애를 평가하고 치료하여 의사소통 기능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증진시키는 전문 직업인이다. | ||||
시험형식 | 객관식 (5지 선다형) | 문제 수 (배점) | 140문제 (1점 / 1문제) | 시험시간 | 140분 |
시험과목 | 분야 | 영역 |
1. 신경언어장애 | 1. 실어증 심층적 이해 |
|
1. 실어증 심층 평가와 진단 | ||
2. 실어증 유형과 특성 | ||
3. 실어증 치료 접근 | ||
2. 말운동장애 심층적 이해 |
| |
1. 마비말장애 심층 평가와 진단 | ||
2. 말실행증 심층평가와 진단 | ||
3. 말운동장애 치료접근 | ||
4. 뇌성마비 의사소통과 섭식장애의 평가와 증대 | ||
3. 신경 인지 - 의사소통장애 | ||
1. 치매환자의 의사소통장애 평가와 중재 | ||
2. 우뇌손상환자의 의사소통 장애와 평가 | ||
3. 외상성 뇌손상환자의 의사소통 장애평가와 중재 | ||
4. 삼킴장애 평가와 치료 | ||
1. 삼킴장애와 진단 | ||
2. 삼킴장애 중재 | ||
5. 신경언어장애의 통합적 접근 | ||
1. 신경언어장애 통합적 진단 (사례분석평 포함) | ||
2. 신경언어장애 통합적 치료접근 | ||
3. 신경학적 원인과 관련 병리 증상 | ||
4. 말-언어 관련 신경해부 응용 | ||
2. 유창성장애 |
|
|
1. 유창성장애 원인 및 특성 | ||
1. 유창성장애의 원인 | ||
2. 유창성장애의 특성 | ||
2. 유창성장애 감별진단 | ||
1. 정상적 / 병리적 비유창성 | ||
2. 말더듬 / 속화 | ||
3. 발달성 / 후발성 말더듬 | ||
3. 유창성장애 심화평가 | ||
1. 평가방법 | ||
2. 평가사례 | ||
3. 분석 | ||
4. 유창성장애의 치료 | ||
1. 심한정도별 사례 | ||
2. 연령별 사례 | ||
3. 유형별 사례 | ||
3. 음성장애 |
|
|
1. 말소리의 이해 | ||
1. 말소리의 특성 | ||
2. 음성평가 | ||
1. 비기기적 평가 | ||
2. 기기적 평가 | ||
3. 음성평가 결과의 통합적 해석 | ||
4. 공명장애평가 | ||
5. 음성장애 보고서 작성 | ||
3. 음성치료 | ||
1. 과다기능 음성장애의 치료접근법 | ||
2. 과소기능 음성장애의 치료접근법 | ||
3. 특수 음성장애 치료 | ||
4. 공명장애 치료 | ||
4. 언어발달장애 |
|
|
1. 심화 언어 평가 | ||
1. 평가 및 해석 | ||
2. 이중언어 / 다문화 언어평가 | ||
3. 읽기 - 쓰기 평가 | ||
4. 관련 영역 평가 | ||
5. 중도 중복장애 의사소통 평가 | ||
2. 심화 언어 치료 | ||
1. 치료 목표 설정 | ||
2. 치료 방법 | ||
3. 치료 진전 및 종결 | ||
5. 조음음운장애 |
|
|
1.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 ||
1.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평가 | ||
2.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치료 | ||
2. 기질적 조음음운장애 | ||
1. 조음기관구조장애 | ||
2. 아동기 말운동장애 | ||
3. 창각장애로 인한 조음음운장애 | ||
3. 심화 조음음운 평가 | ||
1. 평가 방법 | ||
2. 진단 평가 | ||
4. 통합적 조음음운 치료 | ||
1. 심한정도별 사례 | ||
2. 연령별 사례 | ||
3. 원인별 사례 | ||
6. 언어재활 현장실무 | ||
1. 언어재활사의 역활 및 윤리강령 | ||
1. 언어재활사의 역할 | ||
2. 윤리강령 | ||
2. 언어재활 관련 법령 및 제도 | ||
1. 관련법령 | ||
2. 언어장애 등급 판장 및 등록 절차 | ||
3. 현장별 언어치료 실무 | ||
1. 현장별 언어치료 실무 | ||
2. 자문과 협력 | ||
4. 사레연구를 위한 방법론 | ||
1. 언어치료 통계 및 연구방법 | ||
5. 관리 및 자기계발 | ||
1. 관리, 자기계발 | ||
6. 부모교육 및 상담 | ||
1. 부모교육 및 상담 | ||
7. 치료 사례의 통합적 접근 | ||
1. 치료 사례의 통합적 접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