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장
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
하늘과 땅은 (일부러 일삼아) 어질지 않은데, (따라서 하늘과 땅은) 만물을 풀 강아지로 대한다.
不仁, 不以仁自居也. 芻狗, 故者結草爲狗, 用之祭祀, 祭華, 則去, 之無所容心於其間. 天地, 之至虛至靜. 化物, 無情. 亦由是也.
“어질지 않다不仁”는 말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어짊仁”으로써, 일부러 일삼아 (“만물”과 더불어 하는 바에) 자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추구芻狗”는 옛날에 풀을 엮어 만들어 쓰던 개 (모양과 모습의 물건으)로서, 제사祭祀에서 쓰였다. 그러나 (제사가) 끝나면, 그것은 (제사를 지낸 사람들의) 마음에 품어 안아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다. 그 (제사를 지낸 사람들의) 마음 사이 (어디)에서(도). (요컨대) “하늘과 땅”, 이것은 (“만물”을 대하는 데 있어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텅 빈 바에 이르고,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조용한 바에 이른다. (따라서 “하늘과 땅”이) 만물과 (더불어) 어우러지는 바의 모양과 모습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는) 마음을 가지는 바가 없다. 따라서 (노자는) “추구芻狗”를 (“하늘과 땅”에게 대해지는 “만물”의 모양과 모습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聖人不仁, 以百姓爲芻狗.
성인은 (일부러 일삼아) 어질지 않은데, (따라서 성인은) 백성을 풀 강아지로 대한다.
聖人, 不以仁自居. 化民, 無情. 是, 亦天地之虛至靜也. 韓魏公, 治民, 非着意, 非不着意, 近是.
“성인”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어짊仁”으로써, (일부러 일삼아 “백성”과 더불어 하는 바에) 자리하지 않는다. (이른바, “성인”이) “백성”과 더불어 어우러지는 모양과 모습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마음을 가지는 바가 없다. (“성인”이 “백성”을 대하는 모양과 모습) 그것은 이른바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텅 빈 바에 이르고,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조용한 바에 이르는 “하늘과 땅”의 모양과 모습이다. (예컨대, 중국 송宋나라 재상宰相이었던) 한기(韓琦, 1008~1075)는 “백성”을 다스리는 데, (비유컨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마음과) 의지의 옷을 입지도 않았고,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마음과) 의지의 옷을 입지 않지도 않았는데, (이것은 “성인”이 “백성”을 대하는 모양과 모습) 그것에 가깝다.
天地之間, 其猶槖籥乎. 虛而不屈, 動而愈出.
하늘과 땅 사이, 그것은 풀무나 피리와 같다!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텅 비어 있는데, 따라서 (그 일삼아지는 바가) 메마르지 않으며,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이) 일삼는데, 따라서 (그러한 공능이) 계속 생겨난다.
上兩節, 言天人之用, 至妙. 此下兩段, 言天人, 之體至虛. 盖惟至虛, 故能至靜也.
위 두 문장은 일컫는다. “하늘과 땅, 성인이 (만물과 백성을 대하는 바를) 일삼는 모양과 모습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어렴풋한 바(妙; 自然)에 이른다.” 이 문장과 아래 문장은 일컫는다. “하늘과 땅, 세상 사람들이 (만물을 대하는 모양과 모습의) 본체는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텅 빈 바(虛; 無爲)에 이르러야 한다.” 따라서 오로지 (세상 사람들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텅 빈 바(虛; 妙)에 이르러야 하는데, 따라서 (노자가 일컫는 도道의 본체自然·無爲이자, 유학儒學이 일컫는 도道의 본체無極·無爲인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조용한 바(靜; 虛)에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橐籥, 冶爐, 鼓風之器. 槖, 是外櫝. 籥, 其內管. 皆空虛, 中服. 風, 自往來, 噓吸. 以鑄出器用, 之萬形也.
“풀무槖”와 “피리籥”는 (일부러 일삼아 쇠를) 두드리고 녹여 만든 바로서, (일부러 일삼아) 바람을 일으키기 위한 물건이다. (그런데) “풀무槖”는 (그) 바깥쪽으로 (바람) 틀을 가지는 바이다. “피리籥”는 그 안쪽으로 (바람) 길을 가지는 바이다. (이른바, 두 가지는) 모두 텅 비고 텅 빈 바이다. (그 안쪽) 가운데와 (그) 배 (가운데)가. (따라서) 바람이 저절로 그러하게 들어오고 나아가게 되며,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이) 내뱉어지고 들이마셔지게 된다. 따라서 쇠에서 나온 (두 가지) 물건이 일삼은 바(用; 바람·소리), 그것이 온갖 (모습과) 모양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屈, 竭也. 天地之間, 茫蕩空虛, 初無一物. 而晝夜寒暑, 其變不竭. 風雨霜露, 其動愈出. 若使有物, 實于空中, 則必不能然也. 夫人心之至妙, 生於至虛, 亦何以異此哉?
“굴屈”은 (비유컨대 그 일삼아지는 바가) 메마른다는 말이다. “하늘과 땅의 사이”는 넓게 펴지고 크게 뚫린 채, 텅 비어 있고 텅 비어 있다. (그 가운데와 그 배에 어떠한) 하나의 사물도 가지고 있는 바가 아예 없다. 그러나 낮이 되고 밤이 되며, 추워지고 더워지는 바, 그러한 변화가 (전혀) 메마르지 않는다. 바람이 불고 비가 오며, 서리가 앉고 이슬이 맺히는 바, 그러한 “공능(功能; 動)”이 “계속 생겨난다.” 만약, (“하늘과 땅”으로 하여금 어떠한) 사물이라도 가지게 하고, (그) 텅 빈 가운데를 채우게 한다면, 반드시 (“하늘과 땅”은) 그러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이른바, 세상 사람들의 마음이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어렴풋한 바(妙; 自然)에 이르고,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지극한 텅 빔(虛; 無爲)에 이르는 바를 낳음이 또한 어찌 이와 다르겠는가?
多言, 數窮. 不如守中. 數, 色角反.
(따라서 위에 자리하는 자신의) 말을 (일부러 일삼아) 많아지게 하는 일은 (자신의 말이 백성에게서 일삼아지지 않음으로써) 아주 볼품없게 되는 바를 자주 일삼게 된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하늘과 땅의 마음을 지키는 것만 같지 못하다. 수數는 색色·각角·반反과 같이 상성(上聲; 3성聲)의 數(삭)이다.
多言, 如訓民勑民令民之類, 皆是也. 窮, 則言之不行也. 中者, 心也. 守中, 謂反其神用. 歸吾心中, 使其虛靜. 如橐籥之中. 天地之中. 則亦自有不屈愈出之妙也.
“(위에 자리하는 사람으로서, 자신의) 말을 (일부러 일삼아) 많아지게 하는 일多言”은 이른바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性·命·自然대로 살아가는 아래에 자리하는) 백성을 (일부러 일삼아) 잡아당기는 일, (그러한) 백성을 (일부러 일삼아) 바로잡는 일, (그러한) 백성을 (일부러 일삼아) 밀어붙이는 일의 류類, 이른바 그것이다. “아주 볼품없게 된다窮”는 말은 이른바 (자신의) “말”이 (백성에게서) 일삼아지지 않게 된다는 뜻이다. “가운데中”는 (본래 저절로 그러한 자신의) 마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본래 저절로 그러한 자신의) 마음을 지킨다守中”는 말은 이른바 그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어렴풋하고 어슴푸레해서) 신령스러운 바(神; 自然)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이) 일삼는 바(用; 無爲)로 되돌아간다는 뜻이다. 자신의 (본래 저절로 그러한) 마음의 가운데(中; 性·命·無爲·自然·德·道)를 되돌이킨다는 뜻이다. 그 (자신의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마음으로 하여금,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텅 빈 바(虛; 無爲)로 되돌아가게 하고,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조용한 바(靜; 自然)를 되돌이키게 한다는 뜻이다. 마치, “풀무”와 “피리”의 “가운데(中; 虛)”, “하늘과 땅”의 “마음(中; 不仁·以萬物爲芻狗)”처럼 되게 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이른바 저절로 그러하게 (그 일삼아지는 바가) “메마르지 않게 되고”, “계속 생겨나게 되는” (“하늘과 땅”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어렴풋한 바(妙; 自然·無爲)(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되기 때문이다.
右第五章.
여기까지가 제5장에 대한 풀이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