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장十二章
(지금의 임금이 일부러 일삼은) 다섯 가지 색깔은 백성의 눈을 멀게 한다. (지금의 임금이 일부러 일삼은) 다섯 가지 소리는 백성의 귀를 멀게 한다. (지금의 임금이 일부러 일삼은) 다섯 가지 입맛은 백성의 입맛을 상하게 한다. (지금의 임금이 일부러 일삼아) 말을 타고 치달아 오르며 사냥을 하는 것은 백성의 마음을 미치게 한다. (지금의 임금이 일부러 일삼아 귀하게 여기는) 얻기 어려운 재화는 백성의 행동을 거리낌 없게 한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저절로 그러하게 먹는 바를 뜻하는) 배를 위하지, (일부러 일삼아 보는 바를 일삼고자 하는) 눈을 위하지 않았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백성을 다스리는 데 있어서 유위有爲) 저것을 버리고, (무위無爲) 이것을 얻었다.
五色, 令人目盲. 五音, 令人耳聾. 五味, 令人口爽. 馳騁田獵, 令人心發狂. 難得之貨, 令人行妨. 是以聖人, 為腹, 不為目. 故去彼, 取此.
“눈目”은 이른바 그때그때의 상황에 대해 (유위有爲로써) 대응하는 바이다. (이른바, 눈은) 그때그때의 상황에 대해 (유위有爲로써) 대응하는 바를 일삼는 바이다. (그러나) “배腹”는 이른바 그때그때의 상황에 대해 (유위有爲로써) 대응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이다. (이른바, 배는) 그때그때의 상황에 대해 (무위無爲로써) 대응하는 바이다.
目, 以機, 為機. 腹, 以無機, 為機.
(유위有爲로써) 그때그때의 상황에 대해 대응하는 사람은 그때그때의 상황에 대해 (유위有爲로써) 대응하는 바를 더불어 한다. (이른바, 그때그때의 상황에 대해 대응하는 바가 유위有爲와 더불어) 어우러지는 바를 일삼는다. (그러나) 그때그때의 상황에 대해 (유위有爲로써) 대응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사람은 그때그때의 상황에 대응하는 바가 (무위無爲와 더불어 어우러지는 바) 그것을 일삼는다. 이른바, (그때그때의 상황에 대응하는 바가 무위無爲와 더불어 어우러지는 바를) 품는 바를 얻는다.
機, 與機, 為應. 無機者, 機之, 所取容也.
(따라서 눈은 배에) 머물러야 한다. 눈은 배를 더불어 해야 한다. (눈) 그것은 (배의) 가운데(를 더불어 하는 바에) 자리해야 한다. (눈은 배의) 마음(을 더불어 하는 바에) 머물러야 한다. 이른바, 따라서 (눈은 자신의 유위有爲한) 마음에서 물러나게 된다. 따라서 (눈은) 배(의 무위無爲한 마음을) 얻게 된다. 따라서 뒤이어 만물을 (무위無爲하게) 살필 수 있게 된다.
處乎. 目, 與腹. 之, 中者. 心也. 方且退心. 而就腹. 而後可觀物.
이러한 까닭으로 (지금의 임금은 백성의 눈이 유위有爲에 대해) 흐려지게 해야 한다. (지금의 임금은 백성이 유위有爲한) 마음을 가지는 바가 있게 해서는 안 된다. (지금의 임금은 백성의 마음이 무위無爲에 대해) 맑아지게 해야 한다. (지금의 임금은 백성의 눈이 유위有爲의) 발자국을 (살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게 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까닭으로 지금의 임금은 일부러 일삼은) 예禮로써 (백성의 눈이 저절로 그러하게 보는 바를) 일삼고자 하는 바를 베거나 자르지 말아야 한다. (지금의 임금은 일부러 일삼은) 지혜로서 (백성의 배가 저절로 그러하게 먹는 바를) 뜻하는 바를 나누거나 가르지 말아야 한다. (이러한 까닭으로 지금의 임금은) 백성(의 무위無爲한 성性·명命)을 기대야 한다. (지금의 임금은) 스스로 (자신의 유위有爲한 성性·명命를) 낡아지게 해야 한다. 따라서 하늘이 이내 (백성의 눈을 멀게 하고, 귀를 멀게 하며, 입맛을 상하게 하고, 마음을 미치게 하는) 그러한 바(然; 禍)를 벗어나게 된다.
是故濁. 不可使有心. 清. 不可使有跡. 不以禮制欲. 不以知辨志. 待物, 自敝. 而天, 乃脫然.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