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공포어쌔신크로스(기공어크) ◈
※ 이
가이드는 100% 개인적인 경험으로 판단한 비공식적인 견해의 종합일 뿐입니다. 그러나 앞으로 기공어크가 되시려는 분들과, 궁금해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 위해서, 시간이 지나면 모두 잊어버릴지 모르는 저의 기억력을 믿지 못해서 늘어진 글로 남기게 되었습니다. 더불어 이 가이드는 앞으로
있을지 모르는 여러 패치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으며 바르지 못한 정보가 담겨있을 가능성이 높음을 알려드립니다. 이 글이 기공어크의 이해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2004. 10. 14※
※ 비공식적인 다섯 번째 수정본입니다. 다 삭제한 줄 알았던 구 버전 가이드가 어느 새 몇 길드 홈페이지에 올라가 있는 것을
알고 수정판을 올립니다. 예전 가이드도 특별히 틀린 내용은 없습니다. 내용에 대한 질문은 번거러우시더라도 메일을 이용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라게는 .. 기약없습니다. E-Mail : cradema@hanmail.net">cradema@hanmail.net 2005. 1.
22※
★
기공어크란?
사냥의 주된 수단이 기공포인 어쌔신크로스(전승어쌔신)을
통칭하는 말. 기공포 스킬의 특성상 높은 인트를 투자한 유형으로 어쌔신 중 가장 빠른 렙업 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단번에 큰 데미지를 주어 적을
제압하는 것이 컨셉입니다. 여러 스텟을 투자해야하는 만큼, 여러 부분에서 다른 유형의 어크에 비해 낮은 능력치를 가지고 있으나 패시브 스킬과
강력한 공격력으로 단점을 보정하는 타입으로 이해하면 적당합니다. 기공포의 사정거리는 9셀이며, 마스터시 캐스팅1초,
후딜레이2.8초입니다.
★
기공어크를 분류하자면?
● 사냥형태 사냥형태에
따라 나누면 크게 1)평타기공 과 2)순수기공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평타기공은 평타사냥과 기공포사냥을 병행하는 유형이고, 순수기공은
기공포사냥만으로 레벨업을 하는 유형입니다. 좀 더 자세히 나누어보면 반기공어크도 있을 수 있습니다. 평타사냥을 주로 하다 특정 몹에 따라서
선기공-후평타로 몹을 처리하는 유형을 말합니다.
● 스텟형태 중점스텟에 따라 나누면
1)힘기공 과 2)인트기공이 주류가 되겠습니다. 기공포의 데미지를 나누는 두 중심스텟이기 때문입니다. 힘기공은 평타기공과 유사하며 인트기공은
순수기공과 유사하지만 꼭 같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특화된 기공어크에 한해서, 어질기공, 바탈기공, 덱스기공 등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럭을
제외한 모든 스텟이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 인트(Int.)와 힘(Str.)은 균형의
스텟.
기공포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스텟에 대한 간단한 비교로
위에서 언급한 유형 설명을 대신하려합니다. 이 가이드를 읽으시는 분들은 이 산만한 가이드 여기저기서 적당한 정보를 구하셔서 완성된 개념을
확립하시기를 바랍니다.
인트와 힘은 기공포의 직접적인 데미지를 내는 스텟입니다. 인트는 기공데미지 이외에
공격에서 사용되는 스텟은 아니고, 힘은 다른 스킬과 평타의 데미지를 좌우하는 상식적인 데미지 스텟입니다. 어느 쪽에 비중을 두고 키우느냐에
따라서 여러분이 상상하는 기공어크의 유형이 일차적으로 결정된다고 보면 됩니다.
어느 쪽이 더 좋으냐고
단순비교를 강요하시는 질문을 자주 받았습니다. 강요하는 대로 대답하자면, 그저 기공포만으로 사냥하고 공성을 한다는 전제 하에서 사냥용으로는
힘데미지(이하 힘뎀)이, 공성용으로는 인트데미지(이하 인뎀)가 유리하다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힘100에
인트50과, 인트100에 힘50의 기공포는 175% 속성증뎀이 가능한 사냥터 이상에서 거의 같은 데미지를 산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출발선 상에 불과합니다. 왜냐하면 힘은 장비투자에 따라 110∼120이 가능하지만 인트는 극인트로 가야만 겨우 100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오른손무기의 속성, 왼손무기의 카드에 따라 힘뎀은 더욱 증폭이 될 수 있습니다. 추후에 설명하겠지만 힘뎀에는 일정 수련도 영향을 미칩니다. 그에
비해 인뎀은 언제나 안정적인 적당량의 데미지를 보여줍니다. 이 것은 카드증뎀을 받지 않고 속성을 사용하기 거의 힘든 대인전에서 위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폭될 수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 스텟의 특징은 고스란히 그 스텟을 중점으로 하는 기공어크의 특징으로까지 반영됩니다.
캐릭터는 결국 스텟과 스킬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완성체기 때문입니다.
★ 어질(Agi.)과 바탈(Vit.)은 선택의
스텟. 인트와 힘이 기공포에 있어서 데미지를
좌우하는 두 축이라면 어질과 바탈은 생존률을 좌우하는 두 축이기 때문에 묶어서 언급해 보았습니다. 다 아시다시피 양 스텟의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어질 - 어질1당 회피1 증가, 어질1당 공속증가, 스킬모션의 공속 증가.
● 바탈 - 바탈1당 만피1% 증가, 상태이상 내성증가, 회복아이템 효율증가. HP 회복력
증가.
그러므로 평타기공인 경우, 일정 수준이상의 어질을 투자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공속증가 때문입니다.
그래서 평타기공은 많은 수치의 포인트를 바탈에 투자할 수가 없습니다. 그에 비해 평타공격을 포기하는 순수기공인 경우에는 어질의 효율이 고작
회피증가일 뿐입니다. 평타기공에 비해 보다 많은 바탈을 줄 수 있고 그 결과 최근의 순수기공어크는 높은 만피와 상태이상내성을 가지고 두려운
캐릭터로 각인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평타기공에게 그 부분이 단점만 되는 것은 아닙니다. 평타기공은 기공어크이면서 다른 직업의 어질류와 대등한
회피를 지니게 되어 근접전에서도 강력한 힘을 발휘합니다. 평타공격이 가능하다는 점은 뚜렷한 한계를 가지고 있는 순수기공에 비해 큰 가능성이
열려있는 것이다라고 하겠습니다.
★
덱스(Dex.)는 취하고 럭(Luk.)은 버려라.
기존의 덱스와
럭은 어쌔신의 유형을 결정하는데 큰 역할을 한 스텟입니다. 쉽게 보아 덱스를 주고 명중률을 올리면 이도류, 럭을 주어 크리율을 올리면 카타르류가
'대개' 되는 것입니다. (이 글의 목적은 기공에 있어서의 덱스와 럭이므로 세세한 유형의 나열은 생략합니다.)
그런데 기공어크에 있어서 두 스텟은 명암이 크게 엇갈렸습니다. 덱스는 힘뎀부분의 명중률과 미니멈데미지(이하
민뎀)의 상승-이 것은 사냥터에서 안정된 원킬, 혹은 투킬을 보장하는 큰 요소입니다-을 이끌면서 반드시 올려야하는 스텟으로 자리 매김한 반면,
크리티컬히트(이하 크리)의 개념이 없는 기공포에서 맥시멈데미지상승(이하 맥뎀)만을 바라고 럭을 올릴 수는 더 이상 없게 되어 버린 것입니다.
물론 이것은 기공어크에서만 해당되는 내용으로 또 다른 어크의 큰 축인 바탈럭어크(치독어크)에게는 정반대의 해석이
되겠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카타르를 주로 사용하는 어크가 주로 럭을 올린다고 가정한다면, 이 부분은
카타르어크가 왜 기공포를 사용하기 어려운가에 대한 한가지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카타르냐 이도류나의 문제가 아니라 본질은 덱스를
찍었는가, 럭을 찍었는가의 문제임을 분명히 알면서 판단해야 함이 당연합니다. 단, 스텟포인트2를 투자해서 럭을 2로 맞추는 것은 추천합니다.
럭의 최종가중치는 8로써, 2포인트의 투자로 맥뎀의 상승과 완전회피1의 상승을 가져오는데 이것은 경제적으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고소득 투자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치명적인 독의 제조공식 ※최종성공률 = 기본성공률 + (기본성공률
x 덱스/50) + (기본성공률 x 럭/100)
또 다른 어크의 대표적 스킬인 치독의 제조공식입니다. 덱스와
럭의 비중은 딱 2 : 1입니다. 관련은 없지만 럭을 버려도 큰 상처가 되지 않는 이유 중 하나가 됩니다. 아이러니컬 하게도 치독을 쓰기 힘든
기공어크가 치독제조는 더 우수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 스킬, 기공포.
● 힘
데미지 ·힘 데미지 = (오른손무기데미지+오른손무기제련치+양손무기카드의 ATK증가량+힘+힘보너스수치) x
스킬렙 ·속성부여됨, 카드증뎀은 ATK증가만 적용, 오른손 왼손수련 적용안됨, 카타르수련 적용, 어드밴스드수련 적용안됨, 송곳/월광 등
일부 특수기능검의 옵션적용. ·명중률에 따라 명중 혹은 미스. 미이라카드에 의한 명중률 보정가능. Dex.와 Luk에 따른 뎀지 편차
적용.
·나비가면에 의한 데미지 증가 없음. ·스킬렙을 제외한 힘데미지 공식은 메테오어절트의 데미지산출공식과 일치하며 메테오어절트의 성질
일체는 기공포 힘데미지 부분과 일치한다.
·메테오어절트 공식(마스터시) = (오른손무기데미지+오른손무기제련치+양손무기카드의 ATK증가량+힘+힘보너스수치) x
440% ☞ 440 수치가 아니라 440% 맞습니다.
● 오른손 왼손 수련 적용에 관한 실험
결과
·실험자 : ♣드미트리♣ 실험대상: "로커" (지속성1 중형 곤충형 Def.5 + 18)
·실험방법 : 왼손무기 착용 30회 미착용30회 데미지 비교 (현재 오른손수련3, 왼손수련0)
<실험내용>
· 왼손무기 미착용 결과 (평균 8906.4, 최저 8643 ~ 최고 9171)
8741 8871 9171
8711 8741 8851 8991 8981 8951 8641
9115 8921 8885
8625 8511 8853 8965 8687 8643 8989
8785 9133 9027
9035 8785 8717 8829 9057 8997 8983
·왼손무기 착용 결과 (평균 8909.8, 최저 8631 ~ 최고 9109)
8845 8927 9033
8757 9099 8965 8983 8839 8631 8903
9035 8745 8865
9057 8995 8967 8987 8667 8711 9049
8693 8989 8727
8893 8919 9057 8897 9027 8923 9109
·실험결과 : 오른손수련, 왼손수련의 영향 받지 않음. 논란이 많아 결국 실험했습니다.
● 인트 데미지 ·인트 데미지 = (인트 x 5) x 스킬렙 ·속성부여안됨, 자체속성개념 없다. 염속성에
100%타격(고링멜, 위스퍼등 - 무속성 아님), 성속성에 100%타격(홀리멜 - 여타 속성도 아님), 이뮨드에 의한 감소(일부 무속성의 성격을
가짐), 즉 속성에 의한 감소는 없으나 이뮨드에 의해 감소됨. ☞ 이 부분은 인찬트포이즌으로 회복가능. ☞ 그러나 그 외 힘뎀+인찬트와 같은
증뎀효과는 없음.
·나비가면에 의한 데미지 증가.
※이뮨드실험은 라그나키님, 래지던트님, healu님께서 그리고 고링갑실험은
러브파워퐁퐁∩∩˚님, 아크모데님, 。영혼†。님께서 도와주셨습니다. 선행실험자는 dae-mon님이십니다. 모두에게 무한한
감사를.※
● 기공 데미지 = 힘 데미지 + 인트 데미지 +
랜덤데미지(500~1000)
● 상대가 받는 최종 데미지 ·최종 데미지 = {기공힘뎀 x
(100-대상물리디펜)/100} + {기공인뎀 x (100-대상마법디펜)/100} + 랜덤데미지 - 대상바탈감소치 ※똥모, 타라, 이뮨드 제외한
공식. ·공식스킬설명의 데미지 감소 공식은 잘못된 정보이다.
● 최종 데미지 =
{100-(똥모10+타라30+이뮨20)}/100) x [{기공힘뎀 x (100-대상물리디펜)/100} + 기공인뎀] + 랜덤데미지 -
대상바탈감소치
● 현재 원거리 물리공격 적용으로 공성에서 40%의 패널티를 받으며 흐뉴마에
막힌다.
● 마스터 시 캐스팅 1초, 후딜레이 2.8초. 덱스에 의한 캐스팅 감소. (Dex150 - 캐스팅
0초)
● 기공어크에 관한 dae-mon님의 가이드를 보시면 또 다른 예로 쉽게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클릭→dae-mon님의 기공가이드
★ 기공포에 있어서의
스텟(State).
스텟에 대한 설명은 여러
가이드에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제가 언급할 부분은 기공포에 관련된 특징에 지나지 않습니다. 앞서 개략적으로 설명 드린 부분과 중복될 수 있기에
최대한 간략하게 소개합니다. 나열순서가 기공어크에게 있어서 우선순위입니다.
●
힘(Str.) 물리데미지를 좌우하고, 보너스증가치가 적용되어, 힘/평타기공 유형에게 가장 중요한 1번
스텟입니다. 순수기공 역시, 메테오를 사용하거나 기공자체 데미지 증폭을 위해 필수적인 달리 설명할 필요가 없는 스텟입니다. 적정 수치는
(순수기공)최저점60 ~ 100최고점(평타기공) ☞ 이 표시는 그 유형의 스탠다드라는 뜻이며 넘어서도
상관없습니다.
● 인트(Int.) 기공포의 뼈대를 이루는 인트데미지를 좌우하는
2번 스텟. SP회복량과 총SP량에 영향을 미쳐 연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마법공격에 대한 일정한 데미지 감소 효과가 있습니다. 적정 수치는
(평타기공)50 ∼ 100(순수기공)
● 덱스(Dex.) 힘뎀의 명중을 좌우하고 민뎀을
조절하여 원킬사냥의 마지노선을 정합니다. 유형에 상관없이 일정 이상 올리지 않으면 늘 불안한 사냥을 하게 될 것입니다. 적정 수치는 40 ∼
60
● 바탈(Vit.) 생존률을 높이는 가장 직접적인 스텟. 바탈이 100인
캐릭터는 남을 죽이긴 힘들어도, 또 잘 죽지도 않습니다. 평타기공보다는 순수기공 쪽이 투자할 수 있는 스텟 여유가 큰 편으로 공성을
염두에 두었다면 60이상을 권장합니다. 적정 수치는 (순수사냥)0 ∼ (스탠다드)60 ~ (공성 & PVP)80
●
어질(Agi.) 회피와 공속을 높이고, 모션딜레이(이하 모션딜)를 줄이는 스텟으로 순수기공보다는 평타기공이
필수적으로 올려야 하는 스텟입니다. 적정 수치는 (순수기공)1 ∼ 70(평타기공)
●
럭(Luk.) 완전회피와 크리, 기공데미지의 맥뎀을 상승시키는 역할의 스텟. 그러나 크리티컬이 발생하지 않고
원거리에서 공격하는 기공포의 특성상 버려야할 스텟입니다. 적정 수치는 2
★ 각 유형별 state
스탠다드.
알맞은 State 수치에 대해서 물어보시는 분이 많아
일단 효율적이라고 생각되는 유형들을 나열합니다. 렙99, 잡렙70 잡가중치 포함입니다. 단, 장비에 의한 스텟 증가량을 포함하지 않은 수치이므로
자신의 아이템을 설정하신 후 유연하게 바꾸어 보시기 바랍니다. 이것은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라 유형에 따라 임의로 짜집기 한 것에 불과하므로
참고만 하시고 개인적으로는 렙90 정도의 중간 완성 스텟을 짜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 송곳이 있는 어크인 경우 공성용 스텟에서 힘과 인트의 수치가 바뀌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1. Vit.80
순수기공 공성용
스텟[가중치(순수)] Str.70(61) Agi.17(1) Vit.80(77) Int.88(88) Dex.51(41) Luk.9(1) 잔여포인트1 HP
: [페코&마타] 16142(13452) SP : 953(회복량24) 힐량 :
276 기공캐스팅 : 0.66초
2. Vit.60 순수기공 공성용 스텟 1)
Str.80(71) Agi.16(1) Vit.60(57) Int.90(90) Dex.60(50) Lux.10(2) 잔여포인트1 HP
: [페코&베릿] 14109(11957) SP : 1040(26) 힐량 :
276 캐스팅 : 0.6초
2)
Str.90(81) Agi.16(1) Vit.60(57) Int.87(87) Dex.51(41) Luk.10(2) 잔여포인트1 HP
: [페코&베릿] 14109(11957) SP : 1024(25) 힐량 :
276 캐스팅 : 0.66초
3. Vit.50 순수기공 범용 스텟 1)
Str.80(71) Agi.17(2) Vit.50(47) Int.96(96) Dex.61(51) Luk.10(2) 잔여포인트0 HP
: [페코&베릿] 13228(11210) SP : 1073(27) 힐량 :
288 캐스팅 : 0.6초
2)
Str.90(81) Agi.17(2) Vit.50(47) Int.88(88) Dex.61(51) Luk.10(2) 잔여포인트1 HP
: [페코&베릿] 13227(11210) SP : 1030(25) 힐량 :
276 캐스팅 : 0.6초
4. Agi.70 평타기공 사냥용
스텟 Str.100(91) Agi.70(55) Vit.5(2) Int.72(72) Dex.61(51) Luk.10(2) 잔여포인트0 HP
: [페코&베릿] 9258(7846) SP : 942(22) 힐량 :
252 캐스팅 : 0.6초 공속 : 160.73(각성) 회피 :
229+1(모킹)
5. Vit.40 평타기공 범용
스텟 Str.100(91) Agi.50(35)
Vit.40(37) Int.72(72) Dex.61(51) Luk.10(2) 잔여포인트0 HP
: [페코&베릿] 12345(10462) SP : 942(22) 힐량 :
252 캐스팅 : 0.6초 공속 : 155.97(각성) 회피 :
209+2(모킹)
★ 기공어크 키우는
방법?
1. 선인트 투자형
● 기공의 주력스텟인 인트를 우선으로
올린 다음, 기공포를 마스터한 직후부터의 초고속 렙업을 염두에 둔 육성법입니다. 법사세팅 후 마법검을 이용한 마법공격을
이용합니다.
● 장비 : 에기라부츠, 이뮨망토, 하드메일, 타라버클, 아이스팔시온 or 화이어브랜드, 휀클립, 다량의 회복아이템.
(장비의 이름은 널리 불리는 약칭으로 부름을 양해바랍니다.)
● 주력 사냥터 : 화속성, 지속성몹 대상맵. 호드, 데저트울프,
세비지, 천하대장군, 하오필드, 식양 등등
● 인트달성 시기 : 인트80 → 레벨47, 인트99 →
레벨62
● 회복아이템의 소비가 크지만, 일단 기공포가 마스터되는 시기부터 렙업이 용이합니다.
2. 일반스텟
투자형
● 인트 이외의 육성에 필요한 스텟을 먼저 올려 무난하게 렙업을 하는 유형입니다. 전승 후 늘어난 스텟포인트로 편안한
사냥을 시작하지만, 인트를 주는 시점부터 변화가 없으며 선인트에 비해 렙업이 느려지는 지점이 있습니다.
● 장비 : 일반 전투캐릭터
육성장비 일체. 힐클립.
● 이 유형은 평타기공과, 순수기공 중에서 90 또는 99렙 때의 최종스텟을 확고하게 정해놓은 유저인 경우
시도하기 쉬우며 어질이든 바탈이든 적정선까지 부담 없이 과감하게 줄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대신 스스로 스타일을 변화하려고 할 때 그만큼
제한 폭이 생기게 되는 것은 단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기공어크가 된 이후의 사냥터?
● 기공포
마스터 직후의 광렙 사냥터는 원킬이 나오는 무난한 사냥터입니다. 장난감던전 2층이나, 엘리게이터 맵(코모도 동-동), 가고일 맵(복사촌 서)
정도를 추천합니다.
● 그 후 힘이 높은 캐릭터는 속성사냥이 유용한 사냥터를 선정하는 것이 옳고, 인트 비중이 높은 계열이라면
인뎀을 살릴 수 있는 암, 무속성 사냥터를 고르는 것이 적당합니다.
● 추천사냥터 : 해달/퍼씰, 머맨(이즈루드5층), 알람/클락,
가고일 맵, 스팅맵, 파사나/마이너 맵, 노그로드1층, 생도목, 양거촌1층. (식양은 사람 수가 지나치게
많아 제외했음.)
※ 프리 동반 시 추천 사냥터 : 노그로드 2층, 시계탑 지상4층, 양거촌2층.
● 기공어크에 있어서 사냥터의 선정은
1)알맞은 수의 몹, 2)자신의 최대데미지, 3)몹의 HP 세 가지 조건의 꼭지점이 만나는 효율성으로 이루어집니다. 현재까지는 송곳없을 경우
스팅 맵, 송곳 있을 경우(프리 동반 시) 노그로드 2층이 일 순위.
4. 기공어크의
사냥법
● 나눠쓰기 "나눠쓰기" 라는 것은 법사계열처럼 기공포의 렙을 나누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기공포는 렙5까지 엠소모가 20이며, 스킬렙이 낮을수록 데미지는 낮지만 캐스팅과 후딜이 짧습니다. 레벨상승에 따라 기공포10-10으로 잡을 수
있는 몹을, 5-10으로, 또 2-10으로 잡게 된다면, 사냥터를 옮기지 않고도 더욱 효율적인 사냥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모션끊기 "모션끊기" 라는 것은 기공포가 나가는 모션딜 동안 움직일 수 없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모션을 없애버리는
것입니다. 몹클릭(캐스팅시작)과 몹킬(캐스팅끝) 사이의 시간에 커서를 다른 지점을 클릭하면서 모션 없이 강제로 움직이게 하는 것입니다. 몹이
양방향에서 올 때, 포위 당했을 때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능숙해지면 불과 3셀 이내에 몹이 리젠된다 하더라도 데미지 없이 잡아낼 수 있을
것입니다.
● 백슬라이딩(이하 백슬) 순수기공, 그리고 어질이 낮은 기공어크의 경우, 일명 옆구리리젠
상황에서 굉장히 아프게 맞게 됩니다. 스팅의 경우라면 순식간에 누워버릴 수도 있습니다. 클로킹도 좋은 방법이지만 그 짧은 캐스팅도 한번 공격으로
끊기게 되면 숨을 때까지 누적된 데미지가 매우 클 수 있습니다. 백슬과 클로킹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안전한 사냥의 지름길이므로 몹이 없는
한가로운 상황에서도 자주 해보고 익숙해지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기공어크는 어떤 무기를 쓰는가?
질문]
기공어크는 반드시 이도류를 써야한다? 물론 상황에 따라 카타르를 쓸 수 있습니다. 이도류를 맹신해서도,
반대로 장점을 간과해도 안되겠지요. 기공포에 있어서 이도류가 유리하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기정사실로 굳어져 있습니다. 이 점은
왼손무기데미지가 포함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알려진 이후에도 변함이 없습니다. 탁상공론일 뿐이지만 간단한 예를 들어 이 부분의 허와 실을
짚어가겠습니다.
1. 평타기공어크
● 평타기공의 경우 오른손은 대개 속성다마 또는 증뎀그라를 사용하고,
기공포용일 경우 틀플헐켄그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제련도인 7을 기준으로 할 때 다마의 데미지는 118+35+a(랜타), 헐켄그라의 경우,
105+35+a+60 이 됩니다. 왼손의 세팅은 평타를 위한 증뎀망고와 기공포를 위한 쿼드헐켄망고(+80)를 스위칭하는 것이 일반적인
세팅입니다.
● 카타르의 경우 속성카타르가 데미지 면에서 이도증뎀에 비해 높기 힘듭니다. 게다가, 카타르 중에서 무속성의 큰
데미지를 끌어낼 수 있는 무기는 고제련 몹 카타르라고 볼 수 있는데 7 더블헐켄카타르의 데미지는 148+35+a+40로 객관적 수치가 이도의
세팅에 비해 약합니다.
● 그러나 여기서 몹과 무기종류에 따른 크기패널티가 힘뎀에서 적용된다고 생각해 볼 때 평타기공의 경우,
카타르수련을 감안하면 이도류와 카타르의 우위는 쉽게 얘기할 만큼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다시 떠올려야 합니다. 기공어크는 무조건
이도류여야한다 식의 판단을 누가 내릴 수 있을까요.
●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이도류의 손을 들어주는 까닭은 단순한 슬롯추가 뿐만
아니라 기공포의 사용에서 속성과 헐켄세팅을 함께 할 수 있다는 점에 있습니다. 같은 스위칭이지만 카타르류는 스위칭으로 속성이나 카드증뎀 중
하나를 포기해야 하고 이도류는 어택증가와 속성증뎀을 가장 효율적으로 끌어낼 수 있는 세팅이라는 점에서 이도류의 세팅이 카타르보다 좀 더 낫다라고
결론지을 수 있습니다. 어드밴스드수련은.. 기공포에 있어서 %증가는 어떤 조건이든 적용되지 않는다는 게 제 입장입니다. ※실험결과
어드밴스드수련은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결론 내렸습니다. 큰 도움을 주신 에리에드니님, 알츠로즈님, MIKHA님께 무한한
감사를.※
● 평타기공 역시 사냥터에 따라 단검+단검 조합보다 속성해동검+헐켄해동검 조합으로 기공사냥을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다음에서 설명할 순수기공과 마찬가지로 데미지 면에서 카타르보다 확실한 우위를 점할 수 있겠습니다.
● 예로
든 데미지는 실제 사냥과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벼운 결론을 내리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음을 양해해 주십시오.
2.
순수기공어크
순수기공의 경우는 무기패널티 부분에서마저 카타르가 우위에 서기 힘듭니다. 순수기공은
더블어택과 공속에 상관없기 때문에 오른손의 무기를 단검이 아닌 한손검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 때의 검은 대표적으로 해동검이 되는데 간단한
계산으로 세이버나 츠루기보다 우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순수기공 중에서도 힘이 일정이상 높은 유형일 경우, 카타르로 기공포와
쏘닉블로우(이하 쏘닉)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쏘닉은 평타의 800% 데미지를 주는 근접스킬로 일반적인 경우, 기공포에 비해 데미지가 낮고
엠소모는 크지만 옆구리리젠 등 특정상황에서 오히려 나을 수 있습니다. 쏘닉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기회가 될 때 다시 언급하겠습니다. (공성
& PVP 가이드 작성 시)
3. 비기공어크
비기공어크의 경우라도 기공포를
위한 세팅을 한다면, 카타르씬이라고 하더라도 양손세팅을 하시기를 권합니다. 오른손을 고제련 한손검, 왼손은 자신의 덱스에 따라
명중보정(엔션)1,2 + 헐켄2,3 의 특화검을 만들기를 바랍니다. 선 기공 후 평타 식의 사냥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지만 굉장히 귀찮다면?
카타르를 그냥 쓰시는 게 맞는 선택일 겁니다.
★ 장비세팅.
1. 부족한 점을 채우는
세팅
기본적으로 고제련 세팅이 당연히 좋습니다. (모든 캐릭터가 그렇듯이.) 그러나 그보다 더 우선이
되는 것은 장비를 통해서 육성기간 시점 시점마다 가장 알맞은 스텟 보정을 해나가는 것입니다. 그 부분이 육성에 있어서 가장 큰 재미 중 하나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저를 예로 들어, 저렙 때의 세팅은 쥬얼크라운, 에기라부츠, 쌍이어링 등 인트를 통한
데미지와 엠회복, 힐량을 노리는 세팅이었습니다. 레벨이 높아지면서 안정적인 데미지를 확보하게 되면 방어나, 힘수치를 맞추는 세팅으로 변화하게
됩니다. 미스→고제련오크모, 에기라→베릿, 쌍이어링→더블포스드클립 & 휀클립 과 같이 그 때 그 때의 효율에 맞게 변화시키는 쪽이
합리적이라고 생각됩니다.
2. 추천 장비
● 추천 장비는 자신이 좋아하는 게 일순위입니다. 여기서 언급하는
것은 스텟이나 생존률 등에서 기공어크에게 유리하다는 개인적인 생각일 뿐으로, 여러분이 애용하는 장비가 있을 때에는 가이드를 따라야할 어떤 이유도
없습니다.
● 상단 · 미스트레스왕관 Def.0 Int.+2 SP+100 엠회복량을 최대 3까지 늘려줄 수 있는
장비. · 쥬얼크라운 Def.4 Int.+2 Luk+1 Mdep.3 방어와 공격을 동시에 추구하는 장비. · 로드써클릿 Def.3
Int.+1 Str.+1 Luk.+1 Mdep.4 여러 가지 효과를 두루 가진 장비. · 고제련 와이즈쥬얼헬름 Def.4 SP+80
Mdep.3 안보이지만 강한 효율을 보이는 장비.
● 중단 · 악마의 날개귀, 천사의 날개귀 Def.1 Str.+1 방어와
공격을 동시에 돕는 장비. · 에류다이트 글래스 류 Int.+2 현실적으로 구비는 많이 어렵지만 우선 열거. · 알람가면 Def.2
암흑에 대한 내성 50% 말이 필요 없는 우수한 장비. 중하단. · 스핀글래스 Def.1 암흑에 대한 내성 15% 저렴하고 우수한
장비.
● 갑옷 · 갑옷은 스텟을 맞추는 쪽으로, 그러나 어떤 종류라도 상관없습니다. · 마르스(HP+10%),
푸파(HP+700), 히맨(Def.2 풍속성내성 10%), 엑스트라(Str.+1 ATK+10), 고링(염속성1, HP회복 25% 감소),
홀리(성속성), 데저트(Int.+1), 로다프로그(HP+400 SP+50) · 근접전을 병행하는 기공어크(평타기공)인 경우 또는
보통기공어크라도 사냥터에 따라 속성갑옷을 준비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ex.화속성-스핑/피라, 암속성-바소리존, 수속성-해달/퍼씰맵
etc.)
● 걸칠 것 : 모킹, 퀵, 이뮨드 (어질계열은 주로 모킹, 바탈계열은 주로 이뮨드)
● 부츠 · 소희
SP+15% SP회복력+3% 에기라보다 더욱 초반용 장비. 평타기공은 소희→에기라가 효율적. · 에기라 SP회복력+15% 초반사냥에
유리하고 엠이 부족할 경우 계속 애용할만한 장비. · 베리트 HP+8% SP+8% 기공어크에게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 후반도모용
장비. · 마타 HP+10% Agi+1 베리트에 비해 효율이 떨어지지만 대인전에서는 여전히 강세.
● 방패(버클러) : 각
종족 감소방패 구비하는 것이 좋고 아테나도 범용성으로 좋습니다.
● 악세사리 ·악세사리의 경우는 먼저 말씀드린대로 그 때 그 때의 스텟보정을 하는 쪽으로 맞춰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어링은 힐량과
데미지 증가를 위해, 힘보정을 위해 맨티스류 또는 타로우류, 회피를 위해 요요류 와 같은 적용입니다. ·고대렙 이상으로 가서 최종의
악세사리를 구비하실 때는 자신이 가장 많이 투자한 쪽의 스텟을 극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유리합니다. 쌍힘링, 쌍님블글럽 쌍요요블찌 정도가
보편적이겠고 레인지몹이 있는 사냥 때에는 휀클의 유무가 중요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을 생각한 정비도 필요하리라고 봅니다.
★ 4렙 무기에 대한 심화.
● 송곳(고디펜 처리용) : 최근 어쌔신/로그 계열에 있어서 가장 큰 화두가 된
무기입니다. 기공어크 역시 송곳의 구비가 캐릭터의 완성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있으면
좋습니다. 좋지만, 가격거품이 빠진 뒤에 장만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고디펜몹이 즐비한' 사냥터에서 오른손증뎀검 +
왼손 송곳으로 기공사냥이 가능하고, 평타기공일 경우 더 효율적인 스위칭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송곳은 고디펜에 큰 데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만,
왼손에 들면 쿼드헐켄만큼의 데미지는 빠지게 됩니다. 게다가 공성에서의 장비는 주로 고디펜보다 마방세팅+타라/똥모가 우세하며 엠펠리움에는
스킬데미지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어쌔신에 비해 그 활용도가 덜 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스위칭이 익숙할 때, 바탈캐릭터를 잡기엔
역시 출중한 무기입니다. 송곳에 의한 증폭데미지는 힘뎀에만 적용되므로 이 점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 포츈소드 :
포츈소드/ 공격력90 완전회피+20 럭+5. 옵션만 따지면 물량이 많은 것이 유저의 복이라고 생각할 만한 저렴하고 우수한 칼입니다. 양손으로
들면 완전회피가 41(럭10=완전회피1), 요요클립과 함께면 52%(기본 완전회피1 포함)의 완전회피율을 보이게 됩니다. 속성사용이 어려운
사냥터인 경우 고제련포츈+방패 조합도 상당히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극어질캐릭터의 경우, 쌍어쌔신대거보다 쌍포츈이 돌파력이 오히려 우수하다고
하는 분들도 있을 정도이지만, 기공어크에게 그 정도의 효과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겠지요. 그러나 유형 불문하고 어쌔신이라면 누구나 한 두 자루
가지고 있는 것이 마음 든든한 동반자입니다.
● 그림투스 : 그림투스/ 공격력180 회피+10 완전회피+5 착용자의 모든디펜 1/2감소 무속성. 일정 조건을 만족시켰을 때, 그림투스는
자체의 막강한 공격력을 업고 동일제련 헐켄해동검의 데미지를 넘어서게 됩니다. 무기렙이 4이기 때문에 8이상의 고제련에서 오는 랜덤데미지의 폭이
실로 크기 때문에 70 이상(크게 보아 80 이상)의 덱스가 따라줘야 하는 단점도 있습니다. 기공어크는 사실 준레인지 형태이기 때문에
컨트롤에 자신이 있는 경우 디펜감소가 의외로 적은 패널티일 수 있습니다. 왼손 방패나 포츈소드의 사용도 가능합니다. 회피를 생각하면 평타기공에도
어울리지만, 디펜감소를 생각하면 순수기공과 맞는 것 같기도 합니다. 아직은 정의하기가 모호한 인간이 쓰기엔 계륵과 같은
마검입니다. 무엇보다 기대를 채워주려면 아주 고제련이어야 한다는 것이 큰 단점이겠지요.
● 어쌔신대거 : 어쌔신대거/ 공격력140 최대HP20%증가 최대SP15%증가 암속성. 인찬트포이즌 없이 이뮨드를 부분
무력화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뮨드 공략용, 만피만엠 증가용, 높은 자체 데미지 등등 옵션을 보면 송곳과 콤비로 공성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칼임을 알 수 있습니다. 돌파용으로는 쌍 어쌔신대거, 바탈류 공략시 오른손어쌔신대거 + 왼손송곳이 좋겠습니다. 오른손에 해동검이나
기타 검을 착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지만 어쌔신대거는 어디까지나 고유한 장점이 큰 공성특화용 검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어쌔신만이
착용가능하다는 옵션으로 인해서 그 가격이 생각보다 저렴하다는 점은 옵션이 만든 더 큰 옵션이 아닐까요. 새롭게 밝혀진 사실에 의해 어쌔신대거를
끼더라도 인찬트포이즌을 사용해야 완전한 이뮨드 무력화가 가능해졌습니다. 인트데미지가 이뮨드에 의해 감소되기 때문에 어쌔신대거 만으로는 힘뎀부분만
회복되기 때문입니다.어쌔신대거의 효율에 약간의 흠집이 나겠네요.
★ 스킬트리.
1. 기본스킬트리 - 기공포를
마스터 하는 건 기공어크로의 출발입니다. ● 클로킹3 - 인찬트포이즌6 - 기공포10 (총포인트19)
2.
평타기공기본 - 양손수련을 마스터해야 합니다. 더불어 메테오어절트를 배웁니다. ● 오른손5 - 왼손5 - 카타르수련5 - 쏘닉5 -
메테오어절트10 (총포인트19+30)
3. 평타기공추천 - 어드밴스드수련을 마스터. 이도기공은 카타르의 사용도 유연하게
생각하세요. ● 카타르수련2(7) - 어드밴수련5 (총포인트49+7)
4. 메테오기공어크 - 평타기공도
마찬가지지만 어드밴스드수련은 어크의 축복입니다. ● 오른손3 - 카타르수련7 - 쏘닉5 - 메테오어절트10 -
어드밴수련5 (총포인트19+30)
5. 치독계열 마스터 - 2, 4번 계열을 찍으셨다면 치독 역시 마스터하시길
권합니다. ● 치명적인 독 생산1 - 치명적인 독 부여5 (총포인트49+6, 3번 계열은 56+6)
6. 클로킹 -
클로킹3을 사용해보시고 느리다는 분들은 더 올리십시오. 7 정도 추천합니다. 마스터는 비추천.
7. 베넘더스트 - 공성을 하시려면
3∼5 정도를 추천합니다. 말이 필요 없는 스킬입니다.
8. 쏘닉블로우 - 이미 5를 올리셨으니 선택에 따라 마스터하실 수
있습니다.
9. 그림투스 - 카타르 계열을 충분히 사용하고 싶으신 분들은 개인 판단에 따라.
10. 그 외 독 계열의
스킬은 기공어크에 있어서 불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디까지나 제 주관적인 판단입니다.
11. 삭제됐다던 할루시네이션 워크가 여전히
개발 중이라는 소문이 있습니다. 할루워크가 마스터가 필요한 스킬인가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회의적입니다만 (분명 필요하긴 합니다.) 만약
구현된다면 그 쓸모를 지켜보고 스킬트리를 유연하게 변동해야 할 것입니다.
★ 드미트리의 스텟과
지향점.
● 드미트리의 99레벨 지향스텟은 다음과
같습니다. STR. 80 AGI. 43 VIT.
5 INT. 99 DEX. 80 LUK. 10 (장비가중
포함) HP : [페코&베릿] 9259(7847) 만엠 :
1110(29) 힐량 : 300 기공캐스팅 : 0.47초
● 드미트리는 덱기공어크
지향입니다. 가이드에서 거의 언급하지 않은 덱기공이 된 것은 연막작전 같은 것이 아니고 어정쩡한 초기스텟에 대한 선택이었습니다. 드미의
육성방법은 솔플, 일반 스텟 투자형이었고, 특별한 가이드 없이 짠 최종스텟 중 어질이 순수27, 이 어질을 노비스 하이 때 모두 올림으로써
렙업의 편의를 계산했습니다. 그러므로 이도기공이 되지도 못하고, 후에 등장하는 바탈기공에 비해서 바탈투자여력도 적었던 것입니다. 게다가 극
인트는 다른 유형으로의 변화도 어렵게 했습니다. 이에 캐스팅을 최대한 줄이고 명중률을 높이는 덱기공으로 육성해 나가고 있습니다. (04. 11.
14 현재 Str.70, Dex.70 1차 완성)
● 덱기공이 되면서 현재 추구하는 것은 앞서 약간 언급한 쏘닉과의
결합입니다. 기공어크는 풍부한 SP를 바탕으로 어크의 스킬을 다양하게 자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데미지보정 수련을 마스터함으로써 드미트리는
쏘닉, 메테오, 그림투스를 모두 마스터하는 가칭 스킬러(Skiller)로의 변화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공어크는 치독을 생산하고도 사용하기가 어렵지만 쏘닉과 그림투스는 덱에 의한 치독 사용의 돌파구인 셈입니다.
●
공성에 있어서 덱기공은 클로킹으로 헌터진이나 위자진으로 파고들어가 치독쏘닉으로 단 시간에 전멸시키는 탁월한 능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입구를
막은 탱커를 단시간에 사라지게 할 수도 있습니다. 같은 치독어크에게도 밀리지 않는 이유는 발동되는 순간, 모션과 상관없이 800%(공성에선
480%?) 데미지가 이미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방패를 착용하지 않는 어쌔신의 경우 두 번 세 번의 쏘닉을 견뎌내는 것은 굉장히 어렵습니다.
치독은 스위칭 시에도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쏘닉 후 도망가는 상대의 뒤를 스위칭 후 (혹은 그냥 등뒤로) 기공포로 마무리할 수도
있습니다.
● 공수성에서 드미트리의 세팅은 헐켄해동+타라버클로 입구 돌파 후 산발적인 적은 기공포로, 뭉쳐있는 적을 무너뜨릴 때
치독-등뒤 스위칭-쏘닉-이도 스위칭-기공-등뒤 스위칭 정도가 기본입니다. 이 때 프리의 디펜스 지원이 있을 때는 왼손을 쿼드헐켄블레이드로
스위칭해서 기공의 데미지를 최고로 끌어올립니다. 투구는 똥모에 비해 방어력이 약하지만 피어리스 쥬얼헬름을 기본으로 합니다. 제 성격상 초포들
무게로 회복템을 드는 편이 좋고 배틀모드를 하지 않기 때문에 초포를 둘 단축창도 남지 않기 때문입니다.
● 수성에 있어서
덱기공(유형불문)은 더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엠펠방으로 가는 일정 장소를 지키는데 특별한 방어진을 구성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적은 인원으로 좁은 골목을 막을 수 있는 이 진은 기공어크가 그 중심이 됩니다.
□□□□□
↓↓
◇ △
▽☆
◇
● □는 진입해오는 적입니다. ◇는 프리스트로 앞쪽 프리스트는 렉스에테르나를 걸며, 탱커인 동시에 자신과 기공어크의 힐을 담당하는
역할입니다. 맨 뒤의 프리스트는 방어진의 힐과 흐뉴마 등을 담당하는 서브힐러입니다. △는 기공어크로 탱커의 역할과 함께 렉스가 걸린 적을
기공포로 잡는 역할입니다. ▽는 브라기바드로 방어진의 캐스팅과 후딜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는 위저로 스톰가스트1로 계속해서 상대의
움직임을 억제하고 간혹 유피텔로 잡는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 브라기 위에서의 렉스와 기공포는 거의 동일한 속도로 연사가
가능합니다. 연습을 조금만 하면 렉스가 떨어지는 즉시 기공이 바로바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시계탑4층 책방이나, 노그로드 2층 길목에서 해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저는 고작 연습수준이었고 공성을 주로하는 캐릭터가 아니기 때문에 상상만으로 끝입니다만 완성은 다른 분들이 가능하실 듯해서
이렇게 제안 드립니다. 황당하게 보이지만 나름의 산출물이니 재미있게 읽어주셨으면 그것으로 감사합니다. 브라기의 시, 렉스 에테르나, 그리고
송곳은 기공어크를 적어도 다섯배 이상 강력한 캐릭터로 만드는 세 가지 꿈이라고 할까요.
★ 마무리를 하면서 몇 가지의
제언.
● 방패의 효용성과 공격력과의
선택
레벨이 높아지면 주력몹의 HP와 자신의 데미지, 정확한 민뎀을 계산해서 적절한 데미지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팅의 HP가 9500인데, 100% 명중이 될 때, 데미지가 12000이 나오든 9600이 나오든 사냥에는 차이가
없다는 얘기입니다. 데미지가 12000이 나오는 이 때, 왼손의 보조무기를 방패로 교체하면 생존률과 사냥시간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습니다.
반면 12000의 데미지를 스킬렙을 낮추어 9500으로 만들면, 즉 스킬렙10을 8로 사용할 수 있다면 사냥시간에 있어서 눈에 띄는 향상이 있을
것이고 데미지를 입거나 캐스팅이 끊길 가능성도 줄어들게 됩니다. 어떤 쪽을 선택할 지는 개인이 선택해야 할 부분입니다.
● 극
인트에 대한 선택
저는 극 인트입니다. 저는 패치를 생각하지 않고 키운 초기 캐릭터기 때문에 극 인트를 지향했습니다. 그러나 앞으로
다가올 패치가 있다면, 아시다시피 극 스텟은 가장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인트가 높으면 데미지 이외에도 힐량이라던가 엠회복 등에서 분명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기공포는 MATK과는 달리 인트를 5나 7의 배수로 맞출 필요도 없으며 어크는 극 인트에 장비를 올인트셋으로, 그리고
블레싱을 받아야 120을 겨우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효용성의 문제입니다. 여러분께서는 잘 선택하셔서 인트를 조절하시기를 바랍니다.
● 마방 적용과 디펜더무시에 관한 논쟁에 있어서
더불어 기공포에 대한 개념을 분명히 하고자 합니다. 기공포는 마법공격이 아니라 (공식설명이 어떻든) 인트수치가
공격력으로 환산되는 유형일 뿐입니다. 이것은 헌터의 덱스가 공격력이 되거나, 스파이럴피어스에 있어 무기의 무게, 쉴드계열의 방패 무게가 공격력이
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흐뉴마에 소멸되는 것만 보아도 분명 다른 점은 있지만 원거리 물리공격의 성격이 뚜렷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마방이
적용되려면 공식이 힘과 인트에 상관되는 것이 아니라 ATK과 MATK에 상관해야 할 것입니다. 이것은 오히려 기공포의 데미지를 더욱
증폭시킵니다. 섣불리 버그니 하면서 괴롭히는 일은 없어야 하리라 생각합니다.
디펜더에 의한 감소가 되지 않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것은 자세한 것은 알 수 없으나 카드옵션 적용이 안되는 공격을
디펜더가 가드할 수 없는 프로그램 상의 버그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초기의 샤프슈팅이나 패치 전의 애로우발칸입니다. 이들은 카드적용이 되는
즉시 디펜더의 가드를 받았습니다. 그렇다면 기공포도 카드적용을 시키면서 디펜더의 가드를 받아야 할까요. 판단은 여러분의 몫입니다. 그라피티에서는
기공포의 옵션과 패널티, 지금의 상태가 가장 합리적이다 라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글을 보시는 타직업 분들께서는 오해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마방과 디펜더무시를 해소하기 위해선 어쩔 수 없이
기공포의 데미지가 더욱 증폭된다는 사실을 주지하고자 하였습니다. 모두가 그렇듯이 기공포 역시 노력과 고민의 산출물입니다.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긴 가이드기 때문에 쓸데없는 사족은 안 달면서 쉽게 쓰려고 노력했습니다. 이렇게
정리해놓고 보니 나름으로 뿌듯합니다. 언제나 스스로에게 프라이드가 있는 유저가 되었으면 하네요. 오랜 고민을 함께 해주고 힘을 준 제 동생
waterwhistle은 이 가이드를 쓰게 해 준 은인입니다.
Written by Dmitrie Assassin Cross in
Sarah
|
첫댓글 스크랩 해 가겠습니다. 스크랩 허락은드미님께 맞았는데, 카페에도 맞아야 한다면 관리자님께 허락맞겠습니다.
으흑 글자색의 압박이 ㅠ 하지만 좋은글+_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