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메치科 Nomeidae
○ 물릉돔 : Psenes pellucidus Lütken (= Icticus pellucidus)
► 외국명 : (영) Bluefin driftfish, (일) Hanabiraou (ハナビラウオ)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80㎝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40㎝ 정도이다. 몸은 유연하고 심하게 측편되어 있다. 체고는 높고 유어 때에는 반투명하고 성어가 되면 암색으로 변하며, 각 지느러미는 검다. 성어가 됨에 따라 체고가 작아진다. 배지느러미의 내연은 그 기부에서 항문까지에 있는 홈의 내측과는 연한 막에 의해 이어졌으며, 이 지느러미를 그 홈 속에다 접어 넣을 수 있다. 양 턱에는 1열의 기다란 이빨이 있으며 위턱의 이빨은 몹시 뾰족하고 그 상부 내연에는 앞으로 향한 아주 가느다란 톱니가 있다. 서골과 구개골에 이빨이 없다. 혓바닥은 앞쪽 끝이 넓고 둥글다.
크기는 최대 전장 80㎝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40~50㎝ 정도이다. 두부와 체측은 약간 측편되어 있다. 체형은 세장형이다. 두부와 체측의 전체 체색은 갈색으로 균일하다. 모든 지느러미는 체색과 동일한 갈색이다. 제1등지느러미의 기저 시점은 가슴지느러미 기저에 위치한다. 제1등지느러미 1극 길이는 2극보다 약간 짧으며, 4극 길이가 가장 길고 후반부의 외연은 약간 둥글다. 제1등지느러미와 제2등지느러미는 결각 없이 분명하게 분리되어 있다. 제2등지느러미 외연은 거의 일직선이다. 제1등지느러미 기저 길이는 제2등지느러미 기저 길이보다 현저히 짧다. 가슴지느러미는 체측 중앙보다 약간 복부 방향에 위치하며 외연은 둥글고 후단은 제1등지느러미의 기저 후단과 항문에 이르지 못한다.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기저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그 길이가 매우 짧아서 가슴지느러미 후단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 항문은 체측 중앙보다 전방에 위치하며 제1등지느러미의 기저 후단에 위치한다. 뒷지느러미 기저 시점은 제1등지느러미와 제2등지느러미의 경계부에 위치하며, 외연은 일직선이다. 뒷지느러미 연조부의 기저 길이는 제2등지느러미 기저 길이와 동일하다. 뒷지느러미 기저 후단은 제2등지느러미 기저 후단에 위치한다. 꼬리지느러미는 정형이며, 중앙연조는 깊게 내만되어 있고 상하엽은 후방으로 신장되어 있지는 않다. 양안간격은 편평하거나 약간 볼록하다. 주둥이의 상악은 하악보다 약간 전방에 있거나 상하악은 동일하게 전방에 있다. 상악 후단은 안경 중앙에 이르지 못한다. 전새개부 후하단의 외연에 거치가 없다. 새개부 후단에 소극이 없다. 상하악, 서골, 구개골 및 혀에 작은 이빨이 있다. 비늘은 즐린이며 아가미 상후단의 두부 측면에 비늘이 덮여 있다. 등지느러미 기점전 비늘의 좌우는 경계는 안경 후단에서 시작하며 그 중앙은 제1등지느러미 기저방향으로 깊게 내만되어 시작한다. 측선은 아가미 상후단에서 시작하여 미병부까지 등 쪽으로 심하게 휘어져 있다.
► 설 명 : 대개는 수심 20m 이내의 연안에 서식한다. 유어는 해파리 촉수 사이에서 숨어 살거나 표류하는 해조류 덤불이나 물체 밑 그늘 안에 숨어서 표류생활을 하며, 때때로 유령해파리(Cyanea nozakii) 등의 해파리류 촉수 사이에서 헤엄쳐 공서하는 외양성 어류이다. 성어가 되면 저층부로 내려가 산다. 해저 1000m 수심에서도 발견된다. 동물플랑크톤과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제철은 명확하지 않다. 어린 개체는 수분이 많고 몸 자체가 부드럽고 무르다. 대형 개체는 몸이 부드러우면서도 단단해진다. 비늘은 작아서 벗기기 쉽다. 껍질은 얇고, 뼈는 연하다. 어린 개체의 살은 한천처럼 손으로 으스러질 정도로 부드럽다. 대형 개체의 살은 희게 흐려지는 백색이며, 지방이 몸에 혼재되어 있다. 생선회는 상온에 내 놓기만 해도 표면에 기름이 번진다. 고소하면서 단맛이 약하게 느껴지지만 많은 양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소금구이는 표면에 떠오른 기름기가 끓어올르며, 폭신폭신하고 부드러우며 맛이 좋다. 녹말을 바르고 빵가루를 묻혀 튀기면 표면의 고소함과 부드러운 섬유질의 속살을 느낄 수 있어서 일품이다. 조림 등으로도 이용한다.
► 분 포 : 한국(전 연안), 일본, 홍해, 아프리카 북부, 지중해, 캘리포니아 남부 등 태평양과 대서양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