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백산 국립공원[죽령~연화봉~비로봉~삼가리] 산행전도
트랭글 운동표[운동정보,획득배지]
트랭글 운동표[운동상세정보]
위성지도[네이버]
트랭글 운동표[날씨,코스정보,속도,고도]
트랭글 운동표[평속,경사도]
트랭글 운동표[속도,고도,웨이포인트]
당일날씨상황[네이버]
램블러 운동표
램블러 위성지도[네이버]
09;52 죽령[해발689m/휴게소];간만에 소백산 국립공원 산행에 나섰다.죽령은 2014년 대간때 죽령으로 하산을 한적은 있으나 들머리로 진행한적은 처음이다. 날이 산행하기에 더없이 좋은 시원한 날이다.
단체사진을 찍기전에 우주님도 죽령을 인증하고 산행을 시작한다.
10;20 이정표 1[ ↑ 연화봉5.5km,제1연화봉7.3km,비로봉9.8km, ↓ 죽령주차장1.5km]
10;24 도로따라 진행하다 혜성이 자리하고 있다. 진짜인지 가짜인지는 관심이 없다.
10;47 이정표 2[ ↑ 연화봉3.7km,비로봉8.0km, ↓ 죽령주차장3.3km]
11;13 제2연화봉[해발1357.3m/이정표 3/ ← 연화봉3.7km, → 산상전망대,제2연화봉대피소0.3km,소백산강우레이더관측소0.4km]
임도따라 한껏 오르다가 제1연화봉에 같이 도착한 가슴이 따뜻한 남자..가따남님
같이 도착했으니 나도 같이 인증한다
이어서 숙취로 고생하시며 땀흘리며 떨치려고 열심히 올라오신 스마일 총무님과 직장동료분
강우레이더관측소를 배경으로~
사진찍으려고 기다리는데 영빈님이 올라오신다~
우주님 이어 오신다
임도따라 거닐면서 다시한번 강우량레이더관측소를 본다
또한번..
11;52 이정표 4[ ↑ 연화봉0.6km, ↓ 죽령주차장6.4km]
11;56 소백산천문대; 소백산국립공원 내에 있는 소백산 천문대는 국내에서 최초로 현대식 망원경을 설치한 천문대이다. 1974년 국립천문대로 설립한 후, 1986년 소백산 천문대로 개칭했다. 소백산 천문대는 별 관측을 위해 주변 불빛이 없는 곳에 자리했다. 천문대까지 가려면 해발 1,400m 연화봉 인근까지 걸어서 가야 한다. 두 개의 코스가 있으며 그중 희방사 코스는 희방 탐방지원센터에서 시작해 희방폭포, 희방사를 거쳐 연화봉에 도착하는 코스로 거리는 4.4km이지만 가파른 편이다. 죽령 코스의 경우에는 죽령 탐방지원센터에서 시작해 제2연화봉을 거쳐 연화봉에 도착하는 코스로 2시간이 소요된다. 천문대 주간 견학은 매일 오후 1시부터 4시까지 30분 간격으로 있으며, 주간 견학의 경우 망원경 등 관측 시설 및 장비 견학과 천문우주과학 설명이 중심이다. 낮이라 천체관측은 불가하며, 워크숍과 연구연수 등의 행사가 있는 경우 견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전에 확인 후 방문해야 한다.
11;59 이정표 5[ ↑ 연화봉0.2km,희방사2.5km, ← 비로봉4.5km, ↓ 죽령탐방지원센터6.8km]
12;01 연화봉 오르기전 제2연화봉과 소백산천문대를 배경삼아
좋은배경에 가따남님이 자리를 잡으신다..배경도 좋고 사람도 좋고
연화봉[蓮花峰/해발1383m]; 영주시 풍기읍 삼가리·수철리와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천동리의 경계를 이루는 봉우리이다. 연화봉에서 북북동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따라 약 1.5㎞ 위치에 제1연화봉[1,394.4m]이 솟아있고, 여기에서 북동쪽으로 약 2.3km 이동하면 소백산 최고봉인 비로봉[1,439.5m]으로 이어진다. 연화봉에서 서남서쪽으로 약 1.8㎞ 떨어진 곳에 제2연화봉[1,357m]이 솟아있다. ‘연화봉’이라는 명칭은 전국 산지에서 종종 확인되는 이름으로, 이와 같은 이름은 산의 생김새가 연꽃처럼 생겼다 하여 유래한 경우가 많다. 소백산 연화봉의 경우 『재향지』의 희방용추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연화봉(蓮花峰) 아래에서 발원한다.”라 하여 산의 이름이 전해진다. 제1연화봉-연화봉-제2연화봉으로 이어지는 대략 북동-남서 방향의 능선은 비교적 평평하여 기복이 작은 편으로 주로 초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일대의 주요 지질은 선캄브리아기의 흑운모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동-남서 방향의 주능선에서 남동쪽으로 이어지는 능선들은 약 2.3㎞ 지점부터 지질이 선캄브리아기의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으로 변화한다. 제1연화봉은 정상부가 비교적 평평한 초원으로 펼쳐지며, 초본 식생 및 관목 식물들이 주로 자라고 있다. 제1연화봉에서 남동쪽으로 뻗은 정안동계곡을 따라 풍기읍 삼가리로 이어지고, 북쪽으로는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으로 이어진다. 대강면의 선바위와 백자골을 지나면 단양군 단양읍 천동리가 나오는데, 여기에는 단양 사람들이 영주의 풍기장을 보기 위해 넘나들던 민백이재가 있다. 또 제1연화봉의 북동쪽에는 노랑무늬붓꽃 특별보호구역이 있다. 노랑무늬붓꽃은 백합목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4~5월 사이에 백색 바탕에 노란 줄무늬가 있는 꽃이 만개한다. 또 이 일대에는 소백산 원추리 군락지가 있어 8월 하순이면 원추리꽃이 한창이다. 연화봉 일대에는 소백산 철쭉 군락지가 펼쳐져 있어 매년 5월 영주소백산철쭉제가 열리며 다양한 행사가 함께 개최된다. 또한, 연화봉에서 남쪽으로 뻗은 능선을 따라 내려오면 희방계곡과 희방폭포가 나오며, 천년고찰인 희방사가 자리하고 있다. 연화봉의 서쪽 능선에는 소백산천문대가 자리하고 있다. 연화봉으로 향하는 등산 코스는 희방사 코스가 있다.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에 있는 희방사역에서 북쪽으로 이어지는 마을 길을 따라 걷다 보면 등산로가 나타난다. 이 등산로는 희방계곡과 이어지며, 희방폭포와 희방사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다. 희방사에서 북동쪽으로 약 700m 올라간 뒤 북쪽 능선을 따라 올라가면 연화봉에 도달한다. 여기에서 북쪽 능선을 따라 올라가면 제1연화봉으로 이어지고, 능선을 따라 계속 걷다 보면 비로봉에 도달한다. 반면 연화봉에서 서쪽 능선을 따라 내려가면 제2연화봉이 나오고 죽령[689m]으로 이어진다.
12;03 연화봉[해발1383m/이정표 6/ ← 비로봉4.3km, → 희방사2.4km,희방1주차장3.7km,희방사역5.0km, ↓ 제2연화봉 대피소3.0km,죽령주차장7.0km]
연화봉에 함께 도착한 가따남님
우주님도 얼마나 빨리 오시는지 앞서가니 힘이 듭니다
오~숙취가 좀 풀리신듯 합니다..스마일총무님
12;58 이정표 7[ → 비로봉4.2km, ← 제2연화봉대피소2.9km, ↓ 연화봉0.1km,희방사2.5km]
13;18 이정표 8[ ↑ 비로봉3.0km, ↓ 연화봉1.3km]
13;21 초반에 후미에서 처음온 대원들 일일이 후미에서 챙기며 올라와 점심때야 합류한 단미부회장님..많이 수고했어요~~
13;27 제1연화봉 오르기전의 데크에 모두들 열심히 올라오고 계십니다~~
13;28 모여든 대원분들과 함께 화이팅도 외칩니다..사진찍어주신분이 얼마나 활기차신지..ㅎㅎ
역시 사진은 떼사진이 최고입니다~~~
13;32 제1연화봉[해발1362m/이정표 9/ ↑ 비로봉2.5km,국망봉5.6km, ↓ 연화봉1.8km,제2연화봉대피소4.8km]
정상목뒤로난 등로따라 올라오면 정상석이 있다. '안동솔잎산악회'에서 정상석을 세워놓은것같다.고향의 산악회라 가입만 해놓고 한번도 산행에 참석을 하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반가운 마음과 뿌듯함은 괘 컸다...
오늘은 가따남님과 계속 같이 산행을 하게된다..^^ 다음에도 같이해요..
단미님은 돌아서서 찍는답니다..뒷모습이 자신이 있는건지 그건 잘모르지만 하라는대로 찍습니다
오후에는 같이 산행을 하는분들이 많아서 좋아요..하루방님~~~
벽송산악회의 강산에 회장님도 함께합니다..
오~~스마일 총무님
13;58 이정표 10[ ↑ 비로봉1.5km, ↓ 제1연화봉1.0km]
14;03 지나온 등로를 되돌아 봅니다..멀리 천문대도 조망이 가능하며, 역시 걷는 걸음이 느린것 같지만 와서보면 까마득합니다
우주님과 단미님
가따남니과 단미님..
한사람만 그대로이고 돌아가며 찍는시간..
14;30 이정표 11[ ↑ 비로봉0.6km, ← 천동쉼터1.7km,천동탐방안내소6.0km, ↓ 연화봉3.7km]
14;33 비로봉에 길게 늘어서서 정상석 인증을 하려는 길게 늘어선 대기줄을 보며 즐거워합니다~~
14;45 소백산 비로봉[해발1439.5m/이정표 12/ ↑ 삼가주차장5.5km, ← 국망봉3.1km,어의곡주차장5.2km, ↓ 연화봉4.3km,천동탐방안내소6.6km,희방사6.7km,죽령주차장11.3km]
소백산국립공원[小白山國立公園/해발1439.5m]; 영주시 풍기읍 삼가리와 순흥면 배점리, 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어의곡리 사이에 있는 산으로 소백산의 최고봉이다.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소백산 주목군락[천연기념물 제244호]과 노랑무늬붓꽃 특별보호구역이 있으며 매년 소백산 철쭉 군락지 일대에서 영주소백산철쭉제가 개최되고 있다. 비로봉은 산봉우리를 영험하게 여겨 불계에서 명명한 지명인 것으로 전해진다. ‘비로(毘盧)’는 비로자나(毘盧遮那)의 준말로 몸의 빛과 지혜의 빛이 법계에 두루 비치어 가득하다는 뜻이다. ‘부처의 진신을 일컫는 말’이라는 의미도 있다. 비로봉의 북동쪽은 국망봉[1420.8m]으로 능선이 이어지며, 남서쪽은 제1연화봉[1,394.4m]과 제2연화봉[1,357m]으로 능선이 뻗어있다. 주요 지질은 선캄브리아기의 변정질 편마암과 흑운모 화강암질 편마암,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로봉의 북서사면[1,200~1,350m]은 비교적 완만한 경사로 이루어져 있고, 소백산 주목군락[천연기념물 제244호]이 있다. 이곳에 자생하는 주목들의 평균 수령은 약 350년 정도이고, 총 본수는 3,798본으로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주목 군락지이다. 또한, 비로봉의 서쪽 능선에는 노랑무늬붓꽃 특별보호구역이 있다. 노랑무늬붓꽃은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4~5월에 백색 바탕에 노란 줄무늬가 있는 꽃이 핀다. 비로봉 일대에는 철쭉 군락지도 있어 매년 5월 철쭉제가 개최되고 있다. 비로봉으로 향하는 등산로는 풍기읍 수철리에서 희방계곡을 따라 올라가는 코스와 영주시 순흥면 배점리에서 석륜암계곡을 따라 올라가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첫 번째 코스를 따라 올라가다 보면 희방폭포가 나오며 제1연화봉으로 이어져 비로봉에 도달하게 된다. 두 번째 코스는 죽계구곡, 초암사, 석륜암계곡을 지나 돼지바위 부근에서 서쪽 능선을 따라가면 비로봉이 나온다. 비로봉 아래 비로사에는 영주 삼가동 석조당간지주[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호]가 있으며, 2019년 5월 25일부터 5월 26일까지 ‘여우가 반한 소백산 철쭉’이라는 주제로 2019영주소백산철쭉제가 개최되었다. 1987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정상의 많은 대기줄로 정상인증 시간이 길어질것 같아서 옆에서 정상석만 나오게 인증한다
정상에서 밑으로 내려다보면 늘 좀더 있다가 가면 좋을껄하지만 우리는 내려가기에 바쁘다..그래도 잠시 짬을내어
15;08 이정표 13[ ↑ 삼가주차장5.2km, ↓ 비로봉0.3km]
15;18 해발1193m[소백04-05/이정표 14/ ↑ 비로사3.2km,삼가주차장4.7km, ↓ 비로봉0.8km]
15;26 양반바위[해발1113m이정표 15/ ↑ 삼가주차장4.3km, ↓ 비로봉1.2km]
15;34 비로사구탐방로갈림길[해발1020m/소백04-03/이정표 16/ ↑ 삼가주차장3.8km, ↓ 비로봉1.9km]
15;48 이정표 17[ ↑ 삼가주차장2.8km, ↓ 비로봉2.7km]
15;57 소백산 산신각입구
15;58 해발590m[소백13-06/이정표 18/ ↑ 삼가주차장2.2km, ←초암사(자락길)3.0km, ↓ 비로봉3.3km]
16;08 이정표 19/ ← 삼가주차장1.8km, → 비로사0.3km,자연감성지구0.2km, ↓ 달밭골명품마을0.4km,소백산자락길0.4km,비로봉3.7km]
16;19 이정표 20[ ↑ 삼가주차장1.3km, ↓ 화장실0.5km,비로봉4.2km]
16;34 삼가야영장[이정표 21/ → 야영장, ↓ 달밭골명품마을2.0km,소백산자락길2.0km]
16;33 하산길에 계곡물에 잠시 족욕하여 고생한 발에 잠시 휴식을 주는 시간을 가졌다가 삼가주차장으로 내려선다
16;37 이정표 22[ ← 야영장0.2km,자연감성지구2.0km,달밭골명품마을2.2km,소백산자락길2.2km,비로봉5.5km, ↓ 당골(자락골)0.5km]
2024년05월25일
*산행지;소백산 국립공원[죽령~연화봉~비로봉~삼가리]
*산행거리;17.34km
*산행시간;06시간46분[휴식시간01시간07분 포함]
*날씨;맑음[산행하기 좋은 날씨]
*기온;17℃~22℃
*사용GPS;TRANGGLE,Ramblr
*특이사항;①벽송산악회 502차 정기산행 ②죽령에서 연화봉까지의 약 7km의 임도
*산행코스;죽령~제2연화봉~연화봉~제1연화봉~소백산비로봉~삼가주차장
09;52 죽령[해발689m/휴게소]
[충북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 43-83번지]
10;20 이정표 1[ ↑ 연화봉5.5km,제1연화봉7.3km,비로봉9.8km, ↓ 죽령주차장1.5km] 1.57km
10;47 이정표 2[ ↑ 연화봉3.7km,비로봉8.0km, ↓ 죽령주차장3.3km/1.63km] 3.20km
11;13 제2연화봉[해발1357.3m/이정표 3/ ← 연화봉3.7km, → 산상전망대,제2연화봉대피소0.3km,소백산강우레이더관측소0.4km/1.08km] 4.28km
11;52 이정표 4[ ↑ 연화봉0.6km, ↓ 죽령주차장6.4km/2.25km] 6.53km
11;56 소백산천문대[0.18km] 6.71km
11;59 이정표 5[ ↑ 연화봉0.2km,희방사2.5km, ← 비로봉4.5km, ↓ 죽령탐방지원센터6.8km/0.24km] 6.95km
12;03 연화봉[해발1383m/이정표 6/ ← 비로봉4.3km, → 희방사2.4km,희방1주차장3.7km,희방사역5.0km, ↓ 제2연화봉 대피소3.0km,죽령주차장7.0km/0.23km] 7.18km
중 식[연화봉 아래 공터]
12;54 중식후 출발
12;58 이정표 7[ → 비로봉4.2km, ← 제2연화봉대피소2.9km, ↓ 연화봉0.1km,희방사2.5km/0.12km] 7.30km
13;18 이정표 8[ ↑ 비로봉3.0km, ↓ 연화봉1.3km/1.07km] 8.37km
13;32 제1연화봉[해발1395m/이정표 9/ ↑ 비로봉2.5km,국망봉5.6km, ↓ 연화봉1.8km,제2연화봉대피소4.8km/0,43km] 8.80km
13;58 이정표 10[ ↑ 비로봉1.5km, ↓ 제1연화봉1.0km/1.11km] 9.91km
14;30 이정표 11[ ↑ 비로봉0.6km, ← 천동쉼터1.7km,천동탐방안내소6.0km, ↓ 연화봉3.7km/0.99km] 10.9km
14;45 소백산 비로봉[해발1439.5m/이정표 12/ ↑ 삼가주차장5.5km, ← 국망봉3.1km,어의곡주차장5.2km, ↓ 연화봉4.3km,천동탐방안내소6.6km,희방사6.7km,죽령주차장11.3km/0.6km] 11.5km
15;08 이정표 13[ ↑ 삼가주차장5.2km, ↓ 비로봉0.3km/0.3km] 11.8km
15;18 해발1193m[소백04-05/이정표 14/ ↑ 비로사3.2km,삼가주차장4.7km, ↓ 비로봉0.8km/0.5km] 12.3km
15;26 양반바위[해발1113m이정표 15/ ↑ 삼가주차장4.3km, ↓ 비로봉1.2km/0.5km] 12.8km
15;34 비로사구탐방로갈림길[해발1020m/소백04-03/이정표 16/ ↑ 삼가주차장3.8km, ↓ 비로봉1.9km/0.5km] 13.3km
15;48 이정표 17[ ↑ 삼가주차장2.8km, ↓ 비로봉2.7km/0.8km] 14.1km
15;57 소백산 산신각입구[0.6km] 14.7km
15;58 해발590m[소백13-06/이정표 18/ ↑ 삼가주차장2.2km, ←초암사(자락길)3.0km, ↓ 비로봉3.3km/0.1km] 14.8km
16;08 이정표 19/ ← 삼가주차장1.8km, → 비로사0.3km,자연감성지구0.2km, ↓ 달밭골명품마을0.4km,소백산자락길0.4km,비로봉3.7km/0.4km] 15.2km
16;19 이정표 20[ ↑ 삼가주차장1.3km, ↓ 화장실0.5km,비로봉4.2km/0.5km] 15.7km
16;34 삼가야영장[이정표 21/ → 야영장, ↓ 달밭골명품마을2.0km,소백산자락길2.0km/1.2km] 16.9km
16;37 이정표 22[ ← 야영장0.2km,자연감성지구2.0km,달밭골명품마을2.2km,소백산자락길2.2km,비로봉5.5km, ↓ 당골(자락골)0.5km/0.3km] 17.2km
16;38 삼가주차장[0.14km] 17.34km
[경북 영주시 풍기읍 삼가로 476]
[경북 영주시 풍기읍 삼가리 265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