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실습 일정
시 간 | 프로그램 | 대 상 자 | 내 용 | 실습생 역할 |
9:00~10:00 | 복지 요결 공부 | 실습생 전체 | 사회사업가는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 | 학습, 경청, 필기 |
10:00~11:00 | 기획단 회의 | 성현동 팀 | 기획단 멤버 나누기 하고 싶은 놀이 말하기 | 진행, 경청, 필기 |
11:00~12:00 | 기획단 아이들과 친밀감 형성 | 성현동 팀 | -연주, 공명, 윤환이랑 모두의마블 게임 | 집중, 진행 |
12:00~13:00 | 점심 식사 | - | - | - |
13:00~17:00 | 성현동 팀 회의 및 슈퍼비전 | 성현동 팀 | -사업 단일화, 역할 부여 -아이들 이끌기 -책임감 부여 | 학습, 경청, 필기, |
17:00~18:00 | 실습일지 작성 | 성현동 팀 |
| 집중 |
2. 실습 일정 세부 내용
-기획단 회의(10:00~11:00)
: 기획단 아이들이 다 모이는 2번째 날이었습니다. 어제 안 온 친구들이 있어서 다시 자기소개를 하면서 서로의 얼굴을 익혔습니다. 이후에는 하고 싶은 활동을 기반으로 팀을 나누어 팀별로 디데이 날 어떤 활동을 하고 싶은지 물어보았습니다. 물풍선 피구, 술래잡기하면서 물총 쏘기, 얼음땡에 물총을 결합한 것, 물풍선 던지기 등 다양한 활동을 말해주었습니다. 활동을 이야기하다가 리하가 “운동회처럼 청팀 백팀 나눠서 이기는 팀에 포인트를 주는 방식도 하고 싶어요.”라고 말해서 바로 다른 기획단 아이들에게 혼자서 게임하는 것을 좋아하는지 아님 팀을 꾸려서 단체전으로 하는 것을 좋아하는지 물어봤습니다. 강현이와 승우는 개인전을 선호했고, 리하랑, 병욱이랑 세현이는 단체전을 선호해서 1부에는 개인전 게임을 하고 2부에는 단체전을 하는 등 개인전과 단체전을 둘다 진행할 수 있는 방향으로 타임라인을 짜보자고 세민쌤과 얘기했습니다. 이후에는 기획단 아이들이 다시 모여 실내에서 놀 팀과 외부에서 놀 팀을 나누었습니다. 모두의마블을 좋아하는 윤환이와 실내 활동을 좋아하는 연주와 공명이가 저와 함께 모두의마블 게임을 했고, 나머지 친구들은 밖에 나가서 피구를 했다고 들었습니다. 게임하면서 제가 돈과 땅 문서를 나누어 주어야 하는 상황에 아이들이 신나서 조금 진행 속도가 빨라졌고, 진정시키기 위해 친구들에게 “선생님이 돈을 나누어 주거나 카드를 나누어줄 때 잠깐 기다려 줄 수 있을까?”라고 부탁했고 그 이후로 천천히 게임을 진행하는 것을 보고 매우 놀랐었습니다. 다시 게임 속도가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아이들이 잘 기다려줘서 잘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윤환이는 이미 규칙에 대해서 잘 알고 있었고 공명이와 연주는 룰 모르는 것이 있어서 따로 설명해주었는데 게임에 대한 이해가 빨라 잘 진행되었던 것 같습니다. 어제랑 똑같이 윤환이는 “선생님 저희 1명만 남을때까지 게임해요!”라고 말하였으나 이미 점심시간이 되어서 이유를 설명하고 게임을 정리하였습니다.
3. 실습 일정 평가
1) 배운 점
-복지요결
: P.29 / 2) 의논하기
기관의 정책과 형편, 사회사업가의 권한과 책임, 당사자와 지역사회의 생태 강점 관계 따위를 헤아려 의논합니다.
물어보는 것만 아니라 의논해야함!
물어보고, 의논하고, 부탁하기!
이 3개를 꼭 반드시 해야 당사자와 사회사업가 간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음.
당사자가 1개만 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 여러 개를 하고 싶어 할 수 있기 때문에, 부탁하지 않으면 사회사업가가 이를 모두 진행할 수 있음!
이가영 부장님께서 “우리가 당사자분들과 꼭 물어보고, 의논하고 부탁해야 해요!”라고 말씀하셨을 때, ‘당연한 거 아닌가?’라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하지만 뒤에 “당사자가 여러 가지를 하고 싶어 할 수 있어요.”라고 말씀하셨을 때 깨달은 것이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당사자의 이미지가 소극적이고, 하고 싶은 것이 없고, 자기 주도성이 없는 사람이라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던 것입니다. 다르게 생각해 보면, 저부터 하고 싶은 것들이 많은데 ‘당사자’라고 해서, ‘클라이언트’라고 해서 하고 싶은 것이 없는 게 아니었습니다. ‘당사자’, ‘클라이언트’라는 단어에 꽂혀서 그런 고정관념을 만들어냈던 것 같습니다. 이번 계기로 ‘내가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은 무엇이지?’, ‘내가 갖고 있는 고정관념이 상대방과 대화할 때 상대방이 불편하지 않을까?’ 등 많은 질문을 스스로에게 할 수 있었습니다.
3) 부탁하기
①당사자에게 부탁하기
당사자가 하게 부탁하되 어려워하면 과정을 세분하거나 단계를 나누어서 우선 할 수 있는 만큼 하게 부탁합니다.
사진 촬영, 행사 진행, 교통편 안내 등 역할을 나눌 것!
이가영 부장님께서 부탁에 대한 예시를 들어주셨을 때 ‘앞으로 말할 때 이렇게 적용해 봐야겠다.’라고 생각을 했었습니다.
“민주 선생님, 이번에 실습하면서 보니까 아이들을 너무 예뻐하시던데 앞으로 매주 월요일마다 와서 4시간 동안 아이들을 봐줄 수 있나요?”가 아니라 “민주 선생님, 이번에 아이들과 실습하면서 아이들이 선생님 또 언제 오냐고 물어봤어요. 혹시 학교 다니는 중에 시간 남으면 한 번쯤 와서 아이들이 잘하고 있는지 봐줄 수 있어요?”라고 요청할 때 당사자가 부담스럽다고 느끼지 않게 질문하시는 것을 보고 평소에 세게 말하는 저의 화법에 대해서 반성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생각한 부분은 아니었지만, 오늘 보드게임을 하면서 “선생님이 돈을 나누어 주거나 카드를 나누어줄 때 잠깐 기다려 줄 수 있을까?”라고 부탁했을 때, 아이들이 요청을 들어줘서 앞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와 부탁할 때 부드럽게 말해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2) 보완점
오전에 아이들을 만나고 오후에 실습 일지에 내용 정리하면서 ‘어떤 내용을 적어야 할까?’라는 생각이 계속 들었습니다. 첫날 강민지 선생님께서 적어야 하는 것들을 알려주셨지만, 확 와닿지 않았습니다. 지속해서 문은선 선생님께도 내용을 더 적어야 한다고 피드백을 받아왔지만 6번째 실습일지를 적는 오늘도 어려운 것 같습니다. 오전에 아이들 활동에서 기획단 아이들이 했던 말이나, 행동 등 적어야 하는 포인트들과 슈퍼바이저께서 슈퍼비전 해주실 때 말씀하신 긴 문장을 일지에 녹여내는 이러한 능력들이 부족하다고 많이 느꼈습니다. 같은 팀에 활동하고 있는 선생님들의 글들뿐만 아니라 이번 기수에 같이 활동하고 있는 실습생 선생님들을 많이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3) 슈퍼비전 요청 사항
없습니다.
첫댓글 우리가 아침마다 기획단 아이들을 만나는 이유
아이들이 아침마다 바쁜 일정 속에서도 복지관에 오는 이유
아이들이 나누는 대화의 주제
오후 회의시간에 나누는 대화의 주제
공통점이 있지 않나요~?
매일아침
아이들과 만날 생각에
피곤한 몸을 일으켜
복지관에 온다는 예진선생님.
선생님이 좋아하는 아이들. 기다리고 기대했던 아이들과의 만남 속 수많은 이야기들.
교수님 만나면서 이야기 했잖아요.
신나게 아이들 자랑도 했잖아요.
이미 말로 했던 이야기들을 적어주세요.
글로 보고 싶어서 부탁했던거예요.
잘 하고 있어요. :)
예진선생님이 잘하는 사진과 영상 기록도 잘 남겨주길 바라고
영상은 이번에도 잘 편집해서 기획단 아이들, 부모님과 공유하면 좋겠습니다.
앞으로 더욱 힘차고 밝은 에너지 주는 동료가 되길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