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년을 열두달로 나누어 구분한 것이 지금의 달력이라면, _일년을 사계절로 구분을 하고, 이 사계절을 좀 더 세분화 |
스물네 개의 절기로 나누어 구분한 것이 24절기입니다. |
|
1) 입춘 (立春_양력으로는 2월 4일 경이 된다) : 24절기중 첫번째 절기(節氣)로, 봄이 시작됨을 알리는.., 새해를 상징하는 첫 절기이다. 음력 정월(1월)이나, 섣달(12월), 혹은 섣달과 정월에 거듭 들기도 한다. 예로부터 입춘이 되면 상가(喪家)가 아닌 모든 집에서 [입춘대길(立春大吉)], [개문만복레(開門萬福來)] 등의 글을 써서 대문이나 기둥에 붙이는 등 여러 민속행사가 전해지고 있는데 이렇게 붙이는 글을 입춘첩(立春帖), 입춘축(立春祝) 또는 춘축(春祝)이라고 하며, 궁궐에서는 춘첨자(春帖子)라 하여 문신들의 좋은 연상시(延祥詩)를 기둥에 붙였다고 합니다. |
2) 우수 (雨水_양력으로는 2월 19일 경이 됨) : 두 번째 오는 절기로, 음력으로 정월에 있는 절기이다. 눈이 아닌 비가온다는 글과 같이, 얼음이 녹고 날씨가 풀려 봄기운이 일어 산천초목이 움트기 시작하는 때를 말하게 된다. 3) 경칩 (驚蟄_양력으로 3월 6일 경이 됨) : 세 번째 오는 절기로, 음력으로 2월에 있게 된다. 옛부터 경칩이 되면 개구리가 겨울잠에어 깨어난다는 말이 있듯이, 추운겨울 움추리고 있던 날씨가 풀려 만물이 밖으로 나와 활동하는 시기를 말하게 된다. 4) 춘분 (春分_양력으로 3월 21일 경이 됨) : 네 번째 오는 절기로, 태양이 적도 위에 바로 위치해, 지구상의 밤낮의 길이가 거의 같아지게 된다. |
| |
그래서 춘분이 되면, 이때부터 하루 하루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시작한다고 한다. 5) 청명 (淸明_양력으로는 4월 5일~6일 경이 됨) : 다섯 번째 오는 절기로, 음력으로 3월에 있게된다. 옛부터 농가에서는 이때를 기준하여 논농사를 준비하는 시기로 정하였다. 6) 곡우 (穀雨_양력으로 4월 20일 경이 된다) : 청명 다음에 오는 절기로, 이때가 되면 봄비가 자주내려 땅이 촉촉해져 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이 된다. 그래서 옛부터 곡우때 비가 내리지 않으면 한해 농사를 걱정하기도 하였다 한다. |
|
7) 입하 (立夏_양력으로는 5월 5일~6일 경이 됨) : 일곱 번째로 오는 절기로 계절로는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때로, 열세 번째오는 절기인 입추까지의 여름에 해당하는 기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다. 음력으로는 4월에 위치하게 되며, 농사 기간중 가장 바빠지는 기간으로 무더워지는 날씨와 함께 해충이나 잡초 등 대풍을 위한 노력이 많아지는 시기가 된다. |
|
8) 소만 (小滿_양력으로는 5월 21일 경이됨) : 여덟 번째 오는 절기로, 입하 다음으로 음력 4월에 들게 된다. 입하 이후 이때부터가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된다고 볼 수 있는 기간으로 식물 성장에 좋은 이때 보통 농촌에서는 모내기를 시작한다. 9) 망종 (芒種_양력으로 6월 6일~7일 경이 된다) : 소만 다음으로 오는 절기로 보통 음력 4월∼5월에 들게 된다. 옛부터 "보리는 망종이 되기 전에 베어라"는 속담이 전해지듯 망종이 되면, 모내기, 보리베기와 밭갈이 등을 행하였다. 10) 하지 (夏至_양력으로 6월 21일 경이 된다) : |
열번째 오는 절기로 우리나라에서는 태양이 가장 높고, 해그림자가 가장 짧아지고, 낮의 길이가(시간이) 가장 길어진다는 때가 '하지'이다. 11) 소서 (小暑_양력으로 7월 7일~8일 경이 된다) : '하지' 다음으로 음력 6월에 드는 절기로 우리니라에서는 장마와 함께 무더위가 시작되는 때로 장마철을 이룬다. 지금과는 달리 옛날에는 이때에 논매기를 하는 시기였다고 한다. 12) 대서 (大暑_양력으로 7월 23일 경이 된다) : 가을을 알리는 '입추'에 들기 전, 음력 6월에 든다. 보통 중복 무렵에 들며, 여름 더위가 한창 심한 시기가 된다. |
|
13) 입추 (立秋_양력으로 8월 6일~9일 경이 됩니다) : 사계절중 가을이 시작됨을 알리는 절기로 음력 7월에 든다. 농촌이 한가해 지는 기간으로 이때 겨울 김장용 소채류 농사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14) 처서 (處暑_양력으로는 8월 23일 경이 된다) : 열네 번째 드는 절기로, 음력 7월 무렵으로, 더위가 물러가고 가을 기운이 자리를 잡는다. |
15) 백로 (白露_양력으로 9월 9일 경이 됨) : 처서 이후 음력 8월에 든다. 밤에는 기온이 내려가고, 아침 이슬이 맺혀 가을의 기운을 몸으로 느끼게 되는 시기이다. 16) 추분 (秋分_양력으로 9월 23일 경이 됨) : 24절기중 열여섯 번째 드는 절기로, 음력 8월에 든다. 일년중 다시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고, 추분이 지나면 점차 밤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점점 밤이 깊어지기 시작하는 계절이 되는 것이다. 17) 한로 (寒露_양력으로 10월 8일 경이 된다) : 열일곱 번째 절기로, 음력 9월에 든다. 계절이 익어가며 숲이 채색을 하는 계절.., 한해 농사의 결실을을 거두어 들이는 작업이 한창이며, 산에는 단풍이 무루익는 계절이다. |
| |
기온이 내려가고, 찬 공기로 서리가 맺히기도 한다. 여름과 겨울의 영향권이 바뀌는 시기이다. 18) 상강 (霜降_양력으로는 10월 23일~24일 경이 된다) : 열여덟 번째 드는 절기로, 음력 9월이 된다. 가을의 끝자락을 알리는 절기로 '입동'전 날씨는 맑고 청정하나가 밤에는 기온이 더욱 낮아지고 수증기가 엉겨 서리가 내리게 되는 '늦가을'을 맞는다. |
|
19) 입동 (立冬_양력으로 11월7일~8일 경이 된다) : 사계절중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음력 10월에 드는 열아홉 번째 절기이다. 예로부터 우리의 주요 먹거리이며, 반찬인 김장김치를 이 입동을 전후하여 담그기 시작하였다. 20) 소설 (小雪_양력으로 11월23일~24일 경이 된다) : 이십사 절기 중 스므번째 드는 절기로 음력 10월에 든다. 21) 대설 (大雪_양력으로 12월 7일~8일 경이 된다) : |
|
소설 이후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절기라는 대설은 음력으로 11월에 든다. 22) 동지 (冬至_양력으로 12월22일 경이 됨) : '대설' 이후, 일년 중에 밤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반면에 낮이 가장 짧아지는 날이다. 즉 일년중 태양을 볼 수 있는 시간이 가장 짦아지는 날이다. 그래서 고대인들은 이 날 태양신에 대한 제사를 올리기 시작하였다. 23) 소한 (小寒_양력으로는 이듬해 1월 5일 경이 된다) : 이십사 절기 중 24번째인 '대한'의 바로 앞에 드는 절기로, 음력으로는 12월에 드는 절기이다. 절기상으로는 대한이 가장 추우나, 우리가 느끼는 추위는 이때가 가장 춥다고 한다. | |
그래서 인지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 또는 "소한 추위는 꿔다가 라도 한다"라는 속담의 내용이 전해한다. 24) 대한 (大寒_소한 이후 양력 1월20일 경이 된다) : 절기상 가장 나중에 오는 절기로 음력으로 12월(섣달)을 맺는 절기가 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