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대(메디아 Media 뜻:헤아림 ) < 글 : 짙은잿빛구름 >
메대는 영어 Media(메디아)의 음역입니다.
지명으로, 아시아의 자그로스 산맥의 동쪽, 카스피해 남쪽, 바대 서쪽, 엘람 북쪽에 있는 산악국
(현재의 이란 고원)
길이 약 960㎞,너비약400㎞으로서 그 면적은 약 38만4천㎢이고, 전성기에는 더 넓었습니다.
메대의 대부분은 900m의 높은 고원 지대인데,
나머지 부분은 서북쪽에서동남쪽으로 달리는 일곱 가닥의 병행한 산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비옥하고 물이 풍부한 곡간(谷間)이 있었습니다.
메대인은 BC 1400-1000년 경 이란 지방에 다른 민족과 같이 이동하여 왔습니다.
창세기 10장에서 볼 수 있는 제국민표에서는 메대(마대)는
고멜, 마곡, 야완, 두발, 메섹, 디라스등과 같이 야벳의 아들로 되어 있습니다(창 10:2).
고대 메대에 대해서는 앗시리아의 자료에서 알수 있는데,
앗시리아 왕 살만에셀 Ⅲ세(Shalmaneser Ⅲ, BC 858-824)가 북쪽으로 원정하여
발수아(Parsua)인의 영토에 침입하고,
이어서 남쪽으로 바꾸어 메대인이 땅에 들어간것을 알리는 1절에서 `메대인'의 이름이 처음으로 나옵니다.
샴시 아닷 Ⅴ세(SamsiAdad Ⅴ, BC 823-810 재위), 디글랏 빌레셀 Ⅲ세(Tiglath-pileser Ⅲ, BC 745-727 재위), 사르곤 Ⅱ세(Sargon Ⅱ, BC 721-705 재위), 산헤립(Sennacherib, BC 705-681 재위)등의 제왕에 관한 기록에 의하면,
약 2세기에 걸쳐 앗시리아와 메대간에 접촉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B.C. 715년 앗시리아의 사르곤에 정복당한 메대는
그 후, 7세기 중엽 무렵까지 앗시리아의 지배아래 있었던 듯 싶습니다.
이후 산발적인 반항을 하며 앗시리아에 저항한 메대는,
이후 바벨론에게 멸망 당한 뒤, 더이상 역사의 주요 무대에 나타나지 않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사산(Sassan)왕조 시대의 속주 리스트 중에 메대의 이름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메대'라는 이름 자체는 후대에도쓰인 듯합니다.
무슬림들은 고대 메대에 해당하는 지역을 `지발'(Jibal)이라 부릅니다.
바사도 Persia(페르시아)의 음역입니다.
바사의 땅은 대략 현재의 이란에 해당합니다.
바사는, 동쪽은 인더스 강에서 서쪽은 티그리스, 유브라데 강에 이르기까지의 이란 고원 지대에 위치합니다.
이 지방에는 카스피 사람(Caspians)이 원주민으로서 거주하고 있었는데,
BC 1500년 경 아리아 사람(Aryans)이 이 땅에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이란'이란 "아리아 사람의 (땅)"을 의미하죠.)
이란 고원에 침입한 아리아인 중 메대인과 바사인이 역사상 커다란 역할을 하게 되었다.
메대인은 바사인보다도 한걸음 앞서 세계사의 무대에 등장하여 신 바벨론과 협력하여 앗수르를 멸망시키기 위해 한몫을 했습니다.
하지만 고레스 Ⅱ세는 바사의 왕위에 오르자마자 그의 외가인 메대 왕가를 멸하고
마침내 바벨론까지 정복하게 되죠.(BC 539).
이사야서는 이 고레스 Ⅱ세 대왕을 "나의 기름 받은 고레스"(사 45:1)라 부르고 있습니다.
고레스는 종교 정책에 있어서 매우 관대해서,
바벨론에 끌려간 유대인을 해방하기도 합니다.
피정복 백성의 종교나 법률이나 풍습을될 수 있는 대로 존중하는 유화정책은
그후부터 바사 왕의 정통으로서 계승되었으며,
바사제국이 200년 동안의 수명을 보존한 요인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고레스 대왕 이후 혼란해진 바사의 국내 정세를 안정시키고 제국의 통일을 회복시킨 것이
다리오 Ⅰ세 대왕(Darius Ⅰ, BC 522-486 재위)입니다.
다리오는 가우마다를 중심으로 반란을 꾀한 제후를 정복하고
제국을 재통일한 인물입니다.
그 경위를 적은 전승 기념비가 유명한 `베히스단 암벽의 비문'(In-scriptions ofthe Behistun Rock)입니다.
다리오 왕은 각지의 반란을 진압한 후 고레스에 의해 시작되었던 제국내의 행정 조직의 완성을 꾀합니다.
전토를 20 사트라비로 나누고 각각 방백(Satrap, 스 8:36, 에 3:12,단 3:2-3 참조)을 두고
제국내의 신민을 그 전통이나 습관을 중히 여겨 평등하게 처우하도록 유의하였습니다.
다리오 왕은 사드라비를 과세 단위로 하는 신세제를 마련하여
국가 재정을 확립시켰을 뿐만 아니라,
화폐를 발행하여 국가 경제의 진흥에도 진력하였습니다.
이렇게 하여 제국내 각지에 경제적 번영이 재래되었으며,
그에 따라 지방 경제권 사이에 유통성이 생겼습니다.
제국의 경제는 부흥했고, 곧 헬라나 지중해 연안 지방과의 교역으로도 발전했습니다.
경제의 발전과 더불어 교통도 좋아져서
수산에서 사대, 베소에 이르는 `왕의 길'은 특히 유명했습니다.
파발마(擺撥馬)의 제도도 창설되었고,
평전시를 불문하고 제국의 통일과 발전에 크게 공헌했습니다.
다리오는 또 페르세폴리스(Persepolis)에 대궁전의 건축을 개시하였는데,
그 공사는 후에 세르크세스 1세(Xerxes I)가 인수하여 완성하였습니다.
그 후 아닥사스다가 증축하였기 때문에 이 전 건축은 3대에 걸친 대역사였죠.
다리오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 크세르크세스 Ⅰ세(BC 486-465 재위, 스 4:6의 `아하수에로스')가 즉위하였는데,
그가 바로 살라미스 해전 등으로 유명한 페르시아 전쟁을 일으킨 장본인 입니다.
그는 후에 신하들에 의해 암살되고 맙니다.
크세르크세스 I세 암살 후의 혼란을 수습하고 왕위에 오른 것은 아닥사스다 Ⅰ세(BC 465-424 재위, 스 4:7의 왕)였습니다.
그는 아테네를 비롯한 그리스 제국과 화친을 꾀했고,
그 결과 동서의 문화 교류가 왕성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무렵부터 바사는 정치적으로도 문화적으로도 퇴보하기 시작합니다.
그 다음 바사 제국의 왕은 크세르크세스 Ⅱ세(BC424-423 재위), 다리오 Ⅱ세(BC 423-401 재위), 아닥사스다 Ⅱ세(BC404-358 재위, 스 7:1의 왕), 아닥사스다 Ⅲ세(BC 358-338 재위), 아르세스(Arses, BC 338-336 재위), 다리오 Ⅲ세(BC 336-331 재위, 느 12:22의왕)로 이어지나 왕실 내의 내홍(內訌)이 꼬리를 잇고 점차 그 세력이 약화되어 갑니다.
그리고 마침내는 마게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이 익수스의 싸움(BC 333)과 가우가메라 아르베라 회전(BC 331)에서 바사 제국군을 격파하고
바사 제국을 멸망시켰습니다.
참고적으로,
메대와 바사는 매우 가까운 민족으로,
세계사에서 때때로 서로 혼동되거나 함께 쓰이곤 합니다.
'메대-바사 제국'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