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 소개 ◀
2000년대 초반 중국발 황사로 인하여 정부는
'황사피해방지종합대책'을 만들어 시행해 왔지만, 10여년이 지난 최근에는 미세먼지라는 더 위험한 대기환경의 공격에 국민 건강이 위협받고 있으며,
일상생활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근래 중국을 중심으로 동북아시아에서 발생되는 고농도 미세먼지 오염현상은 런던형 스모그, 로스엔젤레스형 스모그에
이은 신형 스모그로 아직 그 정체가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미세먼지는 단순히 십
마이크론(micron, μ) 크기보다 작은 먼지라고 단정 지을 수 없는 대기오염 물질로, 대기 중 온갖 오염물질들이 복잡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미세먼지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미세먼지는 우리 주변 환경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건강, 산업, 기후변화, 생태계 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정부에서는 2016년 6월부터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연구기획위원회를 구성해 과학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대응전략을 마련한 바 있으며,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에도 미세먼지를 선정함으로써 미세먼지의 해결뿐
아니라 산업적 성장가능성을 높이는 투트랙 전략을 추진 중 에 있다.
정책적으로 단기적으로는 화력발전소 축소와 노후 경유차 감축,
신재생에너지와 친환경차의 보급 등이 우선 검토되고 있으나 미세먼지 관리 기술에는 보다 많고 다양한 융복합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 산업
전반에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주요 기술은 미세먼지 관리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에서는 다행이 KIST를 비롯한 정부출연연구소에서 미세먼지의 생성 및 외부 유입을 규명할 수 있는 정밀 측정분석
기술, 방대한 관측자료 수집결과를 예보에 활용할 수 있는 빅 데이터 정보 분석 기술 등을 이미 보유하고 있으며, 또한, 산업단지 사업장의
배기가스 중 미세먼지를 생성하는 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을 낮은 온도에서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촉매기술을 개발해 제철소, 선박 배연가스 처리
분야에 이미 적용한 바 있다. 이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국민적 관심이 큰 대형 화력발전소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외에 기존 사업장의 협소한
공간에도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특수 미세먼지 집진(集塵) 기술 등도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기업, 대학, 민관연구소의 협력을
통해 더욱 더 진화한 기술개발과 현장 실증을 거친다면 국내의 미세먼지 배출량을 저감시킬 뿐 아니라, 나아가 중국, 동남아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해 침체된 환경산업의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는데도 큰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당사는 “미세먼지 국내외 관련 산업 이슈분석과 주요
핵심사업 기술 및 시장전망” 보고서를 통하여 미세먼지 분야의 사업자, 마케팅 기획자, 연구개발 종사자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본서를
발간하게 되었다.
▶ 주요 목차 ◀
Ⅰ. (초)미세먼지 개요와 주요 정책 추진동향
1. (초)미세먼지의 개념과
현상 1-1. 개념과 특징 1-2. 국내 미세먼지 현상과 주요 이슈 1-3.
미세먼지 측정기술과 최근 동향 1-4.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 대책 2. 미세먼지 관련 국내 정책동향과 전략
2-1. 미세먼지관리 특별대책과 세부 이행계획 2-2. 과학기술기반 미세먼지 대응 전략
3. 9대 국가 전략 프로젝트와 미세먼지기술개발 3-1. 9대 국가 전략 프로젝트
3-2. 초미세먼지 국가 전략 프로젝트 2017년 시행계획 4. 환경부와 지자체 미세먼지 관련 정책 동향
4-1. 환경부의 주요 사업 4-2. 지방자치단체별 미세먼지 관리대책 5. 최근 국내
미세먼지 관련 주요 동향 5-1. 빅데이터 기반 안전관리 대책 수립 5-2. 분진흡입청소 차량 투입
확대
Ⅱ. 미세먼지 발생원별 대응전략 동향
1.
수송부문 미세먼지 관리와 대응 전략 동향 1-1. 수송부문 미세먼지 관리와 동향 1-2. 친환경차
보급 전략과 전망 2. 발전부문 미세먼지 관리와 대응 전략 동향 2-1. 발전부문 미세먼지 관리와 동향
2-2. 에너지신산업 육성 추진 정책 개요 2-3. 에너지신산업 관련 분야 2016년 제도개선 동향
2-4. 비상(예비)전원용 전기저장장치 적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주요 내용 2-5. 에너지 신산업
확산을 위한 주요 프로젝트 2-6. 친환경 에너지 타운 종합계획과 추진현황 2-7. 에너지절약형
건물(ZEB)분야 중장기 기술개발 목표 2-8. 에너지신산업 분야 2016년 주요 추진성과 3. 기타
미세먼지 관련 주요 시장 동향 3-1. 대기오염방지장치(집진기) 3-2. 질소산화물 제거와 촉매기술
3-3. 필터, 여과지, 마스크 3-4. IOT시대 센서 기술을 통한 미세먼지 대책
Ⅲ. 미세먼지 관련 기술동향과 기술개발 사업 현황
1. 미세먼지 관련 분야 주요 특허 동향 1-1. 국내 특허청 분석 자료 2. 미세먼지
관련 기술개발사업 현황과 연구테마 2-1. 나노, 소재 기술개발 사업 과제 2-2. 산업핵심 기술개발
사업 과제 2-3. 환경기술 개발사업 과제(2017년 대기, 미세먼지 분야) 2-4. 환경기술
개발사업 과제(2016년 대기, 미세먼지 분야) 2-5. Non-CO2 온실가스저감 기술 개발사업 과제(2016)
Ⅳ. 미세먼지 관련 온실가스, 기후변화 대응기술 개발전략과 동향
1. 신기후변화체제 등장과 기후변화 대응기술 1-1. 파리기후협약과 온실가스, 기후변화 대응기술
1-2. 청정에너지기술 1-3. 국내 신/재생에너지 주요 정책 추진현황 2.
온실가스감축과 기후변화 대응 기술 로드맵 2-1. 기후변화 대응 기본계획과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2-2. 기후변화 대응 기술 로드맵(CTR : Climate Technology Roadmap)
Ⅴ. 미세먼지 관련 사업 참여 기업 사업동향
1. 집진기, 촉매, 필터,
배기가스 솔루션 기업 1-1. KC코트렐㈜(코스피) 1-2. ㈜나노(코스닥)
1-3. ㈜에코프로(코스닥) 1-4. ㈜크린앤사이언스(코스닥) 1-5.
㈜웰크론(코스닥) 1-6. ㈜성창오토텍(코스닥) 1-7. ㈜케이엠(코스닥) 2.
공기청정기, 환기시스템, 위생기기 기업 2-1. 삼성전자㈜(코스피) 2-2. LG전자㈜(코스피)
2-3. 코웨이㈜(코스피) 2-4. ㈜경동나비엔(코스피) 2-5.
㈜위닉스(코스닥) 2-6. ㈜대유위니아(코스닥) 2-7. ㈜솔고바이오(코스닥)
2-8. ㈜디에이치피코리아(코스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