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 역사' 발렌시아가 드디어 '실용성'을 입다 (출처: 한국경제)
프랑스 럭셔리 브랜드 발렌시아가(Balenciaga)는 스페인 출신의 크리스토발 발렌시아가가 1919년에 만들었다. 1936년 프랑스 파리에 진출하면서 패션계를 뒤흔들어 놓은 이 브랜드는 양가죽, 송아지 가죽 등을 활용해 모터백, 빠삐에 라인 핸드백 등 다양한 베스트셀러를 만들어왔다.
오랜 역사를 가진 발렌시아가는 지난해 연말 큰 뉴스를 발표했다. 바로 1984년생인 알렉산더 왕을 새 디자이너로 영입한 것이다. 그는 미국 뉴욕 파슨스디자인스쿨을 중퇴한 뒤 자신의 브랜드를 만든 지 5년도 채 안 된 젊은 디자이너다. 중국계 청년이 유서 깊은 패션 브랜드의 수장에 오른 것은 파격으로 받아들여졌다.
발렌시아가로 자리를 옮긴 알렉산더 왕의 첫 데뷔작이 최근 국내에 선을 보였다. 올가을·겨울 컬렉션 신제품에서 그는 벨벳, 가죽, 크레페(crepe) 등 독특한 소재를 많이 사용했다. 특히 지금까지 발렌시아가에선 볼 수 없었던 동물의 털을 활용해 좀 더 고급스러운 느낌도 강조했다. 색상은 검은색과 흰색을 기본으로, 크림색과 회색 등 무채색을 고집했다.
바느질을 전혀 하지 않고 레이저 커팅 기법으로 재단한 블라우스 등 선을 두드러지게 한 디자인으로 여성미를 강조한 점이 눈길을 끌었다. 재킷 역시 옷핀 모양의 큼지막한 실버 메탈 잠금장치를 전면에 배치, 어깨선과 목선 등을 부드럽게 해 우아함을 살렸다.
가방에서는 그간 발렌시아가의 고전적인 모터백 디자인을 업그레이드하는 한편 ‘르 딕스’ ‘말리온’ 등 클래식한 새 디자인의 제품을 처음 선보였다. 르 딕스는 앞 잠금장치와 손잡이 이음장치를 메탈로 만들었고, 말리온은 옷에 달았던 실버 메탈 잠금장치를 똑같이 활용했다. 둘 다 20~40대 직장인 여성들이 일상적으로 들기 좋은 디자인이라는 설명이다.
대리석의 갈라진 석고처럼 자연스럽게 크랙(금)이 간 무늬를 옷과 신발, 가방에 접목한 것도 알렉산더 왕의 작품이다.
발렌시아가코리아 측은 “정(靜)이 동(動)과 대립하면서 잘 어우러지는 것을 표현한 것”이라며 “특히 크랙 무늬의 니트는 니트 위에 석고처럼 표현하기 위해 페인트를 한 겹 입힌 뒤 이를 일일이 손으로 찢어 효과를 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을 일일이 동글게 말아 만든 점을 옷 전면에 수놓은 재킷도 주목받았다. 이 방식은 점프 슈트, 블랙 이브닝드레스 등 다양한 옷에 적용됐다.
그동안 한섬을 통해 국내에 들어왔던 발렌시아가는 지난해부터 한국지사를 설립, 직접 국내 매장을 관리할 정도로 한국 시장에 관심이 높다.
전지현 발렌시아가코리아 지사장은 “이번에 파리에서 열린 가을·겨울 신제품 패션쇼를 본 뒤 ‘알렉산더 왕이 일을 저질렀다’는 반응이 많았다”며 “입고 싶은 옷, 갖고 싶은 가방 등 좀 더 자신의 색깔을 입힌 독창적이면서도 실용적인 제품이 주를 이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알렉산더 왕, 발렌시아가를 진짜 떠난다 (출처: 허핑턴포스트코리아)
프랑스 패션 브랜드 발렌시아가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알렉산더 왕과의 계약 만료를 공식 발표했다. 2012년 니콜라스 게스키에르의 후임이 된 지 3년 만이다.
발렌시아가는 7월 31일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발렌시아가와 알렉산더 왕은 재계약을 체결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패션매체 우먼스웨어데일리(WWD)는 같은 날 보도했다. 앞서 29일 WWD가 최초보도한 것처럼, 알렉산더 왕의 마지막 발렌시아가 패션쇼는 오는 10월 2일 2016 S/S다.
발렌시아가는 알렉산더 왕과 재계약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다만 "적절한 때"에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발표하겠다고 전했다.
이번 일에 대한 패션 업계의 반응은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다. 불미스러운 일로 계약 해지를 통보받은 것도, 실적이 부진해서 떠나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발렌시아가의 모회사 케어링 그룹의 CEO 프랑소와 앙리 피노는 보도자료에서 "지난 수 년간 브랜드의 역동적인 성장은 알렉산더 왕의 성공적인 업적을 증명한다"고 전했다. 실제로 발렌시아가는 최근까지 두 자릿수의 성장을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었다.
뉴욕타임스는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지난 3년에 대해 알렉산더 왕과 발렌시아가 모두에게 밑지지 않는 시간이라고 평가했다. 우선 알렉산더 왕은 2012년 28세라는 젊은 나이에 100년 역사를 자랑하는 프랑스 브랜드의 수장이 됐다. 이미 뉴욕의 젊은 '스타 디자이너'였지만, 발렌시아가를 통해 국제적으로 디자이너의 입지를 다지는 계기가 된 것이다.
발렌시아가 또한 브랜드의 이미지를 다방면으로 확장하는 계기가 됐다. 뉴욕타임스는 "창립자 크리스토발 발렌시아가가 세운 신성한 패션 하우스에 티셔츠로 유명했던 뉴욕의 젊은 디자이너를 파격적으로 영입함으로써, 15년간 전임자 니콜라스 게스키에르가 만든 이미지를 탈피했다"고 전했다.
자 이제 시선은 알렉산더 왕의 후임자로 쏠리게 됐다. 케어링 그룹이 구찌의 사례처럼 내부의 인물을 지명할지, 혹은 파격적으로 외부의 인물을 영입할지, 난무하는 추측은 이제부터 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