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회로에 대해 알아봅시다 - 3 : 전원 안정화 회로
앞서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와 평활회로에 대해 개략적으로 알아보았습니다.
정류회로와 평활회로를 거친 직류 출력은 입력 전원의 변동이나 부하 변동에 의해 변할 수 있는 비안정 전원으로
이를 안정화 시키기 위해서는 안정화 회로를 사용해야 한답니다.
이러한 전원 안정화 회로에 대해 알아봅시다.
전원 안정화 회로는 부하단자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전류와 부하단자 전압을 일정하게 하는
정전압 안정화 회로가 있답니다.
보통 전원 안정화 회로는 부하 저항값이 변하여 부하에 흐르는 전류가 변화하더라도 부하양단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해야하는 정전압 회로를 말하게 되는데, 이러한 정전압 회로는 기본적으로 제너다이오드를 사용하게 된답니다.
제너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원 안정화 회로에서는 출력의 전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회로가 필요하게
되는데, 회로가 부하와 병렬로 연결된 병렬형 안정화 회로와 회로(Shunt Regulator)가 부하와 직렬로 연결된
직렬형 안정화 회로(Series Regulator)로 구분된답니다.
병렬형 안정화 회로를 살펴보면 안정화 회로가 부하와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답니다.

병렬형 안정화 회로
회로동작은 부하 전류가 증가하면 병렬 회로의 전류는 감소되고, 부하전류가 감소하면 병렬회로의 전류는 증가되어
공급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므로 전압도 동일하게 유지되게 된답니다.
이러한 병렬형 안정화 회로는 회로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과부하시 과전류에 강하나, 전력 소비효율이 나쁘고,
부하전류가 변동하면 안정도가 떨어져 출력 전류가 작은 회로에 사용한답니다.
직렬형 안정화 회로를 살펴보면 안정화 회로가 부하와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답니다.

직렬형 안정화 회로
회로동작은 공급된 전압에서 안정화 회로의 제어 전압을 뺀 전압을 부하에 공급하는 방식이랍니다.
이러한 직렬형 안정화 회로는 병렬형에 비해 효율은 좋지만, 부하의 단락시 안정화 회로에 과부하가 걸리게 된답니다.
다음은 전원안정화 회로중의 하나인 정전압 회로에 대해 알아보기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