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제국기(海東諸國記)>
[어음번역(語音飜譯)]
유구국(琉球國) 유구어(琉球語)
<번역문(飜譯文)>
[어음번역(語音飜譯)]
伱是那裏的人 → 우라마피츄 : 너는 어디 사람인가?
我是日本國的人 → 마온야마도피츄 : 나는 일본국 사람이다.
伱的姓甚麽 → 우라나와이갸이우가 : 너의 성은 무엇인가?
伱的父親有麽 → 우라야샤아리 : 너는 부친이 있는가?
伱哥哥有麽 → 우라신자아리 : 너는 형님이 있는가?
伱姐姐有麽 → 우라아아리 : 너는 누이가 있는가?
妹子有麽 → 오라리아리 : 여동생이 있는가?
伱幾時離了本國 → 우라읻시마타졔ㄱ : 너는 언제 본국을 떠났는가?
我舊年正月起身 → 마온구죠쇼옹과탈졔 : 나는 거년 정월에 떠났다.
伱幾時到這裏 → 우라읻고마가 : 너는 언제 이곳에 도착하였는가?
我們今年正月初三日纔到這裏 → 마온구두ㅅ사옹과취라지긷졔 : 우리들은 금년 정월 초 3일에 겨우 이곳에 도착하였다.
伱初到江口是好麽 → 우라믿라모도징가 : 너는 처음에 항구에 도착하매 좋던가?
一路上喫食如何 → 우라민지민지아긔모로란도 : 오는 길에 밥 먹기가 어떻던가?
多酒 → 오부시 : 술이 많았다.
好下飯 → 오샤가라나 : 반찬이 좋던가?
無甚麽好下飯 → 사가나무야랴랃루모 : 반찬이 별것이 없었다.
請一鍾酒 → 긔부테이긔라 : 술 한 잔 들어라.
湯酒 → 고와가시 : 술을 데우랴.
灑酒來 → 사긔와가지구 : 술을 걸러서 오너라.
撒酒風 → 가구뤼 : 주기(酒氣)가 있으니.
不要饋他喫 → 아로마라 : 저 사람에게 먹이지 말고.
小饋他喫 → 예계나구로마셰 : 저 사람에게 조금만 먹여라.
酒盡了 → 긔미나랃디 : 술이 다 없어졌다.
請裏頭要子 → 우지바라왜쳐아비 : 안방에 와서 놀자.
平坐 → 마고유왜리 : 편히 앉아라.
面紅 → 라루아개 : 얼굴이 붉다.
面白 → 자라루시루사 : 얼굴이 희다.
這箇叫甚麽子 → 구야루욱가 : 이것은 무엇이라 하는가?
這箇人心腸好 → 고노피죠기모로요다 : 이 사람은 마음이 좋다.
這箇人心腸惡 → 고노피죠기모로요왈사 : 이 사람은 마음이 나쁘다.
天 → 텬 : 하늘
天陰了 → 텬구모데 : 날씨가 흐렸다.
天晴了 → 텬과리데 : 날씨가 개었다.
下雨 → 아믜믈데 : 비가 내린다.
雨晴了 → 아믜과릴데 : 비가 개었다.
下雪 → 유기푸리 : 눈이 내린다.
雪住了 → 유기피굄니 : 눈이 그쳤다.
日頭 → 텬다 : 태양.
日頭上了 → 텬다앙갇데 : 해가 떠오르다.
日頭落了 → 텬다야며잇데 : 해가 지다.
風 → 칸피 : 바람.
天亮了 → 이우가미 : 날이 새었다.
淸早 → 믜지 : 이른 아침.
晌午 → 필마 : 오정 때.
晚夕 → 요감븨 : 저녁 때.
黑夜 → 이우루 : 밤.
白日 → 피루 : 낮.
暖和 → 록시 : 날씨가 따스하다.
天熱 → 악사 : 날씨가 덥다.
凉快 → 다 : 날씨가 서늘하다.
向火 → 피루구미 : 불을 쬐다.
春 → 파루 : 봄.
夏 → 낟 : 여름.
秋 → 아기 : 가을.
冬 → 퓨유 : 겨울.
今日 → 쿄오 : 오늘.
昨日 → 커리우 : 어제.
明日 → 아자 : 내일.
後日 → 아삳지 : 모레.
這月 → 고로기 : 이 달.
來月 → 뎨왕과 : 내 달.
開年 → 먀우년 : 새해.
拜年 → 쇼용과노패 : 새해를 축하함.
地 → 지 : 땅.
地平正 → 지마상고 : 땅이 평평하다.
山頂 → 노지 : 산꼭대기.
山底 → 사노시 : 산아래.
大路 → 오부미지 : 큰 길.
小路 → 구미지 : 작은 길.
酒 → 사긔: 술.
白酒 → 링가나긔 : 소주 즉 배갈.
淸酒 → 요가긔 : 맑은 술.
飲酒 → 누미 : 술을 마신다.
酒有 → 사긔아리 : 술이 있다.
酒無了 → 긔 : 술이 없다.
酒醉了 → 긔이우디 : 술에 취했다.
飯 → 음바리 : 밥.
喫飯 → 앙긔리 : 밥을 먹는다.
做飯 → 오바리데 : 밥을 짓는다.
大米飯 → 코메로오반리 : 쌀밥.
小米飯 → 아와로오반리 : 좁쌀밥.
做下飯 → 사가나□라리 : 반찬을 만든다.
師米 → 고믜시랑가지 : 쌀을 찧는다.
肉 → 시시 : 짐승의 고기.
魚 → 이우 : 생선.
鹿肉 → 카우루시시 : 사슴 고기.
猪肉 → 오와시시 : 돼지 고기.
兎肉 → 우상가시시 : 토끼 고기.
油 → 부라 : 기름.
鹽 → 마시오 : 소금.
醬 → 미쇼 : 간장.
醋 → 우 : 식초.
芥末 → 난다리카다시 : 개자가루.
胡椒 → 코슈 : 후추.
川椒 → 산시오 : 조피나무.
生薑 → 옴가 : 생강.
葱 → 깅비나 : 파.
蒜 → 픠루 : 마늘.
菜蔬 → 쇼 : 소채.
燒茶 → 차와가시 : 차를 끓이다.
甜 → 아미 : 맛이 달다.
苦 → 리가 : 맛이 쓰다.
酸 → 사 : 맛이 시다.
淡 → 아바사 : 맛이 싱겁다.
醎 → 시바가나 : 맛이 짜다.
辣 → 카니 : 맛이 맵다.
硯 → 리 : 벼루.
墨 → 미 : 먹.
筆 → 푼디 : 붓.
弓 → 이우미 : 활.
箭 → 이야 : 화살.
弓帒 → 이우미누 : 활집.
箭帒 → 이야누 : 화살집.
弓弦 → 이우미누됴누 : 활 줄.
窓 → 로오리 : 창문.
門 → 요 : 문.
掛帳 → 바 : 천막.
帳 → 미구 : 장막.
席子 → 모시루 : 돗자리.
靴 → 픠상가 : 장화.
紙 → 카미 : 종이.
匙 → 캐 : 숟가락.
筋 → 파시 : 젓가락.
篩 → 푸뤼 : 체.
梡子 → 마가리 : 주발.
砂貼匙 → 싀뢰 : 사기 접시.
木貼匙 → 파지 : 나무 접시.
樻子 → 카이 : 궤, 즉 나무로 짠 네모진 그릇.
刀子 → 카라나 : 작은 칼.
鍋兒 → 나븨 : 쇠 가마.
箒 → 과오기 : 먼지 쓸어내는 비.
火盆 → 피팔지 : 화로.
衣服 → 기루 : 옷.
袴兒 → 파가마 : 바지.
裙兒 → 카마모 : 치마.
瓦 → 카라 : 기와.
車子 → 구루마 : 수레.
卓子 → 타가 : 탁자, 물건을 올려 놓는 세간.
炭 → 미 : 숯.
柱 → 파냐 : 기둥.
身子 → 도우 : 신체.
面 → 라 : 얼굴.
眼 → 무 : 눈.
鼻 → 파나 : 코.
口 → 크지 : 입.
耳 → 미 : 귀.
頭 → 가난우 : 머리.
手 → 데 : 손.
足 → 피샨 : 발.
舌頭 → 시쟈 : 혀.
手指頭 → 외븨 : 손가락.
頭髮 → 카시리 : 머리털.
牙齒 → 파 : 이.
花 → 파라 : 꽃.
綠 → 오 : 녹색.
黑 → 구루 : 검은 색.
靑 → 탄쳥 : 푸른 색.
牛 → 우시 : 소.
馬 → 우마 : 말.
猪 → 우와 : 돼지.
鷄 → 투리 : 닭.
狗 → 이노 : 개.
羊 → 비쟈 : 염소, 소.
老鼠 → 오야비쥬 : 쥐.
蛇 → 파무 : 뱀.
龍 → 타 : 용.
象 → 자 : 코끼리.
獅 → 시시 : 사자.
虎 → 도라 : 호랑이.
홍치(弘治) 14년 4월 22일.
승문원(承文院)에 계하(啓下)하였다.
[출처=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원문(原文)>
[語音翻譯]
你是那裏的人우라마피츄我是日本國的人마온야마도피츄你的姓甚麽우라나와이갸이우가你的父親有麽우라야샤아리你哥哥有麽우라신자아리你姐姐有麽우라아아리妹子有麽오라리아리你幾時離了本國우라읻시마타졔ㄱ我舊年正月起身마온구죠쇼옹과탈졔你幾時到這裏우라읻고마가我們今年正月初三日纔到這裏마온구두ㅅ사옹과취라지긷졔你初到江口是好麽우라믿라모도징가一路上喫食如何우라민지민지아긔모로란도多酒오부시好下飯오샤가라나無甚麽好下飯사가나무야랴랃루모請一鍾酒긔부테이긔라湯酒고와가시灑酒來사긔와가지구撒酒風가구뤼不要饋他喫아로마라小饋他喫예계나구로마셰酒盡了긔미나랃디請裡頭要子우지바라왜쳐아비平坐마고유왜리面紅라루아개面白자라루시루사這箇叫甚麽子구야루욱가這箇人心腸好고노피죠기모로요다這箇人心腸惡고노피죠기모로요왈사天텬天陰了텬구모데天晴了텬과리테下雨아믜믈데雨晴了아믜과릴데下雪유기푸리雪住了유기피핃니日頭텬다日頭上了텬다앙갇데日頭落了텬다야며잇데風칸피天亮了이우가미淸早믜지晌午필마晩夕요감븨黑夜이우루白日피루暖和록시天熱악사涼快다向火피루구미春파루夏낟秋아기冬퓨유今日쿄오昨日커리우明日아자後日아삳지這月고로기來月뎨왕과開年먀우년拜年쇼용과노패地지地平正지마상고山頂노지山底사노시大路오부미지小路구미지酒사긔白酒링가나긔淸酒요가긔飮酒누미酒有긔아리酒無了긔酒醉了긔이우디飯음바리喫飯앙긔리做飯오바리데大米飯코메로오반리小米飯와로오반리做下飯사가나 缺 라리米고믜시랑가지肉시시魚이우鹿肉카우루시시猪肉오와시시兔肉우상가시시油부라鹽마시오醬미쇼醋우芥末난다리카다시胡椒코슈川椒산시오生薑옴가葱깅비나蒜픠루菜蔬쇼燒茶차와기시甜아미苦리가酸사淡아바鹹시바가나辢카니硯리墨미筆푼디弓이우미箭이야弓帒이우미누箭帒이야누弓弦이우미누됴누窓로오리門요掛帳바帳미구席子모시루靴픠상가紙카미匙캐筯파시篩푸뤼梡子마가리砂貼匙싀뢰木貼匙파지樻子카이刀子카라鍋兒나븨箒피오기火盆피팔지衣服기루袴兒과가마裙兒카마모瓦카라車子구루마卓子타가炭미柱파냐身子도우面라眼무鼻파나口크지耳미頭가난우手데足피샨舌頭시쟈手指頭외븨頭髮카시리牙齒파花파라綠오黑구루靑탄쳥牛우시馬우마猪우와鷄루리狗이노羊비쟈老鼠오야비쥬蛇파무龍타象자獅시시虎도라
弘治十四年四月二十二日
啓下承文院
[출처=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출처=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