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공 노트르담 대성당 건너편, 베트남 호찌민 시내 한복판에 있는 다이아몬드 플라자 정면 출입구 아치에 지난 15일 ‘LOTTE’ 간판을 새로 다는 행사가 열렸다. 1999년 한·베 우호를 상징하는 건물로 한국의 자본과 기술력으로 완공됐지만, 한국 기업의 이름이 새겨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롯데백화점이 2015년 포스코로부터 건물 지분 50%를 넘겨받은 이래 7년 만이다.
롯데백화점 호찌민점은 글로벌 명품 브랜드들이 가장 주목하는 백화점으로 부상 중이다. 롯데쇼핑이 ‘베트남의 봉마르쉐(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백화점)’를 기치로 내걸고 약 2년 간의 분투 끝에 베트남 유일의 ‘럭셔리 백화점’으로 재탄생시키고 있어서다. 베트남 명품 시장의 ‘테스트 베드’인 셈이다.
새단장 목표치의 70%를 마쳤을 뿐인데도 올 11개월의 매출이 이미 전년치를 넘었다. 길 건너 사이공센터에 입점해 있는 일본 백화점인 ‘다카시마야’와의 한·일 백화점 승부도 또 다른 관전 포인트다.
다이아몬드 플라자는 호찌민 시민들에겐 한국의 63빌딩 같은 곳이다. 2000년 개장 당시 현지인들이 난생 처음 보는 에스컬레이터에 신발을 벗고 탔다는 일화는 지금까지 회자된다. 화려한 조명으로 치장한 볼링장은 요즘 호찌민의 3040세대엔 잊지 못할 추억의 장소다. 인근에 통일궁과 사이공 노트르담 대성당 같은 명소도 즐비하다.
상징성이 풍부한 이 건물은 풍부한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방치돼다시피했다. 고급 백화점이라면 으레 있어야 할 브랜드조차 유치하지 못했다. 관광객이건, 베트남 현지인이건 백화점 쇼핑을 하겠다는 이들은 다카시마야로 몰렸다. 다이아몬드 플라자는 그저그런 한물간 옛 쇼핑 건물로 전락할 위기였다.
롯데쇼핑이 2015년부터 위탁운용을 맡긴 했지만, 롯데그룹의 내우외환이란 난관을 만났다. 중국 사업에서 강제로 손을 떼야하는 상황에 몰려 베트남 사업에 눈을 돌릴 겨를이 없던 것. 최용현 롯데백화점 호찌민 점장은 “VN스틸이라는 베트남 기업과 5대5의 합작 형태로 운영되다보니 의사 결정 속도가 매우 느렸다는 것도 문제였다”고 설명했다.
퇴직 임원 자리였던 곳에 '젊은 피'를 보내다
롯데백화점은 코로나19를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았다. 퇴직을 앞둔 임원 자리였던 호찌민 점장 자리에 40대 초반의 ‘영건(young gun)’을 파견했다. 최 점장은 백화점 상품영업본부 출신으로 에르메스를 잠실 롯데월드타워점에 입점시키는데 1등 공신 역할을 했던 인물이다. 최 점장은 30대 후반의 또래 영업팀장(이성현), 기획팀장(이상하)과 함께 동거동락하며 다이아몬드 플라자를 진짜 ‘다이아몬드’로 바꿔놨다.
올 초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점포 리뉴얼은 거의 모든 걸 갈아엎는 파격이었다. ‘화장실 입구에 걸릴 사진을 무엇으로 해야하나’라는 고민을 할 정도로 ‘디테일’의 변화에도 공을 들였다. 최 점장은 “화장실 공사에만 수억원이 들었다”고 말했다. 아무것도 없던 옥상은 ‘루프탑’으로 개조해 ‘뷰 맛집’으로 재탄생시켰다. 이 과정에서 베트남 공무원들과 겪었던 수많은 일화는 한 권의 책으로도 못 담을 정도로 다사다난했다.
최 점장이 이끄는 롯데의 ‘젊은 피’가 특히 공을 들인 건 브랜드와의 협상이다. 최 점장은 “50장 짜리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만들어 1000여 개의 해외 브랜드를 설득했다”고 말했다. 봄부터 시작된 약 3개월의 봉쇄 기간 중엔 다이아몬드 플라자에 있는 호텔 등에 직원 50여 명의 숙소를 만들어 동거동락하며 PPT 자료를 고치고 또 고쳤다.
첫댓글 베트남의 롯데 마트는 부동산 투자 업이 주업 입니다.
베트남에서 유통업(백화점, 마트),건설,신용카드, 등으로 돈 벌어서 모두 일본으로 가져가는 일본 기업 입니다.
어떤 지역의 마트는 하루 고객이 2~300명 밖에 안되어 고객보기가 힘든 마트도 있는데 자리는 약 40,000 스퀘어나 차지 하고 아스팔트,시멘트 포장 하지 않은곳은 잡초만 무성한 땅을 8년째 유지 하고 있죠.
언젠가 비싸게 팔수 있을거란 기대를 하고......
그 옆 주변에 백평씩만 사놓으면.
우리도 졸부 입니다. ㅋ ㅋ
근데 안 팔걸요?
그리고 사놓을 가치가 없어요.
앞으로 10년을 내다 본다면 가치가 있을지 몰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