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파랑길(Haeparang Trail)
'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보면서
너와 내가 함께 걷는 길'이란 뜻으로
부산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
강원도 고성군 통일전망대까지
동해안을 따라 걷는
총 길이 770km의 걷기여행길이다
2010년 9월 15일에 문화체육관광부가
동해안 탐방로 이름으로
해파랑길을 선정하였으며
2016년 5월에 정식 개통하였다
차안에서 본~~날씨가 좋을 것 같은 예감이다
미세먼지가 많다는 날씨를 접하고
아침저녁으론 좀은 쌀쌀하지만
확실히 다른 봄기운을 안고 해파랑길16코스를 걸으러 간다
작년에 걸었던 호미반도둘레길을 다시 걸어보는
그때의 첫느낌은 아니겠지만 또 다른 풍경을 기대 해 보면서
3시간 이상 달려 목적지에 도착하니
긴 시간 달려 온 보상을
시원한 바다가 뻥 뚫리게 해 준다
짭조롬한 바닷내음 크게 들이 마시고
지난번 끝낸 마산리에서 시작한다
미역 손질에 바쁜 마을사람들
마산리(馬山里)
금오산(231m)과 공개산(241m) 사이에 있는 술미산을 비롯한
작은 산들을 배경으로 하여 바닷가에 형성된 마을이다
마을 뒤쪽에 있는 산의 형상이 머리를 육지쪽으로 두고 꼬리를 바다쪽으로 하여
뛰어가는 말의 형상을 닮았다 하여 '말미' 또는 '마산'이라 하였다고도 하고
산에다 말을 놓아 먹였으므로 그렇게 불렀다고도 하며
마을 뒷산에는 말을 먹였다는 목장터가 있다고 한다
하선대(下仙臺)와 검둥바우 등 경치가 수려한 곳이 많아
여름철에 피서객과 낚시꾼들이 즐겨 찾는다
매년 9월 9일 마을 제당에서 원씨 터주 신위와
월성 이씨 골목 신위를 모시고 동제를 지낸다
마산리항
먹바우(검둥바위)
입석바위 두개가 나란히 있는 모양이 마치 돛을 두개 단 배 형상으로 보이는
이 먹바우(검둥바위)가 '연오랑세오녀'를 일본으로 싣고 간 배로 추정하고 있다고 한다
눈향나무 자생지
눈향나무는 측백나무과 상록침엽관목이다
이곳은 멸종위기 식물인 눈향나무가 분포되어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자생지이다
눈향나무는 원래 높은 산의 바위틈이나 해안 벼랑에서 자란다
호미반도의 척박한 퇴적층 벼랑에서 나무의 높이가 최저치에 해당할 만큼
나지막한 높이로 밀집돼 자라고 있는 모습이 마치 거북처럼 엉금엉금 기어가는 형상을 하고 있다
'누운향나무'로도 불리며 원대가 하늘로 향하지 않고 지표면을 따라 옆으로 누워서 자라는 특징이 있다
세계자연보존연맹(IUCN) 멸종위기식물 명단에 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산림청도 희귀·멸종 위기식물로 정해 법적으로 보호하고 있다
하선대(下仙臺)
동해면 입암리와 마산리 경계지점인 황옥포(黃玉浦)속칭 한미끼에 있는 널찍한 바위섬으로
작은 바위에 선녀가 내려와서 놀았다 하여 '하선대' 또는 '하잇돌'이라고도 한다
옛날 동해의 용왕이 매년 칠석날 선녀들을 이곳에 초청하여 춤과 노래를 즐기곤 하였는데
용왕은 그 선녀들 중에서 얼굴이 빼어나고 마음씨 착한 한 선녀에게 마음이 끌리어 왕비로 삼고 싶었으나
옥황상제가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나 용왕은 황제의 환심을 사기 위해 바다를 고요하게 하고 태풍을 없애는 등
인간을 위하는 일을 하자 황제가 감복하여 선녀와의 혼인을 허락하게 되었다고 하며
용왕과 선녀는 자주 이곳으로 내려와서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는 전설이 있다
힌디기
옛날 노씨(盧氏)가 처음 정착하여 살 때 좀 더 흥하게 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흥덕(興德)이라 하였는데 음이 변하여 힌덕, 힌디기로 불렸다고 알려져 있으나
호미반도는 화산 활동으로 발생한 지형으로서 활동 중 화산 성분의 백토로 형성이 되어
흰바위가 많아 흰 언덕, 흰덕으로 불렸고 흰덕에서 힌디기로 변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힌디기의 큰 구멍 앞에서 소원을 빌면 부자가 된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고 한다
이곳을 지나면서부터 킹콩(고릴라) 바위, 여왕바위, 안중근의사 손바닥바위, 바다속 주상절리
폭포바위, 남근바위 등 다양한 이름이 붙여진 바위들이 줄지어 서 있다
킹콩바위
여왕바위
선바우
마을 앞 해안에 선바우라 불리는 높이 6m 가량의 우뚝 선 바위에 연유한 이름으로
평택임씨가 처음 이 마을을 개척하였으며 입암(入岩)이란 지명은 '선바우'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전형적인 화산활동에 의한 지형으로 화산열에 희해 백토(벤토나이트 성분)가 들어나 있는 바위다
지금 바위는 벼락을 맞아 형태가 변형되었고 규모도 다소 작아졌다
입암리(立岩里)
예로부터 와룡득구지형(臥龍得球之形)이라 하여 명당으로 전하는
금오산(231m) 서북쪽 해안에 형성된 마을로
1리인 힌디기와 2리인 선바우 등 2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기한~~
입암항
연오랑세오녀 공원으로 오르고
연오랑세오녀 테마공원
2012년부터 총 사업비 330억 원을 투입하여
동해면 임곡리 82,637㎡(24,998평)의 토지 매입을 시작으로
2013년부터 본격적인 공사가 시작되었다
공원 입구에 들어서면 인공암벽과 연오랑세오녀 이야기 벽을 시작으로
한국뜰과 방지연못,영일만을 조망할 수 있는 일월대(日月臺), 연오랑세오녀가 타고 갔다는 쌍거북바위
초가집으로 조성된 신라마을, 철예술뜰의 예술작품 등 다양한 공원시설이 아기자기하게 조성돼 있다
작년에 세세하게 둘러 봤기에 오늘은 대충~~
일월대
사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문과 벽이 없으며 다락처럼 높이 지은 집이며
높은 지위와 고귀한 신분을 가진 사람 혹은 심리적, 정신적 고귀한 자들의 공간이다
단아함과 화려함이 특징이며 연회와 풍류를 즐기는 공간이 동시에 세상 이야기를 나누는 곳이기도 하다
쌍거북바위
연오랑세오녀 신화에 얽힌 쌍거북바위 이야기
신라 제8대 아달라왕(阿達羅王) 즉위 4년 정유(丁酉, 157)에
동해 바닷가에 나타난 거북바위는
해초를 캐던 연오를 일본의 한마을로 데려간다
일본 사람들은 바위를 타고 온 연오를 비상한 사람이라 여겨 그를 왕으로 추대하였다
한편 신라에 홀로 남겨진 세오는 몇 날 며칠 남편을 그리워하며 눈물로 밤을 지새웠고
연오 또한 아내 걱정에 시름시름 앓았다
생이별하게 된 연오랑세오녀 부부가 서로를 애타게 그리워하며 슬퍼하니
또 다른 거북바위가 이를 안타깝게 여겨 세오를 연오에게 데려다 주었다
다시 만난 두 사람은 '다시는 떨어지지 말고 평생 함께하자'라는 뜻으로
타고 온 두 거북바위를 합쳐 쌍거북바위로 만들었다
연오랑세오녀 부부가 떠난 후 신라에는 해와 달이 사라지는 기이한 일이 일어난다
아달라왕은 부부에게 돌아와 달라 청하였지만 이미 일본 마을의 왕이 된 부부는 돌아갈 수 없었다
대신 쌍거북바위에 세오가 짠 명주 비단을 실어 보내며 하늘에 제사를 지내라 하였고
그 말대로 제사를 지내니 신라에는 사라진 해와 달이 돌아와 빛을 되찾았다
사람들은 명주 비단을 싣고 온 '쌍거북바위'가 연오와 세오의 정기를 품었다 하여 귀하게 여기고
이 바위에 소원을 빌면 연오랑세오녀처럼 부귀를 얻고 부부의 금실을 좋게 하여 자손이 번창한다 믿었다
연오랑세오녀 부부의 정기를 품은 이 쌍거북바위는 몸길이 5.2m, 너비 4.0m, 높이 2.1m로 무게가 65톤에 달한다
들어 가 본다
귀비고(貴妃庫)
일월신화와 함께 연오랑세오녀 설화를 바탕으로 포항의 발전사와 연계하여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총사업비 100억 원을 들여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1,890㎡ 규모로 전시실, 영상관, 라운지 등
복합적인 시설들로 꾸며져 2019년 4월 17일 개관식을 가졌다
신라시대를 배경으로 한 귀비고는
경상북도 3대 문화권 문화·생태 관광기반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되었는데
애니메이션, VR 체험, 미디어 체험 등 다양한 기법으로 연오랑세오녀를 만나는 전시와
체험을 위한 공간으로 구성된 관람객 중심의 전시관이다
천장에 파도와 바다를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귀비고 2층
신라마을
평화로운 신라시대 바닷가 마을을 재현하여
철기 문화가 왕성했던 시대상을 전시
볏집으로 지붕을 엮어 만든집
선사시대에 본격적인 집의 형태가 생겨날때부터
20새가 중반까지 주로 서민들이 짓고 살았던 주택 형태이다
여담으로 초갓집이라 흔히 쓰지만
원래는 초갓집도 초가집도 아닌 초가가 올바른 말이다
철예술뜰
철과 관련된 다양한 예술품을 전시하여
이용객들에게 철기 문화의 의미를 상기시킬 수 있는 공간
원통으로 만든 조형물을 통해 영일만의 역사와
문화를 이루는 빛과 철을 의미한다
고려청자 형상을 재현함으로써 의지와 집념을 표현하며
과학기술과 철의 만남을 의미한다
임곡항
매화향이 진하게 코 끝을 간지럽힌다
임곡리(林谷里)
돼지산 북쪽 바닷가에 위치하는 마을로 입암리,석리,약전리와 경계를 접하며
1리인 숲실, 2리 인 조사리(造沙里)등 2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국여지승람과 대동여지도에 임곡포(林谷浦)란 지명으로 나오는 이 곳에는
조선시대에 해군기지인 영일진이 있었다고 한다
숲실[林谷]
숲이 우거져 있기 때문에 불리게 된 명칭이다
임곡교회가 있고 기자신앙(祈子信仰)을 간직한 애기바우가 애박골에 있다
매년 3월 10일 마을 제당에서 동제를 지낸다
조사리(造沙里)
해풍으로 인해 군데군데 모래가 쌓여 모래산을 이루는 곳이라는 뜻에서 불려진 이름이다
해안에 모래사장이 발달되어 있어 여름철에 피서객이 많이 찾아 든다
물이 많이도 빠졌다
연오랑세오녀 스토리텔링이 길게 쓰여 있다
솔밭숲길을 걷는다
도구리(都邱里)
동해면의 서쪽에 위치하며 청림동과 경계를 접하며, 남쪽에 해병부대가 있다
1리와 2리로 나뉘어져 있는 도구, 2리인 우물재, 3리인 농장(農場)등 3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진 마을로 최근 포항 시세의 확장으로 인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도구(都邱)
면소재리로 파출소,우체국,단위농협,시장,동해초등학교,포항동해중학교,포항정보여자고등학교
등의 공공기관과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현재1리에 해당하는 지역을 흔히 큰동네라고 부르며, 공공기관들은 2리에 분포되어 있다
동해초등학교의 선돌과 예비군훈련장 뒤의 고분군이 이 지역의 역사를 대변해 주고 있으며
시장터 위쪽에는 연오랑과 세오녀를 모신 일월사당이 있다
매년 4월초 큰동네에서는 현씨 터주 신위를 모시고
아름드리 해송 세그루가 있는 제당에서 동제를 지낸다.
우물재
마을 곳곳에 땅을 파면 시원한 물이 솟아난다고 하여 불려지게 된 이름이며,
천호라는 우물물은 특히 유명하다.
농장(農場)
1929년 일본인 중야륭(中野隆)이라는 사람이 일본으로부터 대량의 포도 묘목을 가지고 와
대규모의 포도농장을 만들었는데 이에 연유하여 불려지게 된 이름이다.
이육사(李陸史)의 시 '청포도'가 바로 이 농장과 영일만의 바다를 배경으로 하여 씌어졌다고 한다
도구해수욕장의 부드러운 모래 느낌을 느낀다
도구해수욕장
삼국유사에 나오는 연오랑세오녀의 전설이 서린곳으로
백사장 길이 800m, 폭 50m, 넓이 31,107㎡(12,000평) 규모로 하루 25,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각급 학교의 수련장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포스코 인근에 위치하고 있고 교통이 편리하므로 인근 포항동해중학교 시설을 일부 이용한
각급 학교와 일반 기업체의 하계수련장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작년 이맘때쯤 이 물결에 홀딱 빠졌던....
그때보단 뚜렷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이쁘다
포항에는 포항초로 유명한데 비닐하우스 안에 그 포항초가 자라고 있다
포항초
포항 인근에서 재배된 시금치
겨울 바닷바람의 영향으로 뿌리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잎이 퍼져 자라는 특성이 있다
차가운 해풍에 견디다 보니 당도가 높고 비타민,수분,식이섬유 함량이 많아
시금치 특유의 맛과 향이 진하여
드물게 '포항'이라는 지역명이 식재료의 이름으로 통용되고 있다
광대나물이 화사하게 피었다
백사장에 햇빛이 그린 그림
포항제철이 보이고.....
살랑살랑 봄바람이 푸른바다위에 겹겹의 물결을 만든다
해병대 상륙훈련장
다시봐도 신기하고 멋진 바람이 그린 그림
누구의 발자국인지 이쁘기도 하다
시원하고 상쾌한 바다를 뒤로하고
도로를 따라 걷는다
허브꽃도 피었다
해병북문교차로
냉천다리위 꽃 대신 보리를 심어 놓은.....이런 것은 처음 본다
포항제철을 오른쪽에 두고 끝이 안보이는 도로가를 걷는다
포스코2문
'Clean & Green POSCO'
포스코는 궁극적으로 포항제철소의 환경을 포항시내보다 깨끗한 환경으로 조성한다는 목표로
Clean & Gre en 운동을 전개하고 있는데 Clean & Green 제철소 실현을 위해 2008년부터
년간 약 4,000억원의 환경비용을 투입하고 있다고 한다
환경 투자의 예를 보면 제철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 대기오염을 줄이는데 중점을 두어
밀폐형 보관,저정하는 시설인 원통형의 사일로를 건설하여 원료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해 환경오염 및 원료 손실을 방지하고 있다고 한다
앙증맞게 피어 있는 민들레의 응원을 받으면서
포스코 본사 포항제철소
정문을 지나고
포스코 공장 내부와 연결되는 '괴동선' 철로
포스코1문
남천
형산큰다리와 구)형산교
구)형산교를 건너간다
형산강(兄山江)
대한민국의 동해로 흐르는 강 중 가장 긴 강으로
경북 경주시 서면 도리 인내산에서 발원한다
평야는 형산강평야(兄山江平野)라고 부르며, 인구 밀집지역이다
동해선과 국도 제7호선이 강을 따라 위치하고 있어 교통은 편리하다
형산강 하구에는 포스코의 포항제철소가 위치하여 공업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신라시대에는 수도를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하천 중의 하나였다
강 주변에는 신라 때의 고분군이나 유적들이 많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국가하천이며 그 구간은 경주시 탑동의 대천 합류점부터 하구까지다
현재까지 발원지가 어디인지의 논란이 많으나 국토교통부에서 발간한 한국하천일람에서 공인한
형산강의 최장 발원지는 '경주시 서면 도리,인내산'이다
건너 온 다리
형산강변따라 걸으니
바람이 제법분다
포항제철의 매케함이 다른곳보다 다름을 느낀다
화장실 모양도 특이하게
포항운하관
포항 운하 복원 사업인 동빈 내항 복원 프로젝트는 동빈 내항과 형산강을 잇는
1.3km의 수로를 복원하여 물길을 열어주는 사업이다
동빈 내항은 형산강이 영일만과 만나는 하류였으나 일제강점기 형산강의 직강 공사로
흐름이 단절되었으며 1970년대 제철소 건설로 인한 주거지와 상업지 조성 목적으로
형산강 수로를 매립함으로써 동빈 내항으로의 물길이 막혀 물이 오염되고
주변 지역의 침체가 지속되어 개발 대상으로 거론되어 왔다
이에 따라 2012년 5월에 착공하여 2014년 1월에 준공된 동빈 내항 복원 사업은
총공사비 1,600억 원을 들여 총 사업면적 96,455㎡(친수 공간 62,467㎡, 상업용지 33,988㎡)에
걸쳐 운하를 건설하고 그 곁으로 산책로와 자전거길 등 복합문화 공간을 조성하여
관광객뿐만이 아니라 포항시민들의 관광 및 휴양 공간으로 탈바꿈하였다
이 사업에는 그 위에 터전을 잡고 살았던 주민들과 상인들의 협조가 큰 역할을 했기 때문에
포항운하관에는 주민들과 상인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벽에 새겨놓았다
형산강 워터 폴리 전망대
형산강이 바다가 맞닿은 끝에 설치된 형산강 워터 폴리는
포항시의 세번째 워터 폴리로 높이 14.0m의 전구 모양의 독특한 유리조형물이다
일출을 형상화 한 이 폴리는 포스코의 야경과 어우러지며 아름다운 포항의 밤을 밝히는 명물이다
음악에 맞춰 조명이 바뀌는 포스코와 워터 폴리의 다이내믹한 야경쇼는 매일 저녁 7시부터 9시까지
매시 정각에 20분간 펼쳐지고 있다
'워터 폴리(water folly)'는 “조형물이나 장식용 건축물”을 설치해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도시재생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사업을 표현하기 위해 포항시청에서 워터(water)와
폴리(folly)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워터는 해안가를 의미하며 폴리는 정원 등에 짓는 조형물이나
어느정도 활용이 가능한 장식용 건축물을 말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정자와 비슷한 의미다
올라 가 보고.....
안내하시는분께서 밤에 와야 이쁘게 볼 수 있다고 하신다
유리계단을 밟으며 내려간다
세상에나~~~
백사장에 바람이 예술품을 만들어 놓았다
날리는 모래알은 표현키 어렵다
평화의여신상
송도해수욕장 여신상 광장 앞 횡단보도 옆에
16코스종점이자 17코스 시작 스탬프함이 있다
17코스 시작을 찍고 조금 더 진행하여 뒷풀이 장소로 간다
S자 형태의 송도 워터폴리
포항시 남구 송도동 254-634번지에 위치한
‘송도 워터 폴리’는 사업비 7억 9천만 원을 들여
연면적 620㎡, 높이 12.7m의 3층 규모로 2017년 6월 완공되었다
포항시의 비전을 표현한 ‘송도 워터 폴리’는 미래를 향해 꿈을 가득 싣고 세상으로
힘차게 날아오르는 포항시 시조(市鳥인 갈매기를 형상화했다
1층은 도로와 백사장 그리고 바다를 연결하는 휴게공간으로
2층은 계단부에 스탠드를 설치해 미팅 공간으로
3층은 뷰 공간으로 휴게 스탠드를 설치해
영일만의 경관과 도심의 야경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조성됐다
송도해수욕장
형산강이 동해와 만나는 입구에 있던 섬의 명칭인 분도(分島)와 해수욕장 일대의
본래 행정구역 명칭인 송정동에서 각각 한 글자씩 따서 송도라는 명칭이 생겨났다.
지금도 송도동은 대부분 섬으로 이루어져 있고 4개의 교량을 통해 육지와 연결된다.
송도해수욕장은 경상북도를 대표하는 해수욕장이었으나 백사장의 침식이 심화되어 폐장되었다가
2012년부터 다시 관광지로 개발된 해수욕장이다
무사히 한코스 마무리하고 솔밭에서 뒷풀이를 한다
**
바닷가를 걸을때는 좋았는데
포항제철 옆길을 걸을때는 차도 쌩쌩~~
매연도 폴폴~~
해파랑길 걸으면서 이런길 저런길 수많은 길들을 만나야겠지만
해파랑길에서만큼은 별 의미가 없는 것 같은 느낌의 길이었으며
송도해수욕장의 모래엔 완전 마음을 빼앗긴
봄내음 바다내음 마음 속 깊이 스민 날이었다
함께 하신 모든님...반가웠구요
수고 많으셨습니다
다음 코스때 뵙겠습니다^^
2023. 3. 5(일)
첫댓글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많은 공부가 되었네요.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자서히 소개해줘서
잘 보았습니다...
멋진 풍경에 해설까지^^^
재미있게 구경했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