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erisimilitude 진실인듯 함, 여실성
Verisimilitude는 배우의 연기가 줄거리나, 등장인물의 특징들이 관객의 경험이나 지식에 비추어 현실적이다라고 받아 들여질 수 있도록 설득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현실과의 유사성’을 뜻합니다.
어원적으로 볼 때도 쉽게 예측 할 수 있는데요, Verisimilitude는 라틴어로 진실을 뜻하는 ‘verum’에 비슷하다라는 뜻의 어원 ‘similis’에서 온 단어로, 그대로 조합하면 ‘진실과 비슷함’이란 뜻입니다. Verisimilitude는 등장인물에 대한구체적인 묘사나 생생한 설명, 생동감 있는 대화 등을 통해서 만들어지며, 특히 연극에서는 배경, 무대, 조명등도 이 Verisimilitude 사실성을 더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됩니다.
문학 사조상 살펴보자면 프랑스 신고전주의 극작가들이 이 여실성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 이론에 맞는 화법과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그들의 등장인물들은 현실적인 면모를 가지는 세련된 모습을 보이게 되었습니다.
나아가 이 개념이 가장 잘 구현된 것은19세기말 사실주의 작가들에 의해서 인데요, 사실주의 작가들은 그들의 작품 속에 실제 인물들의 언어와 태도, 의상과 소유물들을 매우 세밀하게 모방한 잘 다듬어진 등장인물들을 내보내고는 했지요.Verisimilitude는 장르를 가리지 않는 특성이기도 한데요, 장르상 현실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소재를 다루는 공상과학소설이나 초자연적인 이야기 등을 할 때에도 독자가 이야기의 테두리 안에서나마 사실로 믿도록 유도할 수 있어야 된다는 뜻
이기도 합니다.

SSAT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