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3년페리제독의 미국 함대가 막부에개국을 강요해, 다음 1854년 막부는미일 화친 조약을 체결했다. 1856년미국의 강한 요구에 의해, 막부는 조정의 칙허를 얻는 일 없이일·미 통상 수호 조약을 체결해, 네델란드,러시아, 영국, 프랑스와도 같은 조약을 맺어, 막부의쇄국체제는 완전하게 무너졌다.
무역의 급속한 확대에 의해서국내 경제는 혼란해, 정황이 불안이 되어 막부의 개국 정책을 비판하는 양이의 기운이 높아졌다.쿄토의 조정은 개국에 반대로, 특히 천황은 외국인을 극도로 싫어 하고 있었다.
후에 막부타도의 중심이 되는 조슈번(한국으로 치면 전라도급)에서는 나카시타급 번사를 중심으로 했다 존왕양이(천황을 숭배하고 외국을 배척)의 사상이 대두되었다.
양이 운동의 중심이 되고 있던 쵸슈번은 일본해와 세토나이카이를 묶는 해운의 요충인 시모노세키해협에 포대를 정비해, 번병 및 섦길 영주를 잃은 무사대로부터 되는 군사1000정도, 항해 군함2척(병진환, 경신환), 증기 군함2척(임술환, 계해환)를 배치해 해협 봉쇄의 태세를 취했다.
그 후 지나가는 양이 함선을 공격해 미국 상선 벤프로크호 프랑스의 통보함캐살호(수병4명 사망) 네델란드 동양 함대 소속의 메쥬사호 (1시간 교전 4명 사살 함대파)등에게 피해를 입혔다.
이에 열받은 6월1일 미국은 남북전쟁 중이었음에도 군함 와이오밍호를 파견해 시모노세키 항내에 정박하는 쵸우슈번의 군함의 경신환,임술환, 계해환을 발견해, 임술환에 목적을 정하고 포격을 더했다.임무환은 도주하지만 아득하게 성능에 우수한 와이오밍호는 이것을 추적해 격침한다.경신환, 계해환이 구원으로 향하지만, 와이오밍호는 이것을 안고지는 일로 해 경신환을 격침해, 계해환을 대파시켰다.와이오밍호는 보복의 전과를 주었다고 해서 해협을 세토나이카이에 나와 요코하마에 귀환했다.
6월5일 프랑스도 세미 라미스호와 탄크레이드호가 보복 공격을 위해 해협에 들어갔다. 세미 라미스호는 포36문의 대형함으로 마에다, 단노우라의 포대에 맹포격을 더해 침묵시켜, 육전대를 내려 포대를 점거 후 요코하마로 철수 한다.
이러한 피해에도 불구하고 죠슈번의 무사들과 농민까지 양이 사상이 퍼져 타카스기 신사쿠를 중심으로 하급 무사와 농민, 읍인으로부터 군사조직을 결성했다. (응징대, 야와타대, 유격대). 쵸우슈번은 포대를 증강해 강경한 자세를 바꾸지 않았다.
같은 해 7월 좆코프는 없다고 주장하는 사츠마에서도 양이와의 전쟁이 있었다.
전년에 일어난 나마무기 사건(영국인 살해사건)의 배상과 실행범의 처벌을 요구해 영국 함대가 카고시마 만에 침입. 사츠마 번은 이것에 응하지 않고, 교전이 되었다.사츠마 번은 상당한 선전(사츠마측의 민간인을 포함한 사상자9 영국측은 군인 사상자63)을 하지만,카고시마 성벽아래(소실1/10)의 번의 공장이나 민가에의 등에의 큰 피해를 받았다.그러나, 이것에 의해 영국은 사츠마의전력의 우수함을 알아, 토쿠가와막부측과의 교섭을 피해 사츠마와의 직접적인 평화를 묶게 된다.이 평화에 의해 사츠마는 영국에서의 정보나 무기의 입수가 용이하게 되어, 사츠마는 한층 더 군비의 충실하게 노력하게 된다.
죠슈번은 이 시기 막부와의 골이 깊어져 양이지사들이 교토에서 체포되 처형당하는가 하면 아이즈번 중심의 막부군과 전투를 벌여서 패배하는등 오히려 양이의 기운이 상승하는 중이었다.
시모노세키는 여전히 죠슈번의 의지를 보여주듯 항행불능상태에 있었다
아시아에 대해 가장 유력한 전력을 가지는 것은 영국의 주일공사 라자포드는 시모노세키해협 봉쇄에 의해서, 요코하마에 이어 중요한 나가사키에서의 무역이 마비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을 문제시해, 한층 더 쵸우슈번에 의한 양이가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막부의 개국 정책이 후퇴할 우려에 위기감을 가지고 있었다.
일본인에 대해 양이는 불가능하다라는 사실을 각인시킬 필요가 있었고. 이를 위해 문명국의 무력을 나타낼 필요를 느낀 라자포드 올 콕은 쵸우슈번에의징벌 공격을 결의했다
참여국은 영 미 프 네덜란드
7월27일 큐 파 중장(영)을 총사령관으로 하는 시코쿠 연합 함대는 요코하마를 출항했다. 함대는17척으로
- 영국 군함9척(율리아스, 퀀커러, 타르타, 레오파드, 바로우, 페르시우스, 아르거스, 코케트, 바운서, 포합계164문)
- 프랑스 군함3척(세미 라미스,듀플렉스, 탄크레이드, 포합계64문)
- 네델란드 군함4척(암스테르담, 메듀사, 메타렌·크루이스, 두잘비, 포합계54문)
- 미국 가장 군함1척(타키안, 포4문)으로부터 되어, 총원 약5000의 병력이었다.
또 요코하마에는 영국 군함1척, 미군함1척과 홍콩으로부터 이주해 온 육군분견대1350사람이 대기하고 있었다.
시모노세키를 지키는 쵸우슈번의 병력은 군함1척(진기함) 군인(타카스기는 전년에 해임되고 있어 총관은아카네 타케히토) 등2000사람, 포약120문이며,
주력 부대를 쿄토에 파견하고 있던 적도 있어 약체였다. 대포의 수가 부족하고, 목제의 포를 만들고 더미로 하는 일도 하고 있었다.
8월 7일, 함대는히코도의 포대군을 집중 공격해, 육전대를 상륙시켜 포60문을 로 잡아 했다.8일까지 시모노세키의 쵸우슈번의 포대는 죄다 파괴되었다.
쵸우슈번의 사상자는 47명, 연합군의 사상자는62명이었다.
강화성립
시모노세키해협의 외국선의 통항의 자유, 석탄·음식·물 등 외국선의 필요품의 매도해, 악천후시의 선원의 시모노세키 상륙의 허가, 시모노세키 포대의 철거, 배상금300만달러의 지불의5조건을 받아 들여 강화가 성립했다.
후에 막부는 죠슈번이 약체화 되었다고 판단 섣불리 공격을 가했으나 남북전쟁후 미국이 남아도는 후장식라이플을 제식화해 토벌군을 구축하고 막부타도세력의 중심이 되었다.